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현지 취재

사할린은 ‘제2의 두바이’

건설, 유통, 레저산업 휩쓰는 ‘돈바람’

  • 박성원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parker49@donga.com

사할린은 ‘제2의 두바이’

1/5
  • 동토(凍土)로 알려진 러시아의 극동, 사할린 경제의 지각변동이 시작됐다. 수백억달러를 쏟아 붓는 다국적 석유개발업체들 덕분이다. 전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이 매장된 석유와 가스를 찾아 들어오는 외국인들 덕분에 경제 개발붐이 한창이다. ‘제2의 두바이’가 될 조짐을 보이는 사할린에서 ‘황금’을 캐는 한국인들을 만났다.
사할린은 ‘제2의 두바이’
마치 이웃집 드나들 듯 사할린을 오가는 이근택 CS토탈 사장은 최근 사할린의 급속한 발전상을 보고 입을 다물지 못했다. 9월19일 인천공항을 출발, 비행기로 2시간30분 만에 사할린 공항에 도착했을 때도 그는 시내로 들어가는 차 안에서 연신 감탄사를 날렸다. 불과 몇 달 만에 공항에서 시내로 들어가는 새 도로가 생겼기 때문이다. 사할린의 주도(主都) 유즈노 사할린스크시(市)에서 호텔을 운영하는 신종철 사장은 “9월말 세계적인 에너지 세미나가 사할린에서 열려 도로를 정비하고 있다”고 했다.

한국의 봄 가을 날씨처럼 선선한 여름을 짧게 보내고 나면 일년 내내 겨울인 사할린. 1869년부터 러시아에서 추방된 죄수와 혁명가들이 이주해 살던 사할린은 러시아 작가 안톤 체호프의 표현대로 ‘슬픔의 틈새’였다. 그랬던 이곳에 때아닌 봄꽃이 피고 있다.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매장량이 많다는 가스와 석유 덕분이다.

러시아산 대게와 보드카를 빼면 특별히 내다팔 것도 없는 사할린에 세계 최대의 석유자본이 몰리자 땅값, 물가, 인건비가 하루가 다르게 뛰고 있다. 러시아 지역학을 공부한 뒤 9년 동안 모스크바와 사할린에서 생활한 홍기정 코리코 이앤씨 과장은 “자고 나면 물가가 오른다”며 혀를 내둘렀다.

우선 아파트 시세를 보자. 2년 전 24평 아파트의 임대료는 월 500달러(50만원)였으나, 지금은 1500달러(150만원)를 호가한다. 리모델링한 아파트는 웃돈까지 얹어줘야 구할 수 있다.

생활필수품인 설탕 1kg과 빵 한 덩이는 500원, 밀가루 1kg은 800원쯤 한다. 한국의 물가수준으로 보면 비싼 편은 아니다. 그러나 지난해와 비교해 18%가 올랐다는 상인들의 설명을 듣고보니 앞으로 얼마나 더 오를지 가늠할 수가 없다. 휘발유 1ℓ가격은 1000원, 경유 1ℓ는 700원가량. 유전이 넘쳐나는 곳이지만 석유 가격도 나날이 오르고 있다.



어둠침침하던 사할린에 이렇듯 생기가 도는 이유 중 하나는 값비싼 외제차의 유입이다. 공항에서 시내로 들어가는 20여 분 동안 벤츠 S-600, 4륜구동 도요타 랜드크루저, 현대차 산타페 등이 줄지어 달리는 광경을 봤다. 홍기정 과장은 “사할린 주민의 월급이 상당히 올라 외제차를 구입하는 중산층이 늘고 있다”고 전했다.

수영장이 딸린 특A급 호텔은 아니지만, 내부 시설이나 잠자리만큼은 1급 수준으로 보이는 시내 중심의 메가호텔. 신종철 코리코 이앤씨 사장이 운영하는 이 호텔의 객실요금은 스탠더드형이 하루 19만원, 스위트룸은 34만∼48만원이다. 1인당 국민소득이 2000달러를 좀 넘는 가난한 나라치고는 엄청나게 비싸다.

1/5
박성원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parker49@donga.com
목록 닫기

사할린은 ‘제2의 두바이’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