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새 연재 | 영화, 그곳에 가고 싶다

惡을 차용한 善 그 이상한 공존

‘신세계’와 인천 연안부두

  • 글·오동진 | 영화평론가 사진·김성룡 | 포토그래퍼

惡을 차용한 善 그 이상한 공존

1/3
  • ‘신동아’ 창간 83주년을 맞아 영화평론가 오동진 씨가 화제의 영화 촬영지를 소개하는 글을 연재한다. 단순히 장소를 소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곳에 깃든 역사, 문화, 시대상과 인간 군상을 그리고 우리 사회의 내면을 성찰한다. 영화전문지 ‘필름 2.0’ 편집위원과 ‘씨네버스’ 편집장을 지낸 오씨는 현재 들꽃영화상 운영위원장, 마리 끌레르 영화제 집행위원장을 맡고 있다. <편집자>
惡을 차용한 善 그 이상한 공존

영화 ‘신세계’에서 이자성(이정재)이 인천 연안부두를 바라보고 있다.

영화 ‘신세계’의 제목이 왜 ‘신세계’인지, 영화를 본 사람들은 다 안다. 영화 속에서 경찰청장쯤 되는 사람 간부인 두 사람에게 묻는다. “그러니까 이번 작전명은 뭐가 되는 거야?” 그의 앞에는 정복을 입은 한 사람이 앉아 있고 그렇지 않은 또 한 사람은 비스듬히, 마치 자기 일이 아니라는 듯한 표정으로 앉아 있다. 그렇지 않은 사람, 강 과장(최민식)은 이 모든 음모를 만들어낸 인물이다. 그러나 그는 대개 입을 다물고 있고 신나게 떠드는 쪽은 정복을 입은 고 국장(주진모)이다. 고 국장이 청장의 말을 바로 되받아친다.

“신세계! 신세곕니다!”

그 말을 막상 입 밖에 내는 순간, 세 사람 모두 씁쓸한 표정이 된다. ‘신세계’라니. 어쩌면 지나가는 개도 웃을 소리다. 그들이 만들려는 세상이 분명 신세계이긴 하다. 그러나 그 신세계를 만들려는 방식이 ‘신세계스럽지’ 않다. 선을 행할 때 악을 차용하면 그 선은 결국 선인가, 아니면 악인가.

그 장면 하나만으로 영화 ‘신세계’는 지금의 모든 세상사와 자기 동일화를 이룬다. 대개 좋은 영화의 이야기는 특별하게 시작하지만 결국은 보편성을 띠는 쪽으로 흐른다. 특수는 일반이 되고 일반은 특수가 된다. 그 반대도 된다. 카를 마르크스의 유물변증법이다.

현대 자본주의의 처절한 진실



영화 ‘신세계’의 도입부는 한 남자의 발가락을 해머로 짓이기는 극악한 폭력성으로 시작되지만 곧이어 이상하리만큼 평온한 한 남자의 뒷모습이 등장한다. 조직에서 3인자로 성장한 이자성(이정재)은 멀끔한 양복 차림으로 인천 연안부두 저 너머를 응시한다. 그는 곧 담배를 한 대 물고, 조금 전에 있었던 일은 자신과 아무런 상관이 없다는 표정을 짓는다. 그의 마음속에는 광풍이 불고 있을 터다. ‘원래 이러려고 이런 것은 아닌데….’

惡을 차용한 善 그 이상한 공존

인천 연안부두는 국내 최초 개항지지만 어쩐지 덩그라니 내던져진 느낌이 든다.

이자성의 실체는 한국 최대의 마피아 조직 ‘골드문’에 침투한 언더커버(undercover), 즉 비밀경찰이다. 이제 사람 하나를 막 죽인, 혹은 부하들이 죽이는 모습을 지켜본 이자성은 쓸쓸함과 처연함, 회한의 심연 속으로 빠져든다. 그는 오늘 집에 들어가서 만삭의 아내 품에서 잠을 이룰 수 있을까. 자신이 잠을 못 이루면 착한 아내도 그럴 것이다. 아내 때문에라도 이 지옥을 털어내고 가야 한다. 그는 말없이 등을 보인다.

영화 ‘신세계’를 곰곰이 복기하면, 역설적으로 토마 피케티의 책 ‘21세기 자본론’이 떠오른다. 피케티는 일갈한다. 자본주의가 발달할수록 소수 부유층에게 부가 집중돼 분배 구조가 악화되는 현상이 발생한다고. 또한 자본주의에서는 노동 소득보다 자본 소득, 곧 부의 세습이 더 많은 부를 축적한다고.

한마디로 있는 자가 더 많은 돈을 갖게 된다는 얘기인데, 어렵게 생각할 필요가 없는 것이, 주변을 둘러보면 단박에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돈은 원래 돈이 돈을 만들지 노력, 저축, 성실이나 정직 따위가 만들지 않는다. 돈은 ‘원래 버는 놈’이 버는 것이다.

그래서 ‘신세계’의 주인공들은 그 ‘버는 놈들’에게서 돈을 탈취하는 방식을 택한다. ‘버는 놈들’에게 기생하면서 사는 제도권의 공복은 살아남기 위해 ‘버는 놈들’만큼 악랄하고 용의주도해져야 한다. 속고 속이는 게임에 능해져야 한다. 이쯤 되면 여기엔 룰이 없다. 이 아수라장에서 유일한 정의, 그리고 선(善)이란 그 누구도 믿지 말고 오로지 자신과 자신의 가족, 곧 패밀리를 지켜내는 것뿐이다. 그래서 사회의 모든 제도와 법이 공공의 이익이 아니라 사적인 이익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진실을 목도하게 된다. 그건 그야말로 처절한 성찰이다. 영화 ‘신세계’는 마피아의 피가 튀기고 살점이 뜯겨나가는 폭력 얘기를 그리는 척, 사실은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진실을 우회적으로 그리는 작품이다.

1/3
글·오동진 | 영화평론가 사진·김성룡 | 포토그래퍼
목록 닫기

惡을 차용한 善 그 이상한 공존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