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박상희의 미술과 마음 이야기

‘성 베드로의 십자가형’ ‘엠마오의 저녁식사’

카라바조

  • 박상희 | 샤론정신건강연구소 소장

‘성 베드로의 십자가형’ ‘엠마오의 저녁식사’

2/2
카라바조의 작품은 라파엘로의 작품과 여러 가지로 대비됩니다. 라파엘로의 그림이 기독교가 갖는 자애로움과 경건함, 그리고 이를 아우르는 숭고함을 느끼게 한다면, 카라바조의 그림은 우리 인간이 일상적으로 느끼는 놀라움, 두려움, 고통스러움을 있는 그대로 담았습니다. 그래서 어떤 이들은 카라바조가 그리스도와 성모 마리아를 지나치게 세속화했다고 비판하는 반면, 다른 이들은 카라바조가 자연주의적 화풍을 도입함으로써 기독교에 대한 친밀감을 높였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도 했습니다.

카라바조의 작품에 등장하는 이들은 하늘에 있는 성인이라기보다 땅에 있는 존재입니다. ‘성 베드로의 십자가형’을 그린 해에 그린 ‘엠마오의 저녁식사(The Supper at Emmaus, 1601)’는 이러한 특징이 잘 드러난 작품입니다.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매달려 죽임을 당하고 곧바로 부활한 후, 두 제자는 엠마오의 한 여인숙에서 저녁식사를 하는 도중, 동행해온 이가 바로 그리스도임을 알게 됩니다.

폭력으로 얼룩진 삶

루가복음에 나오는 이 이야기는 서양 회화에서 비교적 자주 다룬 주제입니다. 영국 런던의 내셔널갤러리에 있는 카라바조의 ‘엠마오의 저녁식사’와 프랑스 파리의 루브르박물관에 있는 렘브란트의 ‘엠마오의 저녁식사’가 특히 유명합니다. 그런데 이 두 작품의 분위기는 사뭇 다릅니다. 렘브란트의 작품이 종교적 경건함으로 가득 차 있다면, 카라바조의 작품은 제자들이 그리스도를 알아보는 장면을 마치 현대 영화의 한 장면처럼 극적으로 묘사합니다.

한 제자는 깜작 놀라 손을 벌리고, 다른 제자는 의자에서 몸을 막 일으켜 세우려 합니다. 이들의 차림새는 보잘것없고, 표정과 행동은 놀라움으로 가득합니다. 한가운데 앉은 그리스도는 성스럽다기보다는 볼살이 통통히 오른 젊은이의 모습입니다. 제자들처럼 그리스도 역시 일상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평범한 차림새입니다. 그리고 그리스도 옆에는 궁금한 표정을 짓는 여인숙 주인이 서 있습니다.



이렇듯 카라바조가 그린 이들의 모습은 지극히 평범합니다. 그의 작품은 강렬한 명암과 극적인 구성을 통해 우리 시선을 고정시키지만, 이 시선 안에 들어오는 인물들의 얼굴은, 그리스도든 베드로든, 평범한 이들의 모습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카라바조는 앞서 소개한 ‘엠마오의 저녁식사’를 그린 5년 후 다시 동일한 주제를 다룬 작품을 남겼습니다. 이 작품에 나오는 그리스도의 모습에는 성스러움이 깃들어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전체 구성이 일상의 풍경으로 담으려는 기존 작품과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습니다.

‘성 베드로의 십자가형’ ‘엠마오의 저녁식사’

‘엠마오의 저녁식사’

예술이냐 사람이냐

카라바조의 작품을 보면 한 사람의 존재로서 그에 대해 생각해보곤 합니다. 그는 왜 보는 이들에게 떨림을 주는 종교화를 그리면서도 자신의 삶은 그렇게 거칠고 폭력적으로 살았을까요. 서른아홉의 생애 동안 카라바조는 싸움과 폭행 등 무수한 폭력을 행사했고, 그로 인해 일곱 차례 감옥에 갇히기도 했습니다. 생애의 마지막 시기에는 살인으로 인해 도망을 다녔고, 그 와중에 세상을 떠났습니다.

카라바조에 대한 제 감정은 양가적입니다. 먼저 화가로서의 카라바조는 높게 평가합니다. 그의 그림은 참으로 역동적이고 매혹적입니다. 현실적 인물들의 희로애락을 있는 그대로 자기 작품에 담음으로써 천상의 종교를 지상의 종교로 끌어내리는 듯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그의 천재성은 서양 회화에서 가히 최고의 수준에 도달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한 인간으로서의 카라바조는 딱하기 그지없습니다. 역사를 뒤흔들 만한 천재성을 선물 받았음에도 자신의 욕망을 조절하는 능력은 부재했던 불쌍한 사람이 바로 그였습니다. 남긴 행적으로 보면 그는 분노조절장애를 겪은 사람이었고, 도저히 용납해선 안 될 살인이라는 행위까지도 서슴지 않은 반윤리적 사람이었습니다.

카라바조의 삶을 생각할 때 제게 떠오르는 심리학 용어는 ‘그림자(shadow)’입니다. 이 용어는 정신분석학자인 칼 구스타프 융이 주장한 것인데, 그림자는 무의식의 열등한 인격이며 자아의 어두운 면을 뜻합니다. 이 그림자의 성격은 폭력적이고 비이성적입니다. 인간에게 누구나 있는 그림자는 위험한 것이지만, 그림자의 실체를 직시하고 심연으로부터 나오는 자신의 목소리를 들음으로써 자아와 통합하면 이 그림자는 긍정적인 에너지, 다시 말해 삶의 새로운 가치로 승화할 수 있습니다.

‘성 베드로의 십자가형’ ‘엠마오의 저녁식사’
박상희

1973년 서울 출생

이화여대 기독교학과 문학박사, 미국 스탠퍼드대 사회학과 방문학자

現 샤론정신건강연구소 소장, JTBC ‘사건반장’ 고정 패널

저서 : ‘자기대상 경험을 통한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의 변화에 대한 연구’ 등


인간으로서 카라바조는 결국 이 그림자에게 굴복하고 말았습니다. 하지만 그가 남긴 작품들은 결코 작지 않은 감동을 안겨준다는 점에서 카라바조는 참으로 모순적인 화가였습니다. 회화의 역사에서 화가의 인성이나 삶과 화가가 남긴 작품이 늘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작품은 그 자체로 감상하고 평가해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카라바조의 경우는 인간과 예술 간의 거리가 너무 멀어 제게는 선뜻 호감을 품기 어려운 수수께끼와도 같은 화가로 남아 있습니다.

예술이 먼저일까요, 아니면 사람이 먼저일까요. 제 생각은 ‘사람이 먼저’에 가깝습니다.

신동아 2015년 12월호

2/2
박상희 | 샤론정신건강연구소 소장
목록 닫기

‘성 베드로의 십자가형’ ‘엠마오의 저녁식사’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