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라크 남부도시 바스라 외곽에 설치된 임시보호시설에서 이라크 민간인들이 영국군 전차 옆을 지나가고 있다. 이라크전쟁으로 수백명의 민간인이 어처구니없는 죽임을 당했다.
그러나 쿠투조프가 지휘하는 러시아군은 퇴각을 거듭할 뿐 거의 싸움을 하지 않았다. 알렉산드르 1세 러시아 황제는 “설사 캄차카까지 물러난다고 해도 항복은 하지 않는다. 나폴레옹이 자신의 계획이 어리석었다는 사실을 깨달을 때까지 퇴각한다”고 말했다.
나폴레옹군은 더위와 식량난, 음료수 부족 그리고 퇴각하는 러시아군과의 끊임없는 작은 전투 등으로 지칠대로 지쳐갔다. 9월15일 악전고투 끝에 모스크바에 도착했을 때 나폴레옹군은 불과 11만명. 텅 빈 모스크바는 러시아군이 파괴하고 떠나버려 보급품을 현지 조달하겠다는 계획도 물거품이 됐다.
곧이어 무시무시한 동장군(영하 10∼30℃)이 찾아왔다. 여름에 파리를 출발한 나폴레옹군에게 변변한 방한장비가 있을 턱이 없었다. 결국 10월19일 나폴레옹은 퇴각 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이때 퇴각만 하던 러시아군이 돌연 방향을 틀어 공격해오기 시작했다. 코사크병들도 시도때도 없이 나타나 끈질기게 앞길을 막았다. 12월, 마침내 파리에 귀환한 나폴레옹군은 굶주리고 누더기를 걸친 수만 명의 거지군대로 변해 있었다.
후세인 참수공격 주효
2003년 3월20일. 미국과 영국군은 막강한 공군력을 앞세워 이라크 침공을 단행했다. 미국은 개전 이후 2주일 동안 하루 평균 3000t의 폭탄을 퍼부었다. 그리고 700개가 넘는 토마호크 미사일과 9000개 이상의 정밀 유도탄을 1600여 대에 달하는 헬기 전투기 폭격기들을 이용해 쏟아부었다.
미국의 부시 대통령과 럼스펠드 국방장관 등 수뇌부는 “후세인 부류만 콕 찍어 외과수술처럼 도려낼 수 있는 ‘첨단 족집게 인도적 폭탄’으로 ‘충격과 공포’를 안겨준 뒤 가볍고 기동성이 높은 경보병과 특수부대를 바그다드에 진격시키면 쉽게 후세인을 무너뜨릴 수 있다”고 말했다. ‘전쟁시 압도적인 군사력(1년 국방비 이라크 14억달러, 미국 4000억달러)을 사용한다’는 이른바 파월독트린 대신 ‘스피드에 의한 속전 속결 전략’을 택한 것이다. “뱀은 머리만 장악하면 끝”인 것과 같이 이라크도 바그다드의 후세인만 없애면 사실상 끝난 거나 마찬가지라는 인식이다.
1991년 걸프전 때 미국은 이라크군의 핵심인 공화국 수비대를 집중 공격했다. 그러나 종전 후에도 후세인 정권은 건재할 뿐 아니라 더욱 강화됐다. 따라서 이번에 미국은 곧바로 후세인을 타깃으로 삼았다. 이른바 후세인 참수(斬首)공격(Decapitation Attack)이다. 이에 따라 미국은 태평양전쟁 때 맥아더가 사용한 개구리전술(괌 사이판 과달카날 오키나와 등 일본의 심장 도쿄 공략을 위해 전략적 가치가 있는 섬만 장악하고 나머지는 우회)을 전개했다. 바그다드 진격을 위한 최소한의 전략 요충지를 빼놓곤 그대로 통과(bypass)해 쾌속진군한 것이다.
초기 미국이 이라크 침공 때 투입한 병력은 24만명(미군 20만명, 영국군 4만명). 40만 군대의 후세인은 “우리는 도시에서 싸우기를 원한다. 미·영군은 주요 도시가 아닌 사막만을 장악하고 있을 뿐”이라며 “미군은 500㎞ 길이의 뱀처럼 미끄러져 들어왔지만 우리는 이 뱀을 죽 늘어뜨린 다음에 잘게 썰어버릴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개전 초기 후세인은 미군의 보급선이 500㎞에 이르자 본격적으로 게릴라전을 전개해 미국에 부분적인 타격을 줬다. 그러나 그뿐이었다. 마침내 미국은 바그다드를 포위했고 후세인은 100㎞에 이른다는 바그다드 시내 지하 터널에 숨어 마지막 결전을 외쳤지만 바그다드는 미군의 수중에 떨어졌다.
‘공중전화 부스 안에서의 칼싸움’이라 불리는 시가전 사상률은 보통 30%선. 시가전에선 공격군이 3∼5배의 병력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후세인의 이런 전략도 미국의 첨단장비와 융단폭격엔 아무런 소용이 없었다. 개전되자마자 지휘 통신체계가 무너져버려 후세인은 손발이 완전히 잘려버렸다. 이라크군은 산발적으로 저항했을 뿐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저항은 꿈도 꿀 수 없었다. 결국 이라크군은 미군과 전투다운 전투 한번 제대로 해보지 못하고 지리멸렬했다. 도대체 사담 후세인의 군대는 어디에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