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할아버지도 의사였고, 작은아버지도 의사였습니다. 할아버지가 저를 특별히 귀여워하셨는데, 왕진 나설 때면 항상 왕진가방을 들고 따라다녔죠. 그래서 어려서부터 의사가 되고 싶었어요. 그런데 1966년 대학에 들어갈 때 지원한 의예과에 떨어져 한의학과에 입학하면서 제 삶의 길이 바뀐 거죠.”
우여곡절 끝에 졸업을 앞둔 본과 4학년 때, 한방부인과 주임교수의 조교로 들어갔다. 그때부터 그의 한의학 외길인생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철저한 실증주의를 추구하는 그의 학문적 성향도 이같은 외길인생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흔히 임상결과나 이론을 밖(언론)에 떠들어대는데, 그런 것은 논문으로 발표하면 되는 일이다. 괜히 말로만 할 게 아니다. 확실하게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 학문적으로 정리해야 한다”는게 그가 밝힌 한의학자로서의 원칙이다.

이원장과 함께 직접 요리를 해보는 레지던트 하지연(왼쪽)씨와 비서 유정민씨.
“항상 강의 첫 시간에 ‘한방 여자가 따로 있고, 양방 여자가 따로 있는 게 아니다. 질병을 고치는 것은 양·한방 똑같다. 병증도 마찬가지다. 해석을 한방으로 하느냐, 양방으로 하느냐의 차이일 뿐이다. 그러니 양·한방 모두 배워야 한다’고 학생들에게 가르칩니다.”
이원장이 요즘 즐겨 먹는 요리도 퓨전이다. 1990년대 초 미 하버드대학 교환교수 시절, 혼자 지내면서 때마다 제대로 된 식사를 하기가 버거웠다. 그래서 이원장이 선택한 것이 김밥. 밥 위에 멸치, 시금치 등 남은 반찬을 올려놓고 김으로 돌돌 말면 간편하면서 맛도 있었다. 한 손에 들고 책을 보며 먹을 수도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학회에 참석했다 우연히 맛본 퓨전 일식요리 캘리포니아롤이 그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김밥처럼 한입에 먹을 수 있는 데다 맛도 그만이었다. 요즘에는 여기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된 레인보우롤을 즐긴다. 이원장의 단골 퓨전 일식집은 서울 서초동 ‘아리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