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최수영 변호사에게 배우는 ‘웰빙 仙체조’

‘머리 두드리기’는 두통, ‘양팔 번갈아 당기기’는 스트레스 해소에 탁월

최수영 변호사에게 배우는 ‘웰빙 仙체조’

1/5
  • 일 못잖게 건강과 여가를 중시하는 이른바 ‘웰빙(Well-Being)’ 트렌드가 한창이다. 그러나 한편으론 무차별적으로 쏟아져나오는 웰빙 상품들이 과소비를 부추긴다. 진정한 웰빙은 몸과 마음의 평안에서 비롯되는 법. EBS(교육방송)에서 선체조를 강의하는 최수영 변호사가 제안하는 ‘웰빙 선체조.’
최수영 변호사에게 배우는 ‘웰빙 仙체조’

‘선체조 전도사’로 나선 최수영 변호사.

“머리를 너무 쓰고 머리로만 생각하면 아랫배에 있어야 할 기(氣)가 머리로 뜨는 상기(上氣)상태가 돼서 건강을 해치게 된다. 그러니 머리 대신 아랫배로 생각하고 아랫배를 써야 한다. 뱃심이 두둑하면 기가 살고 매사에 자신감이 넘쳐 활기차고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다.”

바쁜 변호사 생활에도 매일 아침 EBS에서 선(仙)체조를 강의하며 보급에 앞장서고 있는 최수영(36)씨의 주장이다.

최 변호사는 하루도 거르지 않고 아침·점심·저녁 하루 세 번 2~4시간에 걸쳐 선체조와 명상으로 건강관리를 하고 있다. 그가 선체조에 들이는 시간은 1회에 20~30분 정도. 지난 7년 동안 ‘밥 먹듯’ 꾸준히 선체조를 해온 그는 “세 살 먹은 아이도 따라할 수 있는 아주 쉽고 간단한 것이 선체조”라고 말한다.

‘선(仙)’의 사전상 뜻풀이를 보면 ‘신선, 고상한 사람, 도교(道敎)의 딴 이름’으로 나와 있다.

“신선이라 함은 신이 아니라 깨달은 사람을 말합니다. 한문 글자 조합을 보면 ‘사람’과 ‘산’으로 이뤄져 있는데 이는 자연을 대표하는 것입니다. 선은 곧 자연입니다. 그런데 현대인은 자연과 분리돼 있습니다. 그래서 최근 자연친화적인 삶으로 돌아가자는 운동이 전세계적으로 붐을 이루고 있는 것입니다. 이처럼 사람과 산이 분리되지 않는, 자연친화적 삶으로 돌아가자는 것이 바로 ‘선’입니다. 몸만을 놓고 볼 때 자연상태라는 것은 바로 건강함을 말합니다.”



몸의 건강은 한의학에서 말하는 경락과 관련이 있다. 경락은 몸 안의 기가 순환하는 길인데, 우리 몸에는 좌우 각각 12개의 경락이 있다. 이 경락이 막힘 없이 훤히 뚫려 있어야 기혈 순환이 제대로 되어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런데 경락이 막혀 기혈 순환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질병이 생기고 건강을 잃게 된다.

“막힌 경락을 고속도로처럼 훤히 뚫어줘 기혈 소통을 원활히 해주는 것, 상기된 기를 원래 자리인 아랫배로 돌려보내는 것이 선체조입니다.”

최 변호사에 따르면 선체조는 미국에서 나온 스트레칭이나 인도의 요가, 중국의 기공과는 다르다.

“우리 고유문화에 선도(仙道)라는 것이 있습니다. 선도가 일상생활 깊숙이 녹아 있는 것이 바로 도리도리와 잼잼, 짝짜꿍, 까꿍 등입니다. 잼잼은 주먹을 쥐었을 때 신체 앞면 정중앙의 기 통로인 임맥을 열어주고, 폈을 때 등줄기 정중앙의 기 통로인 독맥을 풀어줍니다. 임맥과 독맥을 경부고속도로에 비유해 봅시다. 만남의 광장쯤에서 정체가 됐다고 가정한다면, 우리 몸의 가슴 부위가 답답하고 등이 뻐근한 상태가 됩니다. 몸의 상단(가슴 부위) 경혈이 막히면 뇌출혈이나 심장병 같은 질환이 발병합니다. 잼잼을 해서 손목부터 팔 전체가 다 아프면 기혈 순환이 제대로 안 되는 상태입니다. 그러나 오랫동안 꾸준히 잼잼을 하면 기혈이 뚫려 통증도 없어집니다.

짝짜꿍은 손뼉치기입니다. 짝짜꿍을 할 때 어깨를 180도로 완전히 젖혀주면 손에 기운이 흐르는 게 느껴질 것입니다. 또 박수를 치면 손바닥 혈자리를 자극해 온몸의 기혈 순환을 도와주죠. 도리도리는 목운동인 셈이고 까꿍은 얼굴근육운동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아기를 어르는 소리인 ‘까꿍’은 아기에게 까르르 자지러지는 웃음소리를 유발한다.

仙문화를 운동 형식으로 바꾼 것

“이렇게 웃을 때 숨을 들이마시는 들숨은 불가능합니다. 대신 웃을 때 배에서부터 찌꺼기를 끌어올려 내뱉으면 탁기(濁氣, 몸 속의 나쁜 기운)가 빠져나오면서 건강이 좋아집니다. 이런 것들이 우리 조상들이 생활 속에서 실천해오던 전통의 선체조라 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우리 고유의 생활문화에 녹아 있던 선문화를 재발견해 운동의 형식으로 바꾼 것이 선체조라 할 수 있다.

“한 가지 예를 더 들어볼까요? 몸이 피곤할 때는 손바닥과 발바닥을 가장 먼저 풀어줘야 합니다. 온몸의 혈자리가 손바닥과 발바닥에 연결돼 있기 때문입니다. 옛날 선비들은 책을 읽을 때 책상다리를 한 상태에서 몸을 좌우로 흔들었습니다. 그와 동시에 한 손으로 발을 잡고 다른 손으로 발바닥을 슬슬 문지르면서 책을 읽었죠. 이런 동작은 은연중에 기혈을 순환시켜주는 생활의 지혜였습니다. 몸을 좌우로 흔드는 것은 선체조에서 고관절을 풀어주는 것이며, 손으로 발바닥을 비비는 행위는 온몸의 기를 원활하게 소통하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1/5
글: 박은경 자유기고가 siren52@hanmail.net
목록 닫기

최수영 변호사에게 배우는 ‘웰빙 仙체조’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