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흡연의 문화사’ 샌더 길먼·저우 쉰 외 지음/이수영 옮김/이마고/600쪽/3만5000원
다시 말하지만 무슨 조폭 모임이 아니다. 이 고교는 당시 전국 서열 2, 3위를 다투던 이른바 명문이었고 ‘마시고 피우는’ 입반식(入班式)은 오랜 전통이었다. 그저 ‘문학을 하려면 그래야 하나보다’ 하고 짐작했다. 캑캑거리는 기침과 더불어 좁은 실내가 연기로 가득했다. 그때는 그 연기로 30년 세월이 흘러갈지 미처 몰랐다. 나는 지금도 하루 2갑 정도를 피우는 헤비 스모커다.
“술과 밥은 없어도 되지만…”
돌이켜보니 그때의 담배는 파괴이자 치장이었다. 교칙 따위는 잊어라, 청소년에게 가하는 금제(禁制)와 억압을 거부하라, 그리고 멋스러워라! 그랬다. 숨어서 피우는 담배는 멋스럽고 세련된 어른의 세계로 진입한 듯한 착각을 안겨주었다. 교내 양아치와 자칭 문사들이 소통하는 지점, 그것이 담배였다.
1492년 10월15일, 콜럼버스의 선원들이 쿠바 원주민에게서 선물로 받은 마른 잎은 니코티아나 타바쿰이라는 식물의 잎사귀였다. 선원들이 발음을 잘못 알아들어 타바코라고 부른 그 마른 잎이 매독과 더불어 유럽을 휩쓸게 되는 데는 채 2세기가 걸리지 않았다. 치료제이자 자극제 기능을 한 담배는 상류문화의 일부가 되었고, 곧 전 사회 계층 속으로 파고들었다. 연기는 유럽 바깥으로 오토만 영토를 지나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이르기까지 급속하게 퍼져 나갔다. 항상 최신 유행의 모습을 띠고서였다. 중앙아시아와 인도는 예술의 형태로 흡연을 받아들였고, 1600년 4월에 최초로 일본에 상륙한 파이프 흡연은 남성, 여성은 물론 어린아이들에게까지 깊숙이 번져 나갔다. 일본을 거쳐 중국에 상륙한 담배 흡연은 곧장 기존의 차(茶) 문화에 없어서는 안 될 일부가 되었고, 17세기 중반 무렵 아편 흡연이 만연하는 길을 닦아놓았다.
한반도에는 조선 중엽에 수입되어 수십년이 지나지 않아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모두 담배를 피우게 되었다. 18세기 후반 조선의 문객 이옥은 ‘담배의 경전’이라는 의미의 ‘연경(烟經)’을 집필했는데, 그 안에는 17단계에 이르는 담배의 재배와 성질, 도구, 담배와 관련된 문학적 내용이 총망라되어 있다. 이옥이 기록한 담배 애호가의 사연 하나를 인용하면 이렇다.
담배가 처음 들어왔을 때 한담이 매우 좋아하였다. 누군가가 그에게 질문하였다. “술과 밥, 담배 가운데 부득이 꼭 버려야 할 것이 있다면 셋 중에서 무엇을 먼저 버리겠소?” “밥을 버려야지요.” 또 물었다. “부득이 이 둘 중에서 버려야 할 것이 있다면 무엇을 먼저 버리겠소?” “술을 버려야지요. 술과 밥은 없어도 되지만 담배는 하루라도 없을 수 없소.” |
콜럼버스의 선원들이 받은 선물에서부터 조선조 이옥의 ‘연경’에 담긴 예화까지 이 모든 지식은 의학자 샌더 길먼과 문화인류학자 저우 쉰이 편집한 ‘흡연의 문화사’에서 간추려본 것이다(조선의 담배 문화가 소개된 1꼭지는 국내 출판사측에서 추가한 내용이다). 총 33인의 전문필자가 동원된 이 책의 제목이 담배의 문화사가 아니라 흡연사로 넓혀진 것은 담긴 내용이 아편, 코카인, 마리화나 등 ‘빨 수 있는’ 모든 향정신성 물질에 걸쳐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 분량이 무려 600쪽! 여간해서는 완독하기 힘든 분량이다. 그러니 먼저 왜, 누가 이 책을 읽어야 하는지 그 답을 찾는 것이 순서일 것 같다.
맛 좋은 친구인가, 위험한 친구인가
필자가 생각하기에 그 답의 단서는 ‘재미’에서 출발하는 것 같다. 가령 19세기에는 교황도 코카인을 즐겨 마셨다는 사실, 담배로 친분을 도모하는 호치민과 마오쩌둥의 유쾌한 만남, 여송연 박스로 악기를 만들어 연주했던 초창기 흑인 재즈 뮤지션들의 사연, 쉰 살이 넘도록 담배 피우는 포즈로 유럽과 할리우드를 사로잡은 마를레네 디트리히의 섹스어필…. 하지만 담배 혹은 마약이 즐거울 수만은 없는 게 우리 당대의 사회 환경이다. 19세기 말, 월터 해밀턴이라는 영국인이 엮은 ‘흡연자를 위한 책 묶음; 담배를 찬양하는 시와 패러디 묶음’에는 오늘날의 고민이 이미 담겨 있다. 그중 ‘흡연을 고민하는 햄릿’이라는 패러디는 이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