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아한 세계’
‘아버지’란 어떤 존재일까? 1980년대 학번 세대에게 ‘아버지’는 나쁜 것만 물려주는 보수의 대명사였다. 장정일은 ‘내게 거짓말을 해봐’라고 외치며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것들을 거부했고, 다른 작가들의 형편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경제적 발전을 위해 모든 것을 포기하라고 가르친 아버지는 자유와 민주주의를 배우며 자란 아이들에게 거부해야 할 인습처럼 받아들여졌다.
그러던 아버지에게 ‘문제’가 생긴 것은 1990년대 후반 갑작스레 닥친 IMF 구제금융사태였다. IMF 사태를 통해 아버지는 강해서 무너뜨리고 싶은 존재가 아니라 너무도 약한 존재로 재조명되었다. 구조조정이라는 한파에 의해 직장에서 밀려나고, 어머니 위주로 재편성된 새로운 가족 환경에서 일하지 않는 아버지의 자리는 급격히 축소되었다. 아버지의 권위는 빠른 시간 안에 사라져버렸다. 아버지 노릇은 필요하지만 아버지의 권위는 거부당했다.
그렇게 10년이라는 시간이 흘러 우리에게는 낯선 아버지 몇 명이 더 등장했다. ‘기러기 아빠’라고 불리는 아빠, 돈 벌어다주는 기계, 아이들의 성공을 위해 혼자 밥 먹고 다니는 아버지. 자식들에게만큼은 최상의 교육조건을 마련해주고 싶은 ‘아버지’들은 스스로 자취생을 선택했다. 그렇다면 지금, 2009년 아버지의 모습은 또 어떻게 달라질까? 최근 한국 영화에 나타난 ‘아버지’들을 통해, 비슷하지만 또 다른 역경 앞에 놓인 아버지들을 호출해본다.
‘우아한’ 가족과 ‘비루한’ 아버지
다 늘어진 러닝셔츠를 입은 남자가 텔레비전 앞에서 바닥에 흩어진 라면을 줍고 있다. 남자의 등 뒤에 놓인 50인치 tv속에는 유기농 식탁, 미소를 머금은 아이들, 스프링클러 물빛이 가득 차 있다. 미국 드라마에서나 나올 법한 멋진 풍경에서 추방된 한 남자가 관객처럼 앉아 그 여자와 아이들을 바라보며 실실거리고 있다. 그는 간혹 훌쩍거리기도 한다. 브라운관 속 그들과 너무 다른 식사를 하는 이 남루한 남자, 그는 누구일까.

‘이대근, 이댁은’
한재림 감독의 영화 ‘우아한 세계’는 기러기가 되어버린 우리 시대 불쌍한 아버지들의 초상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부장’이라는 직함을 가지고 있지만 ‘형님’이라는 호칭이 더 익숙한 40대 남자 강인구. 조직 내 서열 2, 3위를 다투지만 예상과 달리 그의 생활은 초라하고 시시하다. 이 남자를 더욱 초라하게 만드는 것은 이런 남자를 남편 혹은 아버지라고 부르기 꺼리는 가족이다. 아내와 아이들은 천박한 말투에 이상한 행동, 그리고 남이 봐서 너무도 뻔하게 나쁜 직업인 깡패 짓을 하는 이 남자를 부끄러워한다.
‘생활 누아르’라는 부제에 걸맞게 조폭 강인구에게 전쟁터는 바로 일상이다. 집 한 칸 마련해주지 못한다며 아내는 바가지를 긁고, 무식한 아버지는 차라리 죽어버리는 게 낫다고 딸은 저주를 퍼붓는다. 꼬박꼬박 체류비와 학비를 챙겨줘야 하는 유학생 아들에게 아버지는 숨길 수 있을 만큼 숨기고 싶은 치부일 뿐이다.
심각한 것은 남편과 아버지라고 부르기는 꺼리면서도 그가 벌어온 돈은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아버지 강인구는 그들에게 필요한 재화, 돈을 벌어오는 것이야말로 아버지의 도리라고 믿는다. 자신의 불법적이며 천박한 깡패 짓이 가족을 먹여 살리는 대의명분으로 납득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강인구는 아내와 아이들을 위해 이 지겨운 조직 폭력배 생활을 계속해야 한다고 말한다. 다 먹고살기 위한 일이라는 변명 속에 범죄는 무마되고 폭력은 합리화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