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샤먼시 동단에 있는 후리산 포대. 바다 건너 왼쪽으로 다단다오와 얼단다오가 보인다. 모종혁
11월 2일 오후 중국 동남부 푸젠(福建)성 샤먼(廈門)시의 후리산(胡里山) 포대. 이곳은 1894년 건설된 청나라의 포병 진지다. 당시 청조는 양무(洋務)운동의 일환으로 독일에서 최신형 크루프(Krupp) 대포 2문을 수입해 후리산에 설치했다. 1840년 아편전쟁 후 난징(南京)조약으로 개항된 5개 항구 중 하나인 샤먼을 지키고자 크루프를 도입했다. 1900년 샤먼을 침입한 일본군 함정을 쫓아내는 등 이 대포는 한동안 ‘샤먼의 수호신’으로 활약했다.
가족과 함께 후리산 포대를 구경 온 왕젠궈(61) 씨는 바다 앞 왼쪽의 작은 섬이 대만 영토라는 말을 쉽게 수긍하지 못했다. “진먼다오(金門島)부터 대만 땅이라는 것은 알았지만 이렇게 가까운 줄은 꿈에도 생각 못했다”는 것이다. 안개가 잔뜩 낀 날씨 때문에 시계(視界)가 뚜렷하지 않았으나 눈앞에는 대만의 다단다오(大膽島)와 얼단다오(二膽島)가 항공모함처럼 웅크리고 있었다. 후리산 포대와 두 섬 사이의 거리는 불과 4.8㎞다.
중국인 관광객 年 54만
다단다오와 얼단다오는 대만에서 마지막까지 남은 금단구역이었다. 민간인들이 두 섬을 가려면 국방부의 허가를 받아야 했다. 대만군은 샤먼 시내를 공격하기 가장 좋은 요충지에 난공불락의 요새를 건설했고 수천 명의 군인을 상주시켰다. 그러나 지난해 7월 대만 행정원은 다단다오와 얼단다오의 관할권을 국방부에서 진먼현(縣) 정부로 이전했다. 진먼현 정부는 군 병력 철수가 완료되고 관광객을 맞을 준비가 끝나는 내년 3월에 두 섬을 개방할 예정이다.
이처럼 중국과 대만의 거리는 우리가 상상하는 것보다 훨씬 가깝다. 대만 본토에서 샤먼까지는 165㎞나 되지만, 진먼다오의 시위안(西園)에서 샤먼의 양탕(陽塘)까지는 2.4㎞에 불과하다. 따라서 중국과 대만을 가른 대만해협(海峽)의 거리는 남북한을 둘로 쪼갠 비무장지대만큼이나 가깝다.
그러나 샤먼과 진먼다오는 한동안 인적 교류가 전혀 없었다. 심지어 두 지역은 두 차례나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이런 아픈 역사를 뒤로하고 진먼다오가 중국과 대만 교류 및 협력의 상징으로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튿날인 11월 3일 샤먼시 우둥(五通) 터미널에서 여객선을 탔다. 아침에 출발하는 첫 배였지만 빈 좌석은 거의 없었다. 소지한 여권과 옷차림을 살펴보니 전체 승객의 3분의 2가 중국인이었다. 필자 옆에도 중국인 사업가 2명이 앉았다. 그중 한 명인 리칭제 씨는 샤먼과 진먼다오를 오가는 무역상이었다. 리씨는 “진먼의 특산품을 구입해 중국에 팔고, 중국의 공산품을 진먼에 내다판다”며 “중국 상품의 품질이 향상됐고 물류비도 대만산보다 훨씬 낮아 중국산을 선호하는 진먼 주민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샤먼과 진먼다오를 오가는 여객선은 오전 8시부터 오후 5시 반까지 30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주행시간은 30여 분에 불과하다. 평일에는 터미널에서 바로 배표를 살 수 있지만, 주말에는 예약하지 않으면 배를 놓칠 수 있다.
지난해 진먼다오를 찾은 중국인은 54만4000명이나 됐다. 전체 관광객(141만 명)의 40%에 육박한다. 나머지는 대만 본토인(84만 명)과 순수 외국인(2만6000명)이다. 중국인 관광객은 진먼다오가 문호를 개방한 첫해인 2001년에는 951명에 불과했으나 2005년 1만4000명, 2010년 15만 명으로 해마다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자이산 갱도 병기 전시장에서 즐거운 한때를 보내는 중국인 관광객들. 모종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