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제지간에서 여야 국회의원으로 30년 만에 다시 만난 이재오 의원(왼쪽)과 노웅래 의원.
의원회관 사무실에서 일을 보고 있는데 어디선가 낯익은 목소리가 들려왔다. 이재오 선생님이셨다. 17대 국회에 입성하고 며칠 되지 않아 정신없이 분주하던 차에 선생님께서 먼저 내 사무실을 들르신 것이다.
“아이고, 선생님….”
나는 어쩔 줄 몰라 두 손만 마주잡고 쩔쩔맸다. 제자 된 도리로서 먼저 찾아가 인사를 드렸어야 했는데, 그렇지 못해서 무척이나 죄송했던 것이다. 그런데도 선생님은 개의치 않는다는 표정이었다. 그만큼 선생님은 격식을 싫어하고 속 보이는 체면치레보다 있는 그대로를 좋아하셨다. 남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올바로 사는 것을 생활신조로 삼고 계시기 때문이리라.
선생님과의 인연은 32년 전인 1974년, 내가 대성고등학교 2학년에 다니던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가을이 막 시작되는 새 학기 무렵으로 기억하는데, 국어를 담당할 새 선생님이 오신다는 얘기를 들었다.
사실 나는 국어 과목에는 별 취미가 없었다. 요즘 학생들은 그래도 ‘청소년권장도서’ 등 다양한 정보가 있고, 입시 문제도 그런 데서 출제되기 때문에 책을 읽을 기회가 많지만, 우리 때만 해도 그다지 읽을 만한 책도 없었고 설령 있다 한들 돈이 없어 사 읽을 형편이 못 됐다.
“국어책이 푸석푸석해서 그래”
선생님의 첫 수업 시간. 한마디로 첫인상은 ‘별로’였다. 마른 체형인데다 전체적으로 풍기는 느낌이 무미건조했다. 학생들은 어떻게 하면 선생님 눈을 피해 잠을 잘까 하는 생각만 했다. 이런 분위기를 눈치채셨는지 선생님은 우리들을 물끄러미 바라보시더니 “졸립지? 수업시간에 조는 것은 학생들 죄지만, 더 큰 죄는 재미없는 수업을 하는 선생님에게 있다”고 하셨다.
그러더니 “책을 덮고 그 위에 손을 얹어봐라. 따뜻하냐? 따뜻하지 않다면 너희들 감정이 메마르거나 국어책이 너희들 감정을 헤아리지 못하거나 둘 중 하나다. 그런데 내가 보기에는 국어책이 더 문제인 것 같다. 이렇듯 재미없는 책을 억지로 읽으라고 던져준 국가가 잘못됐다”고 하셨다. 어느 선생님도 국어책을 두고 그런 말씀을 하신 적이 없었기에 우리는 이게 도대체 무슨 소린가 했다. 그저 열심히 읽고, 달달 외고, 빨간 볼펜으로 줄 긋고…, 이게 국어 공부의 전부이던 시절이었다.
선생님은 국어를 배우는 이유부터 설명하셨다.
“옛말에 ‘입은 비뚤어져도 말은 바로 하라’고 했어. 그런데 우리나라 사람들 중엔 입 비뚤어진 사람은 별로 없는데 말은 참으로 엉망이야. 뚫린 입이라고 막말을 해대. 그런가 하면 입은 뚫렸는데 자기 생각은 없고 그저 남의 말을 대신 옮기기에 바쁜 사람이 있고, 심지어 다른 사람의 입을 막아 아무 말 못하게 하는 사람도 있어. 그 이유가 뭔지 알아? 바로 국어책이 그렇게 만들고 있어.”
선생님은 국어책이 정부의 지침이나 규격에 맞춰 획일적으로 만들어져서 재미도 없고 무미건조하다고 말씀하셨다. 뿐만 아니라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느끼기에는 콘텐츠도 턱없이 부족하다고 하셨다.
“과자가 좀 촉촉해야 어린 학생들 먹기에 좋은데 그저 푸석푸석하기만 해. 이래가지고 문학이 뭔지, 국어가 얼마나 아름다운 언어인지 어떻게 알겠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