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회한, 반성, 그리고 2010년을 기다리며

방송·상업자본의 빗나간 ‘애국 마케팅’… 희망은 ‘준비’ 속에 있다

회한, 반성, 그리고 2010년을 기다리며

1/4
  • 자본과 권력의 홍보도구로 변질한 응원문화
  • 오심 여론몰이, 즉각적 감독 교체는 16강 진출 실패 호도 목적
  • 공중파 TV ‘싹쓸이 중계’는 세계기록감
  • 경기 흐름 왜곡하고 룰 모르는 해설자들
  • 국민적 열정과 자부심, 국가발전의 동력으로
회한, 반성, 그리고 2010년을 기다리며

시민들의 순수한 의도와 달리 ‘애국적 응원’은 상업자본의 상술로 이용됐다.

7월10일 새벽 3시. 한국의 공중파 TV 3개 채널에서는 2006년 독일월드컵 결승전 이탈리아와 프랑스의 경기가 생중계되고 있다. 주심은 아이러니하게도 한국-스위스전 편파 판정의 장본인으로 지목됐던 아르헨티나 출신의 호라시오 엘리손도.

이 시각 서울시청 앞 잔디광장에는 적막만이 감돌고 있다. ‘투혼’과 ‘대한민국’을 새긴 붉은 티셔츠의 FC코리아 응원단은 사라진 지 오래다. 광화문과 시청 앞 주변 건물에 내걸린 초대형 걸개그림 중 일부만이 광고로서의 효용을 다한 채 남아 있을 뿐, 흥분과 열정의 붉은 물결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2006년 월드컵 관전을 위해 독일을 찾은 필자가 프랑크푸르트 공항에서 받은 첫 느낌은 이곳이 과연 월드컵 개막전이 열리는 곳인가 하는 의구심이었다. 올림픽과 월드컵을 성공적으로 치러낸 한국인의 상식으로는 공항 입국 게이트에서부터 월드컵 관련 기업 광고물이 넘쳐나야 했다. 공항에서 도심으로 진입하는 도로 주변에도 월드컵 홍보 배너가 줄을 잇고, 세계 각국 응원단을 환영하는 대형 현수막과 전광판이 즐비해야 했다. 하지만 그런 상상은 여지없이 무너졌다.

2006년 6월은 우리의 시선을 자연스레 2002년으로 향하게 한다. 2006년 6월은 분명 4년 전과는 양상이 다르다. 2002년 월드컵 때 ‘붉은악마’가 보여준 것은 자율적이고 순수한 열정에서 비롯된 국민적 축제였다. 그러나 2006년의 거리응원과 경기장 응원은 자본과 권력의 도구로 변질되고 말았다. 시민의 공간인 서울시청 광장은 거대자본이 선점했고, 월드컵의 국민적 인기를 이용한 갖가지 상술이 등장했다. 월드컵을 정치적 의도로 활용하려는 세력의 발호로 순수한 국민적 축제는 퇴색했다.

응원문화도 변질되어 2002년을 빛나게 한 긍정적인 면모는 자취를 감췄다. ‘대~한민국’이라는 구호는 그것을 외치는 이들의 순수한 의도와는 무관하게 광고 등 갖가지 부정적 요소에 의해 왜곡된 채 거대자본과 특정세력에 이용당했다.



공중파 방송은 막대한 광고 이익을 챙기기 위해 시청률 경쟁에 앞장섰고, 이에 편승한 광고주 기업들은 과도한 월드컵 마케팅 및 경쟁에 동참하며 월드컵 광기(狂氣)에 한몫을 담당했다. 방송의 공공성을 대표하는 메인 뉴스는 월드컵으로 도배됐고, 시사·교양 프로그램들도 하나같이 월드컵 특집으로 현지에서 제작되는 월드컵 일변도 편성이 이뤄졌다.

하루 21시간 월드컵 편성

2006년 6월, 월드컵 광풍(狂風)의 중심에는 언론이 있다. 방송은 시청률을, 신문은 판매 부수와 광고 수주를 높이고, 인터넷 매체는 조회 수를 늘리기 위해 혈안이 됐다. 축구의 본질은 제쳐놓고 선정적이고, 자극적이며 결과에만 연연하는 기사를 쏟아냈고 애국심으로 포장된 비뚤어진 문화를 양산했다. 그 문화에 동참하지 않으면 대한민국 국민이 아닌 것으로 매도되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됐다. 여기에 기업들의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된 구호식 응원과 연예인이 동원된 조직적 응원은 승리만을 갈구하는 비이성적 패거리 문화로 탈선할 여지를 만들었다. 그릇된 애국심과 마녀사냥식 분풀이는 후폭풍으로 불어닥쳤다.

이런 사회적 병리현상에 기름을 부은 곳은 대한축구협회였다. 대한축구협회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어게인(Again) 4강’목표를 설정하고 국민의 기대심리를 부추기며 현혹했다. 그러고는 16강 진출 좌절을 애꿎은 스위스전 주심의 오심(誤審) 탓으로 돌리며 실패를 호도했다.

1/4
김덕기 한국축구연구소 사무총장 saong50@naver.com
목록 닫기

회한, 반성, 그리고 2010년을 기다리며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