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8월호

중국의 對한반도 역사 인식과 전략 ‘신중화주의’

  • 전인갑 인천대 교수·중국학 jig8280@incheon.ac.kr

    입력2006-08-14 16:31: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중국의 對한반도 역사 인식과 전략 ‘신중화주의’

    ‘신중화주의’ 윤휘탁 지음/푸른역사/ 475쪽/2만5000원

    ‘천하’는 장구한 중국 역사의 핵심 화두였다. 세계를 화(華=문화)와 이(夷=야만)로 구분해 이해하는 화이론(華夷論)과 결합된 중국인의 천하 인식은 매우 독특하다. 중국인의 ‘천하’는 단순히 세상 혹은 세계라는 의미가 아니다. 광대한 영토를 통일한 대일통(大一統)의 중국은 자신들의 문화를 세계의 ‘유일한 보편’으로 절대화했으며, 압도적인 정치권력, 군사력과 경제력을 갖춘 세계의 ‘유일한 권력’이라 자부했다.

    그런데 아편전쟁 이후 강압에 의해 식민지보다 못한 ‘차식민지(次植民地)’로 전락하는 굴욕의 시대를 맞아 중국 중심의 천하에 대한 중국인의 자부심은 여지없이 깨졌다. 근현대 중국인이 경험한 굴욕의 저류에는 서구에 비해 경제적으로 낙후하고, 군사적으로 열등하다는 현상적인 문제뿐 아니라 ‘유일한 보편’으로 자부해 오던 자신들의 문화가 낙후와 열등을 초래했다는 문명사적 위기의식이 깔려 있었다.

    굴욕의 근대사를 막 통과한 현 시점에 중국에서는 개혁·개방의 과실(果實)을 바탕으로 ‘중화’에 대한 자신감을 점차 회복하고 있는 듯한 양상이 곳곳에서 감지된다. ‘굴기(푞起)’하는 중국은 이제 상식이 되었으며, 개혁·개방 이래 ‘현대화 건설은 놀라운 성취’를 일구어 “중국을 세계 강국의 대열에 우뚝 솟아오르게 하였다”는 자부심을 공공연히 드러낸다.

    이것은 지난 세기 천하의 중심에서 밀려나 동아시아의 병자(‘東亞의 病夫’)라는 멸시를 받으면서 지난하게 탐색했던 강한 중국의 회복이 상당 정도 성취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굴욕의 지난 세기와 전혀 다른, 어쩌면 세계의 중심이었던 과거의 영화를 떠올리게 하는 국격(國格)으로 세계와 소통하기 시작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논자에 따라서는 이러한 변화를 전통시대 중국 중심의 천하가 현대적인 양상으로 재현되는 조짐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신중화주의’도 그러한 논지를 기저에 깔고 있다.

    ‘중화민족 대가정 만들기’



    오랫동안 동북공정(東北工程) 문제에 천착해 온 중국사 연구자인 저자 윤휘탁(고구려연구재단 연구위원)은 그동안 긴 역사적 호흡으로, 자신감을 회복한 중국의 거시적 국가 발전 전략이라는 차원에서 중국의 대(對)한반도 인식 및 전략 그리고 최근 쟁점이 된 동북공정 문제를 조망하는 연구를 진행해왔다. 이 책은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신중화주의’라는 키워드를 통해 종합하는 한편 자신의 기존 연구를 수정 보완해 출판한 것이다.

    이 책의 대전제는 한반도 역사에 대한 중국의 인식에는 중국 나름의 중화주의적 논리가 일관되게 작용한다는 것이다. 동북공정을 비롯한 한반도 관련 역사 서술과 한반도(혹은 동북아) 전략 또한 이러한 논리가 기저에 깔려 있다고 판단한다. 그러므로 필자는 우리 사회에서 수많은 논란을 불러일으킨 동북공정 그리고 중국의 한반도 전략을 근원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신중화주의’에 주목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강조한다.

    필자는 중국의 통일적 다민족 국가론(多元一體格局論)인 ‘중화민족 대가정 만들기’를 신중화주의로 이해하고, 그 실체를 국가이념, 역사이론, 민족통합정책의 측면에서 밀도 있게 분석하였다.

    국가이념과 관련해서는 사회주의 정신문명 건설론과 애국주의(교육론)에서 모색되고 있는 중화민족 대가정 만들기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개인 보다는 국가와 인민의 이익을 우선하는 사회주의 정신문명 건설론은 개별적인 소수민족의 이익을 중화민족 전체의 이익에 종속시키는 논리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대가정 만들기’의 대내적 통합 이념이라고 설명한다. 애국주의(교육론)는 국민국가적 민족주의 외에 집단주의적 사회주의에 대한 애정까지 포괄한다는 점에서 또한 인민통합 이념의 기능을 가진다고 해석한다.

    중국의 역사 왜곡은 정치 문제

    역사이론과 관련해서는 이른바 통일적 다민족 국가론 분석을 통해 중화민족 대가정 만들기의 역사적 당위성을 분석하였다. 역사학에서 진행되는 대가정 만들기는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인 바, 이것은 현재 중국의 영토 안에 존재하는 모든 민족과 그 역사는 중국의 역사이며, 그 영역은 중국의 영역이라는 주장이다. 필자는 이 이론이 현재적 필요에 의해 가공되고 부풀려진 결과론적 역사인식이며, 국가주의적 역사관(觀)이라 비판한다.

    중화민족 대가정 만들기가 이론적 차원에서만 진행된다면 그리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도 있다. 필자는 이것이 현실 정책으로 구현되고 있다는 점에 특히 주목한다. 신장, 티베트 지역의 서부대개발과 동북진흥 전략이 소위 변방 민족을 ‘온전한 중화민족’으로 만들고 이 지역을 ‘온전한 중국의 영역’으로 만들어 중화민족 대가정의 분리할 수 없는 구성요소로 만들려는 ‘국부적(局部的) 국가전략’이라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 서부대개발과 동북진흥 전략을 민족 통합 정책의 일환으로 해석하는 것이 눈에 띄는 대목이다.

    이 책에서 또 주목할 점은 중화민족 대가정 만들기를 개혁개방 이후 격화되는 체제 이완과 민족 모순을 해소하는 한편 전통시대에 압도적인 힘을 가진 중화제국을 연상케 하는 새롭고 강한 중국을 만들기 위한 거시적 국가 전략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필자는 중화민족 대가정 만들기가 지닌 후자의 성격으로 인해 이를 신중화주의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논단은 전통적 중화주의의 패권주의적 요소-대내적으로는 한족 이외의 민족에 대해 억압적 통합 기능을 발휘하고, 대외적으로는 압도적 힘을 배경으로 한 중국 중심의 국제질서를 형성한 측면-가 현실화하고 있다는 필자의 ‘우려’를 반영한 해석이라 생각된다.

    이 책은 중화민족 대가정 만들기, 즉 신중화주의에 대한 분석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신중화주의가 한국의 현재와 미래에 심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강조한다. 필자는 중국의 국가전략 이해라는 거시적 관점을 기반으로 최근 우리 사회에서도 쟁점이 된 동북공정과 중국의 한반도 전략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동북공정 및 한반도 전략 속에는 중화주의적 논리가 깔려 있다고 보는 것이다. 그러므로 동북공정은 역사를 포함한 학술 문제인 동시에 신중화주의로 국가의 통일과 안정을 유지하려는 의도가 반영된 정치 문제라는 양면성을 띨 수밖에 없다고 강조한다. 한걸음 더 나아가 필자는 현재 중국에 의해 촉발되고 있는 역사 문제는 본질적으로 학술 문제라기보다는 정치 문제라는 점을 부각하려는 듯하다.

    한국판 중국위협론이 아니려면

    이 책은 ‘역사학과 사회과학이 중첩된 지대’를 연구한 것이다. 역사학자의 글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중국 대응 전략서라고 할 정도로 현실 문제에 깊숙이 개입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사학과 현실을 오가는 필자의 학문적 개성이 잘 드러난다. 현재 우리 사회에서 충분히 의미 있는 시도라는 점은 평가를 받아야 할 것이다. 다만 두 세계를 종횡하다 보니 다음과 같은 논리적 부정합이 발생한 듯하다.

    신중화주의를 논리적 정합성을 갖춘 개념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의 문제다. 중화주의는 대내외적으로 절대적 정치권력과 군사력, 그리고 압도적 경제력을 기반으로 중국 문화의 보편성과 국제질서에서 압도적 우위를 문화주의적으로 관철하는 논리였다. 또한 중화주의는 화이론과 왕토사상(王土思想)이 결합된 철학적 개념이기도 한다. 따라서 중화주의를 중국 중심주의 혹은 중국의 패권주의로 해석하는 것은 폭넓은 이해라 할 수 없다.

    필자가 말하는 신중화주의라는 개념이 학문적 정합성을 가지려면 무엇보다 중화주의를 형성했던 각종 기제가 신중화주의 속에서는 어떻게 존재하고, 작동되고 있는지에 답할 필요가 있다. 작금의 중국의 굴기, 그리고 패권주의적 경향으로도 해석될 여지가 있는 대국화 경향을 전통시대의 중화주의에 상응하는 현대적 중화주의, 즉 신중화주의라 정의한다면 현상적 분석에 머무를 위험성이 있다. 이러한 용어를 학문적으로 구사하는 데엔 더 많은 요소에 대한 신중한 고려가 요구된다.

    한편 신중화주의라는 개념이 설정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이것이 중국의 국가전략으로 유효하게 기능을 발휘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서도 보다 폭넓은 논증을 통해 규명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제기된 중국위협론이 중국에 대한 과도한 경계론으로 증폭되는 경향이 없지 않은데, 필자가 ‘신중화주의’ 주장을 통해 강조하는 중국경계론 또한 한국판(版) 중국위협론으로 비칠 우려가 있다.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