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이달의 추천도서

우리 신화의 수수께끼 외

  • 담당·구미화 기자

우리 신화의 수수께끼 외

1/4
우리 신화의 수수께끼 외
우리 신화의 수수께끼 조현설 지음

서울대 국문과 조현설 교수는 이 책을 통해 우리 신화와 동아시아의 신화가 별개의 것이 아님을 알려주는 시도를 한다. 저자는 서른 개의 수수께끼를 제시하고, 우리 신화와 만주, 하바로프스크 등에 전래되는 신화를 들려주며 정답을 유도한다. ‘단군신화의 웅녀는 어디로 갔을까?’ ‘단군의 어미는 곰인가 백호인가?’ 같은 물음이다. ‘단군신화’ 외에 농사 신 이야기인 ‘세경본풀이’, 삼신할미를 다룬 ‘삼승할망본풀이’, 집 신을 다룬 ‘성주풀이’ 등의 무가와 ‘나무꾼과 선녀’ 같은 민담을 통해 조상들의 최초 사유 형식을 엿보고, 중국·몽골·인도·베트남 신화와도 연관지어 보인다. 한겨레출판/309쪽/1만3000원

스펀지 4 KBS 스펀지 제작팀 지음

인기 오락 프로그램 KBS 2TV ‘스펀지’의 재미있고 유익한 내용을 담은 책 ‘스펀지’ 그 네 번째 편이 나왔다. 지난해 출간된 1∼3편 모두 베스트셀러가 된 만큼 4편 출간을 손꼽아 기다린 독자가 많았을 듯. ‘스펀지 4’는 2005년 1월1일 방송된 61회부터 5월14일 방송된 80회까지 매주 20%대의 시청률을 기록한 ‘스펀지’ 초절정기의 내용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그 내용을 살짝 엿보면, ‘공중전화에는 우리가 모르는 기능이 있다’ ‘사자가 청국장 냄새를 맡으면다’ ‘먹으면 잘하는 약(藥)도 있다’…. ‘스펀지 연구소’ 코너에서는 ‘왜 직선 라면은 없을까?’ 같은 18가지 과학상식을 재미있게 다루고 있다. 동아일보사/304쪽/8500원

일본 군국주의의 괴벨스 도쿠토미 소호 정일성 지음



도쿠토미 소호는 일제 강점기 때 일제 군부에 침략이론을 주입한 극우 내셔널리스트다. 선전·선동정치의 귀재로 독일 괴벨스와 견줄 만하다. 도쿠토미는 기자 출신으로 수십년간 일본 정계를 주무르고, 패전 뒤에도 살아남아 일본 내셔널리즘을 부활시킨 장본인이다. 이광수 등 숱한 조선 지식인이 친일파로 변절하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했고, ‘가쓰라-태프트 밀약’의 주인공 가쓰라 다로 총리의 정치고문이었으며, 한일강제합방 뒤 조선 언론 통폐합을 주도했다. 서울신문 기자와 일본 게이오대 객원연구원을 지내고 한일 관계사 연구에 천착해온 저자는 도쿠토미의 침략논리를 재조명하는 한편 극우 내셔널리즘 논리가 오늘의 일본 보수우익에게 어떻게 이어지고 있는지도 구명(究明)하고 있다. 지식산업사/317쪽/1만5000원

한국 보수세력 연구 남시욱 지음

우리 신화의 수수께끼 외
조선 말 개화 운동부터 최근의 뉴라이트 운동에 이르기까지 한국 보수세력의 역사와 인맥, 사상을 총정리하고, 보수주의의 미래를 모색한 책. 저자는 동아일보 편집국장, 문화일보 사장을 지냈으며 현재 세종대 석좌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남 교수는 한국의 보수세력을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정치적 이념으로 삼는 우파세력’으로 규정하면서 그 기원을 조선조 말 개화파에서 찾는다. 이들 근대화 세력은 1920년대에 사회주의자들과 구분해 민족세력 또는 우파세력으로 불리게 되고, 해방공간과 6·25전쟁 당시에는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를 지키는 데 앞장서면서 반공을 기치로 내세우게 됐다고 분석한다. 그러나 정치세계에서는 이념과 현실 사이에 항상 괴리가 있기에 한국의 보수세력도 긍정과 부정 양면의 평가를 받을 수밖에 없다고 본다. 남 교수는 한국 보수세력이 범한 과오로 일부 세력이 친일파로 변절하고 분단 정권을 수립했으며 권위주의 정권 수립에 앞장서거나 협력했다는 점, 정경유착과 관치금융을 꼽는다. 그럼에도 대한민국 건국과 민주화, ‘한강변의 기적’을 이루는 등 보수세력의 공로가 과오보다는 분명히 더 컸다고 강조한다.

저자는 2002년 대선과 지난해 4·13총선을 거치면서 보수세력이 한국사회 지배집단의 지위를 잃은 상황에서 “자유민주주의를 기본 이념으로 삼는 한국의 보수세력이 시대적 장애를 극복하지 못하면 자신들의 미래도 없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나남출판사/654쪽/3만5000원

다산과 연암, 노름에 빠지다 유승훈 지음

‘목민심서’를 통해 관리의 청렴을 강조한 다산이 기생들과 노름을 벌이고 3000전이라는 거금을 뿌렸다면 믿을 수 있겠는가. ‘다산과 연암, 노름에 빠지다’는 삼국시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시대를 풍미했던 도박의 종류와 놀이 방법, 도박에 얽힌 에피소드를 다룬 일종의 ‘도박사(賭博史)’다. 저자는 다산뿐 아니라 연암 또한 편지를 쓰다가 문장이 막히면 혼자서 왼손, 오른손을 양편으로 삼아 도박을 했으며 조선의 왕과 내시, 종친들도 도박에 사로잡혀 있었음을 각종 기록을 근거로 해 보여준다. 궁궐에서 종과 종친들이 술내기 도박을 하다 화로를 걷어차 불을 냈으며 신라 안압지에서 발굴된 목제 주사위에 ‘술 세 잔 한번에 마시기’ 같은 벌칙 문구가 새겨져 있었다는 등 흥미로운 일화가 담겨 있다. 살림/252쪽/1만2000원

1/4
담당·구미화 기자
목록 닫기

우리 신화의 수수께끼 외

댓글 창 닫기

2023/04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