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정계개편’ 시동 건 고건 전 총리 “박근혜와 연대, 협력할 수 있다”

  • 인터뷰·김승훈 자유기고가 shkim0152@hanmail.net 정리·허만섭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mshue@donga.com

‘정계개편’ 시동 건 고건 전 총리 “박근혜와 연대, 협력할 수 있다”

1/3
  • 고건 전 총리가 정치권 세몰이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열린우리당과 민주당을 타깃으로 삼은 듯하다. 그러나 고 전 총리는 최근 가진 인터뷰에서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와도 손잡을 수 있다”며 유연한 태도를 보였다.
‘정계개편’ 시동 건  고건  전 총리   “박근혜와 연대, 협력할 수 있다”
고건(高建·68) 전 총리는 최근 ‘희망한국국민연대’(이하 희망연대) 설립 의사를 밝혔다. 이는 내년 대권(大權)을 향한 장도에 첫 발자국을 찍은 것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그동안 “국민의 여망에 따라 결단을 내리겠다” “적절한 시점에 구상을 밝히겠다”며 정국을 관망해오던 고 전 총리. 그는 5·31 지방선거에서 열린우리당이 참패하자 “이번 지방선거는 나에게 국민이 무엇을 원하고 있는가를 근본적으로 고민하게 만들었다”는 ‘논평’을 냈다.

‘희망연대’는 7월26일 치러지는 재보궐선거 이후 활동에 들어갈 예정이다. ‘중도 실용주의 개혁세력’이 연대 대상이다. 고 전 총리는 “현 정치권이 꿈을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면서 “희망연대는 향후 사회 각 분야 일반 국민을 중심으로 한 시민운동 성격의 연대모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희망연대에는 민주당 전 의원 등 20여 명이 발기인으로 참여하며 고 전 대표는 공동대표를 맡을 전망이다. 이번 발표에 발맞춰 열린우리당 내 친(親)고건 인사인 안영근 의원은 고 전 총리의 ‘대권 로드맵’을 제시하기도 했다.

“고 전 총리는 올 연말쯤 범(汎)여권 통합기구를 만들어 내년 2월까지 희망연대, 열린우리당, 민주당이 통합해 새로운 당을 창당하고 내년 4~5월께 범여권 대선후보 경선에 참여한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6월10일 언론 인터뷰)

내년에 출범할 통합신당의 경선(競選)에 대해 안 의원은 “고 전 총리는 대선후보로 ‘추대’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며 “모든 기득권을 버리고 조건 없이 경선을 치르겠다는 구상”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고 전 총리측은 안 의원의 이 같은 발언에 대해 “우리와는 무관하다”며 일단 거리를 뒀다.



고건·박근혜·이명박 3자 구도

고 전 총리의 이 같은 움직임을 정치권도 주목하고 있다. 고 전 총리는 각종 여론조사에서 선두권에 있고, 향후 정치권이 유력 대선주자들을 중심으로 재편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6월5일 한국갤럽 여론조사에서 고 전 총리는 26.7%의 지지율로 1위에 올랐다.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가 24.4%, 이명박 서울시장이 22.8%였다. 5월24일 한국리서치 조사에선 이 시장이 1위(24.7%)였고, 고 전 총리가 2위(20.4%), 박 대표가 3위(18.3%)였다. 5월22일 코리아리서치센터 조사에선 박 대표가 선두(21.5%)였고, 고 전 총리가 2위(21.1%), 이 시장이 3위(18.1%)였다. 세 사람이 선두권 블록을 형성하며 엎치락뒤치락하는 모양새다.

고 전 총리가 국무총리에서 물러난 이후 특별한 활동을 하지 않고 있음에도 이렇게 높은 지지율을 유지하고 있는 데 대해 고 전 총리 지지자들은 ‘개인적 자질’을 요인으로 든다. 지난해 12월 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차기 지도자가 지녀야 할 덕목’은 국가운영능력-국민통합-안정감-도덕성-개혁성 순이었다. 고 전 총리는 이 5가지 면모를 모두 갖췄다는 주장이다. 이들은 노무현 대통령 탄핵 직후 대통령대행으로서 안정적 국가관리, 세계청렴인상 수상(국제투명성기구), 서울시 개혁 성공(미국 행정학회) 등의 실적을 내세운다. 고 전 총리도 “탄핵 직후 국민이 적극 협조해줬다. 국가관리엔 국민의 신뢰가 중요하다는 걸 실감했다”며 탄핵정국 운영이 대선주자 기반 구축의 계기가 됐음을 내비쳤다.

그러나 고 전 총리의 인기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도 만만치 않다. 열린우리당에 아직 경쟁력 있는 대선주자가 없다 보니 한나라당을 싫어하는 유권자들의 ‘갈 곳 없는 마음’이 하는 수 없이 고 전 총리에게 쏠리고 있다는 논리다.

‘거품론’도 빠지지 않는다. 고 전 총리의 자질이나 정치력이 제대로 검증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열린우리당이나 한나라당 일각에선 “이념과 노선 가리지 않고 군부독재에서부터 개혁정권에 이르기까지 각종 정치세력에 투신해 고위공직자 생활을 한 것은 ‘무원칙 개인주의’일 뿐이지, ‘국민통합의 자질’은 아니다”라는 평가가 나오기도 한다.

고 전 총리가 사실상 정계개편의 시동을 건 이후 열린우리당에선 “잠재적 우군일 수 있으므로 지켜보자”는 시각이 우세하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고 전 총리에 대해 날을 날카롭게 세우고 있다. 고 전 총리와의 연대 가능성이 낮다고 보기 때문이다. 더구나 한나라당은 “‘중도 실용주의 개혁세력은 여기 다 모여라’고 한 고 전 총리 진영으로 한나라당 내 중도 노선 의원들이 쏠릴 여지도 있다”고 우려한다.

또한 고 전 총리와 한나라당은 지지기반이 상당부분 겹친다고 한나라당측은 판단하고 있다. 보수 성향 유권자 중 상당수가 고 전 총리에게 호감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1/3
인터뷰·김승훈 자유기고가 shkim0152@hanmail.net 정리·허만섭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mshue@donga.com
목록 닫기

‘정계개편’ 시동 건 고건 전 총리 “박근혜와 연대, 협력할 수 있다”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