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편하지만 흥미로운 책, ‘시크릿 하우스’와 ‘불편한 진실’
사놓은 지 두 달이 되도록 차일피일 미루던 책을 집었다. 데이비드 보더니스의 ‘시크릿 하우스’(생각의 나무)다. ‘시크릿 하우스’라는 제목보다 ‘평범한 하루 24시간 숨겨진 특별한 과학 이야기’라는 표지설명이 더 와 닿는다. 흐음, 그건 모처럼 하루 종일 집 안에서 뒹굴고 있기 때문이리라. 침대시트와 바닥에 붙은 머리카락, 벽과 장의 좁은 틈에 뭉쳐 있는 먼지, 화장실 변기의 얼룩까지 평소에는 안 보이던 것들이 유독 한가로운 휴일이면 확대경을 달아놓은 듯 잘도 눈에 띈다. 치우자니 한이 없을 것 같다. 에라, 그냥 책으로 시선을 돌린다. 그런데 이 책 내용이 만만치 않다.
아침 7시, 사람들은 자명종의 충격파에 놀라 하루를 시작한다. ‘찰싹, 툭, 쿵!’ 침대에서 몸을 일으켜 바닥에 남자의 발이 떨어지는 순간의 충격으로 마루판자와 맞닿은 벽의 맨 아래층 벽돌이 0.000025cm 정도 움츠러든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그리고 사람은 곧바로 건물 벽에서 뿜어져 나오는 ‘전자비’로 샤워를 하게 된다. 전압은 1m당 180v. 글쎄, 0.000025cm만큼이나 감이 안 온다.
포름알데히드로 입 안을 깨끗이?
그 다음부터 일어나는 일들은 더욱 충격적이다. 인간의 피부조각, 각질가루를 먹고 사는 집먼지진드기의 존재다. 아무리 깨끗하게 청소한다 해도 거의 100%의 가정에 집먼지진드기가 있으며 보통 더블침대에는 200만마리쯤 서식한다. 이들을 퇴치할 뾰족한 방법이 없기 때문에 그냥 편안히 동거하는 편이 낫겠다.
눈을 뜨면 제일 먼저 향하는 곳이 화장실. 급한 용무를 해결하고 이를 닦는다. 이때 반드시 쓰는 치약의 성분은 30~45%가 그냥 수돗물이다. 나머지는 분필가루 성분인 석회. 이것이 치아의 법랑질을 갉아 누런 치석을 벗겨내면서 사실은 멀쩡한 이도 다치게 할 수 있다. 또 잠시나마 이가 하얗게 보이도록 해주는 이산화티타늄도 있다. 흰색 페인트 속에 들어있는 물질이라고 하면 이해가 빠르겠다. 그리고 치약을 말랑말랑하고 질척한 상태로 만들어주는 글리세린글리콜과 콘드루스 크리푸스, 파라핀유가 첨가된다. 이쯤하면 치약은 세탁기에 쓰이는 세제와 크게 다를 바 없다. 그래서 세제맛을 없애기 위해 박하향이 첨가된다. 이제 끝? 아니다. 방부제인 포름알데히드가 치약에 침투하는 세균을 말끔히 제거한다. 포름알데히드라면 ‘새집증후군’의 주범인 발암물질 아닌가. 아무리 소량이라 해도 그런 독성물질을 하루 세 차례 입에 넣는 것이 괜찮을까. 저자는 “여러 연구에 따르면 그냥 물만 묻혀 꼼꼼하게 칫솔질을 해도 치약을 쓰는 것만큼의 효과가 난다”고 슬쩍 일러준다.
이번엔 변기다.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앞으로는 ‘뚜껑을 닫고 물을 내리시라.’ 변기의 물이 뱅글뱅글 돌다가 내려갈 때 윗부분에 잠시 거품과 포말이 막처럼 생겨나는데 이때 50억~100억개의 미세한 물방울이 마치 안개처럼 공중에 분사된다. 막 인간의 소화기를 빠져나온 배설물 속의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물방울에 둘러싸여 쉽게 집 안으로 퍼져 바닥과 서랍장, 세면대, 칫솔, 화장실 벽에 들러붙는다. 책을 읽다가 볼일을 본 다음 변기뿐만 아니라 바닥과 벽까지 비누질을 해서 박박 문질러 닦았다. 과민반응일까.
데이비드 보더니스는 인간이 24시간을 보내는 집을 무대로 일상 속에 숨겨진 과학을 보여준다. 그런데 그 과학의 눈으로 밝혀낸 진실은 유쾌하지 않은 내용이 대부분이다. 순간 앨 고어 전 미국 부통령이 쓴 ‘불편한 진실’(좋은생각)이란 책이 떠올랐다. 지구 온난화 문제를 다룬 이 책의 번역자가 ‘시크릿 하우스’도 번역했다. 우연일까. 누군가는 우리에게 ‘불편한 진실’을 이야기해줘야만 한다.
차라리 눈감고 싶어라
자, 다시 ‘시크릿 하우스’로 돌아가자. 우리 입을 즐겁게 해주는 먹을거리의 진실은 충격적이다. 아침식사가 시작된다. 토스트 위에 발라먹는 마가린의 제조과정을 알고 나면 속이 메스꺼워진다. 마가린의 주원료는 콩과 생선에서 짜낸 지방, 신선함과는 거리가 먼 2등급 우유다. 이때 기름과 물을 골고루 섞기 위해 비누와 성분이 흡사한 유화제를 넣는다. 쉰 우유와 동물성 지방으로 이루어진 회색 덩어리에 비누와 전분 섞은 것에 콜타르가 원료인 초강력 색소와 향료, 그리고 비타민이 동원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