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모순어법(Oxymoron)

모순어법(Oxymoron)

2/8
‘The Sound of Silence’, 즉 ‘침묵의 소리’는 제목부터 모순어법이다. 노랫말 군데군데에도 모순어법이 드러난다.

이밖에 잘 알려진 침묵에 관련된 수사로는 thunderous silence(천둥과 같은 침묵), a silent demonstration(침묵시위), Silence is gold, speech is silver(침묵은 금이요, 웅변은 은이다) 등이 있다.

팝송 ‘I believe I can fly’에도 모순어법을 동원한 소절이 있다.

I believe I can fly.See I was on the verge of breaking down.
Sometimes silence can seem so loud.
There are miracles in life I must achieve.
But first I know it starts inside of me.

나는 내가 날 수 있다는 걸 믿어요.
내가 막 무너져내리려 했던 순간을 보세요.
어떤 때엔 침묵조차 너무 큰 소리로 느껴져요.
인생에는 내가 꼭 이루어야만 하는 기적들이 있어요.
그러나 무엇보다 먼저, 내 안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걸 난 알아요.


모순어법은 대립적인 사실이나 상반된 생각을 맞붙여놓음으로써 상황의 특이성을 강조하고, 맛과 멋을 극대화하는 수사법이다. 시인 고은(高銀)은 백두산 천지의 장관(壯觀)을 보고 “위대한 절망”이라고 표현한 바 있다. 인간의 능력으로는 창조할 수 없는 자연의 위대함을 인간의 왜소(矮小)함에 견주어 더욱 강조한 모순어법이다.



1979년 10월26일 밤 박정희 대통령이 급서(急逝)한 후 신군부세력은 집권 시나리오를 연출하는 과정에서 전략적으로 혼란을 야기했다. 혼란을 원했던 측에서 보면 당시의 상황은 clear confusion(깨끗한 혼란)이자, fine mess(멋진 혼란)이었다. 그때의 혼란은 accidentally on purpose(우연을 가장하여 고의적으로) 야기된 것이었다.

일반화한 모순어법

이미 격언이 된 의미심장한 모순어법도 많다. 영국의 시인 테니슨(Tennyson)의 His honour rooted in dishonour stood, and faith unfaithful kept him falsely true (그의 ‘영예’는 ‘불명예’에 뿌리박은 채 서 있고, ‘불충한 충성’은 그를 ‘거짓으로 진실’하게 하였소)나, 스코틀랜드의 시인 제임스 톰슨(James Thomson)의 Loveliness is, when unadorned, adorned the most (아름다움은 ‘장식하지 않을 때’ 가장 아름답게 장식된다), 존 밀턴(John Milton)이 ‘실락원(Paradise Lost)’에서 쓴 Out of good still to find means of evil (악의 수단은 선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등이 그 예다.

생활철학적인 요소가 깃들인 모순어법도 있다. less is more(덜 받는 것이 득이다), agree to disagree(서로 견해 차이를 인정해 다투지 말라), fall back in order to leap the better(이보 전진을 위하여 일보 후퇴하라) 등이다. More haste, less speed(급할수록 천천히)와 Make haste slowly(천천히 서둘러라)는 Haste makes waste(서두르면 일을 그르친다) 는 의미를 모순어법으로 표현한 경구다.

시대가 만들어낸 표현

시대가 변하면서 예전에는 볼 수 없던 상황이 생겨나기도 한다. We are living apart together(우리는 별거하지만 함께 살고 있는 것이다)란 문장에서는 live apart(별거하다)와 live together(함께 살다)가 서로 반대되는 개념이다. 이런 상황은 커플의 애정에 이상이 없다 해도 사회적으로 복잡다단한 요즘 흔히 있을 수 있는 현실이다. friendly divorce(사이 좋은 이혼)라는 것도 시대의 산물이다. home office는 원래 ‘회사의 본사’나 ‘본점’을 의미했으나 오늘날에는 ‘재택근무 사무실’을 말하고, home school은 ‘학교에 보내지 않고 부모가 가르치는 가정 학교’를 말한다.

일상사에서 사용되는 모순어법의 예는 실로 많다. faultily faultless(불완전하지만 결점이 없는), hopeful pessimist(가망성 있는 염세주의자), crowded solitude(군중 속의 고독), cruel kindness(지독한 친절), open secret(공공연한 비밀), current history(당대의 역사), genuine fake(진짜 가짜), laborious idleness(고된 나태), full-time hobby(직업 같은 취미), creative destruction(창조적 파괴), cold hotdog(식어버린 핫도그), roughly account(개략적 정산), accurate estimate(정확한 견적), detailed summary(자세한 요약), guest host(주인 행세하는 손님), horribly good(지독하게 좋은) 등이 모두 모순어법이다.

2/8
저자 이윤재 / 편집기획·진행 구미화
목록 닫기

모순어법(Oxymoron)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