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망우리 별곡─한국의 碑銘문학·마지막회

근대 서양의학의 선구자 지석영과 오긍선

“우리 가족을 실험해야 남에게 쓸 수 있지 않느냐”

  • 김영식 수필가, 번역가 japanliter@naver.com

근대 서양의학의 선구자 지석영과 오긍선

1/5
  • 우리나라 최초로 외국에서 서양의학을 배워 온 이는 지석영(池錫永·1855~1935)이고, 최초의 미국 의사는 1892년 조지워싱턴 의대를 졸업한 서재필(1864~1951)이다. 두 번째 의사는 1900년 볼티모어 여자의대를 졸업한 김점동(미국식 이름 박에스터·1879~1910)으로 그는 최초의 여의사이기도 하다. 세 번째가 1907년 루이빌 의대를 나온 오긍선(吳兢善·1878~1963)인데 그는 조선인 최초의 피부과 의사이며 최초의 세브란스의전 교장이었다. 근대 의학의 선구자인 지석영과, 조선 의학계의 대부로 불린 오긍선이 망우리공원에 함께 묻혀 있다.
근대 서양의학의 선구자 지석영과 오긍선

망우리공원 지석영 선생 묘(왼쪽).

“옛날 어린이들은 호환(虎患), 마마, 전쟁 등이 가장 무서운 재앙이었으나 현대의 어린이는 무분별한 불법비디오를 시청함으로써 비행청소년이 되는 무서운 결과를 초래합니다.”

수년 전까지만 해도 비디오 영화를 보면 항상 이런 문구가 앞부분에 나왔다. 불법비디오의 패악을 드러내기 위한 선전문구이지만, 여기서 천연두(마마)가 조선시대에 얼마나 무서운 병이었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실제 마마는 조선시대 치사율이 30%를 넘나드는 불치병이었으며 용케 살아남은 사람도 그 자국이 얼굴에 남아 평생을 곰보로 살아야 했다. 바로 그 천연두를 사라지게 한 주인공이 송촌(松村) 지석영이다. 지금도 왼팔에 불주사 흔적이 없는 국민이 없으니 송촌이야말로 우리에게 가장 밀접하고 광범위한 은혜를 베푼 분이라고 할 수 있다.

망우리공원 관리사무소에서 동락천 방향으로 1km 정도 걸어가면 오른편에 지석영 묘 입구가 보인다. 올라가는 길이 좀 애매한데, 잘 둘러보면 나무에 작은 안내판이 붙어 있다. 안내판을 지침 삼아 오른쪽 2시 방향으로 올라가면 너른 터에 묘 두 기가 나란히 자리 잡고 있다.

근대 서양의학의 선구자 지석영과 오긍선

생전의 지석영 선생.

왼쪽이 송촌거사(松村居士) 지석영의 묘인데, 이때 거사(居士)라 함은 출가하지 않고 불교에 귀의한 자를 가리킨다. 지석영은 집에 불상을 모셔놓을 정도로 독실한 불교신자였다. 비석의 앞뒤 글은 흰 돌에 한문으로 새겨놓아 잘 보이지 않는다. 생전에 한글 사용을 그토록 제창한 그인데 비문에 온통 한문만 있는 게 고개를 갸우뚱하게 한다. 비석은 1962년 8월12일에 새로 세워졌고 글을 지은 이는 백낙운(白樂雲), 글씨를 쓴 이는 윤희화(尹禧禾)다. 백낙운은 개화파로 갑신정변에 참여한 사실이 사료에 보인다.

근대 서양의학의 선구자 지석영과 오긍선

지석영 묘 비의 앞뒤.

오른쪽은 장남 춘우거사(春雨居士) 지성주(池盛周·1895~1959)의 묘다. 지석영의 부친 지익룡(池翼龍)은 양반이라 개업은 하지 않았지만 한의학에 정통했고, 지석영의 장남 지성주는 1919년 경성의전(내과 전공)을 졸업한 후 개업했는데 1927년 및 1928년 동아일보에 독자를 위한 의학 관련 기사를 실을 정도로 장안의 명의로 소문났다. 그의 장남 지홍창(池弘昌)은 서울의대 박사로 군의관을 거쳐 박정희 대통령 주치의를 지낸 바 있다. 또 지홍창의 장남 지무영은 가톨릭의대를 나와 현재 서울 송파구에서 지내과의원을 경영하고 있으니, 고조부로부터 따지면 5대째 의사 가문인 셈이다. 지무영 원장은 그동안 소장해오던 지석영 선생의 유품 133점을 지난 2007년 서울대병원 의학박물관에 기탁한 바 있다.



곰보의 은인

1931년 1월25일 매일신보는 “조선의 제너, 송촌 지석영선생, 곰보를 퇴치하던 고심의 자취. 신미(辛未)의 광명을 찾아”라는 제목으로 지석영 인터뷰 기사를 실었다. 자료의 상태가 좋지 않아 읽기 어려운 부분은 일부 생략하며 현대문으로 고쳐 옮기면 이렇다.

“음력으로 섣달 스무닷새 날이었는데 좋은 재주를 배우고 또 약간의 약까지 얻기는 하였지만 도무지 그것을 시험할 데가 없구려. 비록 장가는 들어서 아내는 있으나 나에게 소생이 없으니 시험할 수 없고, 남의 자식에게 시험을 하자니 아직 우두(牛痘)가 무엇인지 모르는 그 부모가 허락할 리가 없고 해서 어떻게 할까 망설일 즈음에 마침 나이 어린 처남 아이가 생각납디다 그려.

그래서 한번 시험을 해보고자 하였더니 우두라는 것은 외국 사람이 조선 사람을 죽이려고 만든 것인데 이 아들에게 놓는다니 될 말이냐고 장인이 펄펄 뛰며 나를 미친 사람으로 돌리는구려. 그러니 어디 해볼 수가 있소? 그러다가 내가 한 계교를 생각하여 사위를 믿지 않는 처갓집에는 있을 수가 없다고 그대로 상경을 하려고 하였더니 나의 정성에 감동이 되었음인지 그때서야 장인 되는 사람이 그러면 어디해보라고 어린 아들을내밉디다그려.

그래서 물실호기(勿失好機)라고 즉시 우두를 하였더니 사나흘 만에 팔뚝에 완연한 우두자국이 나지 않겠소? 그 나흘 동안 내가 가슴을 졸인 것은 이루 말할 수가 없거니와 팔뚝에 똑똑하게 우두자국이 나타나던 그때 나의 기쁨이라고는 무엇에 비할 수가 없는 것이었소. 나의 평생으로만 보더라도 과거에 급제한 때와 유배에서 돌아온 때와 같은 크나큰 기쁨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아까 말한 그때의 기쁨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었소. 그때 나의 나이는 스물다섯이었던가?…”

1/5
김영식 수필가, 번역가 japanliter@naver.com
목록 닫기

근대 서양의학의 선구자 지석영과 오긍선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