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터민 정착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기관인 하나원에서는 총수업 120시간 중 경제교육에 6시간을 배정하고 있을 뿐이다. 그나마 올해부터는 수강생들의 의견을 반영해 경제원론적인 수업보다는 실무적인 내용으로 바꿔나가고 있다. 보이스 피싱(전화사기)과 같은 신종 사기방지 수업이 그런 예다. 이밖에 소수 시민단체와 교회를 중심으로 몇 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지만 이마저 경제교육이 중심인 경우는 거의 없고, 있다고 해도 일회성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고려대 북한학과 박현선 교수는 “앞으로 국내에 정착하는 새터민은 더욱 증가할 것이다. 체계적인 교육과 지원이 없다면 사회적 문제가 될 수 있다”라고 경고했다.
수강생 절대 부족

경기 안성에 있는 탈북자 지원시설 하나원 전경.
성신자유프로그램은 지금까지 3기 수료생을 냈다. 10차례 걸친 강의에서 경제관련 수업은 3개. 1기 수료생인 한 학생은 “수업이 원론적인 내용이라 좀 아쉬웠다. 좀 더 생활에 밀착한 경제 이야기를 해주었다면 좋았을 것”이라고 평했다. 1기 보조교사로 참가했던 대학생 임유선(23·성신여대)씨는 “관심 있어 오는 분들이라 대부분 강의를 진지하게 듣는다”라고 했다.
자유시민대학은 2002년부터 지금까지 6년간 약 310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현재 교육 중인 8기에는 60명이 참가하고 있다. 취업교육, 새터민 출신 창업자 강의 등 실질적인 경제교육이 커리큘럼에 포함돼 있다.
윤국 간사는 “취업반, 창업반으로 나눠 8개월 교육 후 사회 진출을 돕는 것이 목표”라고 소개했다. 자유시민대학은 모든 수강생에게 장학금 명목으로 매월 25만원을 준다. 윤 간사는 “생업을 이어가야 하는 이들을 마냥 붙잡고 수업만 할 수 없기 때문에 마련한 제도”라고 덧붙였다. 우수 학생에게는 창업 지원금도 제공한다.
이밖에도 새터민을 대상으로 운영되는 프로그램이 몇 개 더 있지만, 대부분 일회성에 그치고 있다. 교육 대상인 새터민을 모으기가 쉽지 않은 탓도 있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정착 지원 프로그램이 대부분 일회성에 그친다는 지적이 많다. 사진은 지난해 부산 해운대경찰서가 개최한 새터민을 위한 추석절 위로행사.
경영교육전문기업 휴넷은 통일부 후원을 받아 2006년 ‘북한이탈주민 MBA베이직’ 과정을 운영했다. 2기까지 운영하고 지금은 중단한 상태다. 1기 교육에 참석한 30명의 학생 가운데 10명이 수료했고, 대학생만 대상으로 한 2기 과정에는 지원자가 5명에 불과했다. 휴넷 담당자는 “당분간 새터민 대상 수업은 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 2005년에는 도이치방크와 사회연대은행이‘탈북자 지원사업에 관한 협약’을 맺은 바 있다. 도이치방크가 새터민 정착지원을 위해 5만유로를 사회연대은행에 기탁하기로 한 것. 당시 도이치방크는 심사에 합격한 새터민에게 2000만원의 창업지원금과 컨설팅을 해주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