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대우건설 인수 지원 자금 회계처리 논란

4조1000억원 ‘신용위험’ 숨기기 성공?

  • 윤영호 동아일보 신동아 편집위원 yyoungho@donga.com

대우건설 인수 지원 자금 회계처리 논란

1/2
  • 금호아시아나그룹 유동성 위기설은 ‘대우건설 풋백옵션’ 해소에 필요한 자금이 무려 4조1000억원이나 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비롯됐다. 그럼에도 일반 투자자가 금호아시아나 계열사 재무제표를 아무리 열심히 뒤져도 이런 ‘신용 위험’을 발견할 수 없다. 도대체 어떤 마술을 부린 것일까.
대우건설 인수 지원 자금 회계처리 논란

금호아시아나 그룹 전략경영본부 오남수 사장이 7월31일 실적 발표회에서 대우건설 풋백옵션 해소 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활엽수는 참나무다. 우리나라 산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다. 그런데 막상 식물도감에는 참나무가 나오지 않는다. 참나무과 참나무속의 갈참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등을 통틀어 참나무라고 부르기 때문이다.

신용분석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이 차입금이다. 차입금은 신용분석의 존재 이유다. 그런데도 재무제표에는 차입금이라는 항목이 따로 없다. 단기차입금, 유동성 장기차입금, 장기차입금, 사채 등만 확인할 수 있다.

참나무는 참으로 강인한 생명력을 가지고 있는 수종이다. 산불로 새까맣게 그을린 산야에서 제일 먼저 새로운 가지를 밀어올리는 것이 참나무다. 차입금의 생명력도 그에 못지않다. 절대 다수의 금융혁신이 차입금을 둘러싸고 일어난다.”(윤영환 굿모닝신한증권 크레딧 애널리스트)

다소 길게 인용했지만 차입금의 진화에 대해 이만큼 정곡을 꿰뚫은 설명도 달리 없을 것이다. 윤 애널리스트는 “금융혁신으로 차입금의 구성과 성격이 날로 복잡해지고 있어 간혹 이름만으로는 차입금인지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고, 심지어 재무제표를 떠나 주석사항으로 이사 간 차입금도 있다”고 설명했다. 또 차입금의 구조 설계가 워낙 복잡해서 어지간해서는 실체 파악이 쉽지 않다고 했다.

이런 점에서 기업 인수·합병(M&A) 때 재무적 투자자(FI)들로부터 동원한 자금이 이슈가 될 수 있다. 금호아시아나그룹 유동성 위기설의 진원지 가운데 하나인 ‘대우건설 풋백옵션(put back option·매도선택권)’ 문제도 그런 이슈 가운데 하나다.



대우건설 주가 마지노선 3만4000원

대우건설 풋백옵션이란 대우건설 인수 과정에서 자금을 지원한 금융기관에 부여한 매도선택권을 말한다. 금호아시아나는 2006년 말 대우건설을 인수하면서 총 인수대금 6조4056억원 가운데 3조5299억원을 국민은행 신한은행 등 18개 재무적 투자자(FI)로부터 지원받았다. 나머지 2조8757억원은 금호산업 금호타이어 등 금호아시아나 계열 5개사가 부담했다.

문제는 최소수익률 보장 차원에서 FI들에게 부여한 풋백옵션에 의해 금호아시아나는 내년 12월15일 이후 대우건설 주가가 행사가격인 약 3만4000원(배당금·감자대금 제외시)을 밑돌 경우 이 가격으로 되사줘야 한다는 점. 이때 금호아시아나 측이 부담해야 할 자금이 4조1000억원 정도로 추산된다.

시장의 유동성 위기설도 여기에서 출발했다. 8월8일 현재 대우건설 종가는 1만2850원으로 행사가격을 크게 밑돌고 있다. 물론 풋백옵션 행사 기간이 1년 이상 남아 있어 섣불리 예측하긴 힘들다. 그러나 대우건설 주가가 행사가격을 밑돌아 FI들이 풋백옵션을 행사할 경우 금호아시아나가 이 자금을 감당할 수 있겠는가 하는 우려가 시장에 퍼지면서 유동성 위기설이 불거졌던 것.

금호아시아나 측은 이에 대해 FI들이 풋백옵션을 행사하는 최악의 상황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도록 그룹 전체 자산 감축 등의 방법을 통해 총 4조5740억원의 자금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박삼구 회장도 8월1일 한 특강에서 “외환위기 당시 부채비율이 400∼500%에 달할 정도로 어려울 때에도 공적자금 등 외부지원 한 푼 받지 않고 선택과 집중을 통해 살아남았다”며 “올해 그룹 순이익이 1조원대를 넘어설 것으로 기대되는 등 자금 흐름이 원활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시장 일각에선 전반적으로 경기가 좋지 않아 금호아시아나 측 기대대로 위기설이 잠잠해질지는 미지수라는 반응도 있다. 그러나 다소 과장됐다는 반응이 우세한 편이다. 금호아시아나 측과 거래가 많은 한 은행 임원도 “금호아시아나 측에 마이너스 대출 한도가 설정돼 있지만 금호아시아나는 아직 마이너스 대출을 한 푼도 쓰지 않을 정도로 유동성에 큰 문제가 없다”고 귀띔했다.

1/2
윤영호 동아일보 신동아 편집위원 yyoungho@donga.com
목록 닫기

대우건설 인수 지원 자금 회계처리 논란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