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을회관에서 담소를 나누는 할머니들.
은사시나무가 제 잎을 떨구는 늦가을이 되면 마조마을은 가장 바쁘게 돌아간다. 감 수확 철, 그러나 감나무에 올라갈 젊은이는 사라진 지 오래다. 일손이 부족해 발을 동동 구르고 결국 진안군청 공무원과 인근 군부대 장병들이 마을을 찾아 감 따기를 돕는다. 마조마을에서 생산되는 곶감은 씨가 없다. 운장산 우라늄 광맥의 영향이라는 추측만 있을 뿐 아직도 그 이유는 모른다. 여기에다 일교차가 큰 고랭지에서 말리기 때문에 당도가 높아 인기가 좋다. 그래서 늦가을 한철 돈을 좀 만질 수 있다고 한다.
마조마을과 인근 학동마을을 조금 벗어난 계곡에 위치한 용담호는 석양이 아름다운 호수다. 남한의 개마고원으로 불리는 진안고원 깊숙이 자리 잡은 이 호수는 2000년 용담댐이 건설되면서 만들어진 인공호수. 전북 동부 산악지대인 진안군 정천, 주천 등지에서 흘러드는 하천을 막으면서 당시 이 지역 대부분이 수몰되었다. 1읍, 5면, 68개 마을이 잠기면서 한때 깊은 밤에는 귀신 흐느끼는 소리가 들린다는 괴담이 나돌기도 했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석양의 용담호는 일반적으로 호수의 낭만적인 이미지보다는 적막, 고독 등 애상적인 표현이 오히려 더 어울리는 묘한 매력을 담고 있다.
용담호는 새벽 물안개로도 유명하다. 그래서 사진작가들은 이곳의 새벽을 렌즈에 담기 위해 며칠 밤을 새운다. 특히 호수 주변의 가을 낙엽은 표현할 수 없으리만큼 선명하다고 한다. 물위에서 피어오르는 안개 때문에 서리를 직접 맞지 않아 색조가 유난히 곱다는 게 셔터 누르기에 열심이던 권태균 선생의 설명이다.
마조마을을 옆에 둔 인근 학동마을도 마조마을과 쌍벽을 이루는 오지마을이다. 첩첩산중으로 예전엔 정천면 소재지까지 나가려면 12개의 돌 징검다리를 건너야 했을 정도로 외지다. 여름철 비만 오면 초·중학생들은 결석하기 일쑤였고 수업 중에도 비가 내리면 징검다리가 잠길까봐 학동마을 아이들은 무조건 귀가시켰다고 한다.
신도 세명의 초미니 교회

마조마을의 토종탉들. 암환자의 원기회복에 도움이 된다.
살다보면 그리움이 깊어지는 시간이 있다. 그런 사람들은 학동마을 입구에 생을 다한 조림초등 학동분교를 둘러보면 된다. 달랑 시멘트 건물 하나가 잡초더미 속에 웅크리고 있는 학동분교는 찾는 이에게 그리움의 의미를 한껏 전해 준다. 무너질 듯한 건물 앞에는 석고상이 있다. 이름 하여 ‘책 읽는 소녀’다. 어느 먼 서양 소녀상을 흉내낸 듯한 벗겨지고 낡은 소녀 조각상이 석양에 야위어간다. 저 소녀가 읽고 있는 책은 도대체 무엇일까? 아무래도 소공녀일 것 같다. 지금의 신세대들이야 화투 뒷장 같은 디자인의 빨간 표지판 ‘소공녀’‘소공자’를 알기나 하겠는가.
그리움이 깊어지는 시간
산골짝 마을에서 만난 폐분교 앞에서 여행자들은 저마다의 영감을 느낄 것이다. 빛바랜 교사, 무성한 잡초, 냄새조차 말라버린 푸세식 화장실, 풀꽃. 아득한 시절 문 닫은 학동분교에는 운장산 기슭, 이 작디작은 마을의 과거와 현재, 사랑과 추억의 모든 것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그리하여 모든 틈입자는 까마득한 과거가 되어버린 추억의 분교 앞에서 저마다의 그리웠던 순간들을 되새기며 고개를 숙이게 되는 것이다.

116년 된 학동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