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2월호

맥베스-추악한 권력욕 그 뒤에 숨은 인간

사랑하라, 오페라처럼

  • 황승경 | 국제오페라단 단장, 공연예술학 박사

    입력2016-12-06 13:51:13

  • 글자크기 설정 닫기
    • 셰익스피어는 맥베스 부인이 단순히 악행의 조력자가 아니라 악행의 지휘자라는 점을 강조했다. 왕이 된 맥베스가 신기(神氣) 있는 마녀들의 예언에 의지한다는 주술적 상황이 어딘지 낯익다.
    작곡가 베르디가 셰익스피어의 ‘맥베스(Macbeth)’를 통해 드러내려고 한 것은 매우 성찰적이다. 단순한 권선징악은 아니다. 살다 보면 우리가 예기치 않은 호랑이굴에 들어가거나, 악(惡)한 사람도 약(弱)한 사람이 되어 두려움에 떨 수 있으니 세상 잣대를 너무 엄격하게 적용하기보다는 조금 여유를 갖고 사색해보자는 것 아닐까 한다.

    온 나라가 최순실이라는 여인 때문에 들끓고 있다. 언론에 보도되는 그의 전횡과 국정농단 사연들로 민심은 실망을 넘어 절망의 공황상태다. 2년 전 그의 남편 정윤회 씨가 검찰 포토라인에 선 이후 그간 의혹투성이로 남아 있던 퍼즐이 이제야 하나 둘씩 맞춰지는 느낌이다. 정씨의 뒤에 최씨가 있다는 소문이 상당 부분 사실로 드러난 것이다.

    눈길을 끄는 것은, 이들 부부가 권력을 손에 넣기까지는 찰떡궁합이었지만 막상 권력을 손에 쥔 후에는 마음이 바뀌었다는 점이다. 남편조차 자신의 앞길에 걸림돌이라고 여겼을까. 최씨는 남편이 비선 실세로 의심을 받던 무렵 정씨와 이혼한다.

    이들 부부 못지않게 권력욕이 강한 부부를 오페라에서도 볼 수 있다. 맥베스 부부다. 이들은 권력에 대한 탐욕의 불씨를 살리기 전까지만 해도 ‘금수저’답게 우아하고 명예로운 인생을 살고 있었다.

    셰익스피어 4대 비극의 주인공 중 한 명인 맥베스는 11세기 스코틀랜드에 실존한 인물이다. 던컨 왕의 사촌인 맥베스 장군은 위험에 빠진 조국의 최전방에서 용맹을 떨친 애국자다. 그런 그가 탐욕에 현혹돼 급기야 왕을 죽이고 스스로 왕좌에 앉아 18년간 스코틀랜드를 통치한다. 그러다 결국에는 자신에게 반기를 든 세력과의 전쟁에서 목숨을 잃고 권력도 잃는다. 역사엔 ‘반역자’ ‘공포통치자’로 기록된다.



    다양한 해석의 場

    셰익스피어는 이 인물을 연극 소재로 택해 사건보다는 인간의 이중적이고 다면적인 내면 심리를 탁월하게 그렸다. 덕분에 탁월한 문학작품으로 많은 이의 가슴에 남았다. 요즘 TV 사극에서도 시대를 풍미한 역사적 인물들의 활동에 극적 요소를 가미해 인기를 끄는데, 이런 형식의 원조가 바로 셰익스피어다.

    셰익스피어는 맥베스의 아내가 단순히 악행의 조력자가 아니라 악행의 지휘자라는 점을 강조했고, 맥베스가 신기(神氣)가 있는 마녀들의 예언에 의지한다는 주술적 상황을 설정했다. 지금 우리의 현실정치에서 이런 상황을 다시 보는 것 같아 섬뜩하기도 하고, 씁쓸하기도 하다.

    문학으로서의 ‘맥베스’는 언어 자체가 매우 수려하다. 예컨대 1막 1장에서 마녀들은 “고운 것은 더럽고, 더러운 것은 곱다(Fair is foul, foul is fair)”고 말한다. 안개 속 더러운 공기를 뚫고 날아가자며 마녀들이 하는 말이지만 다양한 해석의 장을 열어준다. 11월 말 세종문화회관에서 서울시오페라단 제작 오페라 ‘맥베드’를 무대에 올릴 연출가 고선웅은 이 말을 ‘빈 것은 차 있고, 찬 것은 비어 있다’는 동양의 노장사상에 비유했다. 그는 “맥베스는 색즉시공 공즉시색, 결국 무상함을 얘기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처럼 연극적 요소가 빼어나다고 해도 이를 음악에 어떻게 담아내느냐는 또 다른 문제다. 작곡가 베르디는 어릴 때부터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을 침대 머리맡에 두고 읽을 정도로 셰익스피어의 문체를 탐독했다. 셰익스피어가 만들어낸 예민한 인물들의 섬세한 묘사를 읽으며 소년 베르디는 악상을 계속 떠올렸을 것이다. 실타래처럼 얽히고설킨 인간의 고뇌를 더 사실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음악적 이미지를 고심했을 것이다.



    나도 따라 부를 수 있는 아리아맥베스의 마지막 절규

    Mal per me che m’affidai                    
    Ne’ presagi dell’inferno!                   
    Tutto il sangue ch’io versai            
    Grida in faccia dell’Eterno!            
    Sulla fronte maledetta            
    Sflgor? la sua vendetta!        
    Muoio al cielo al mondo in ira,        
    Vil corona! e sul per te!

    악마의 예언에 눈이 멀어서
    내가 이렇게 고통받아야 하다니!
    내가 흘리게 한 피는 하늘로 흘러서
    영원의 얼굴로 흐느끼는구나!
    저주받은 자의 이마에는 이제
    복수로 그의 번개가 내리치고!
    하늘의 눈과 사람들로부터 버림받은 나,
    저주받은 왕관 때문에 이렇게 죽는구나!

    *맥베스가 죽으면서 하는 대사이지만, 공연에서는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권력무상을 실감케 한다.

    추천 영상(유튜브)

    ■ 바스티유 오페라극장 공연(2009년)
    https://www.youtube.com/watch?v=Ze_W5PR5MMw
    디미트리스 틸리아코스(맥베스)
    주목받는 오페라 연출가 드미트리 체르냐코프가 새롭게 해석한 오페라 ‘맥베스’의 3막이다. 방코의 환영을 보고 과거의 악행을 떠올리며 두려움에 떨던 맥베스가 마녀들의 주술에 안심하는 장면이다. 현대적 감각의 연출이 만들어내는 인물들의 내면 심리 표출이 일품이다. 그의 터치로 오페라가 이렇게 변화할 수 있다는 게 놀라울 따름이다.

    ■ 함부르크 마리아 칼라스 콘서트 실황(1959년)  
    https://www.youtube.com/watch?v=4fsOVCnE_WY
    오페라 1막에서 나오는 맥베스 부인의 아리아 ‘Vieni t`affretta’이다. 왕이 될 것이라는 마녀들의 예언을 받은 남편의 편지를 읽고서 왕위 찬탈의 욕망을 불러오는 아리아다. 콘서트이지만 마리아 칼라스의 표정과 손동작 등의 표현만으로도 레이디 맥베스의 강렬한 악의적 탐욕을 느낄 수 있다. 과연 칼라스답다.

    ■ 이탈리아 스칼라극장 공연(1997년)
    https://www.youtube.com/watch?v=dZcRzNpRHPI
    레나타 브루손(맥베스), 마리아 굴레기나(맥베스 부인)
    지휘자 리카르도 무티의 정확하고 심오한 음악이 일품이다. 백전노장 바리톤 브루손의 농익은 맥베스 연기와 당시 떠오르는 차세대 드라마틱 소프라노 마리아 굴레기나의 맥베스 부인은 정통 이탈리아 오페라의 진수를 보여준다. 다만 음악에 너무 치우친 전통적인 해석 방식이 다소 아쉽다.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