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심사 경위

전진우 동아일보 대기자, 소설가 정길연, 문학평론가 하응백씨(왼쪽부터) 등 본심 위원들이 당선작을 가리고 있다.
응모작은 총 38편이었고, 이 가운데 7편이 본심에 올랐다. 3명의 본심 심사위원이 각각 7편을 검토했으며, 9월25일 ‘신동아’ 회의실에서 최종 당선작 3편을 선정했다. 심사위원들은 서영호씨의 ‘어느 채권추심원의 일기’를 최우수작으로, 박미애씨의 ‘파리에는 95번 버스가 있다’와 백이호씨의 ‘홍콩 트랩, 컨테이너터미널 공사’를 우수작으로 뽑았다.
▼ 심사위원
본심 : 하응백(문학평론가) 정길연(소설가) 전진우(동아일보 大記者)
예심 : 이상락(소설가)
▼ 심사평
〈하응백〉 “오늘, 여기에 사는 사람들의 생동감 두드러졌다”

심사위원 세 사람 모두 최우수작으로 서영호씨의 ‘어느 채권추심원의 일기’를 지목했다. 이 작품은 1997년 금융위기 직후, 직장을 잃은 화자(話者)가 몇 년 고생하다가 채권 추심업체의 추심원이 되어 경험한 일들을 일기체 형식으로 기술하고 있다. 이 작품은 신용불량자가 되어 빚을 지고 쪼들리며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다시 빚 변제를 독촉하고 돈을 받으러 다니는 한 인간의 심리와 처지를 담담하게 묘사했다. 그 담담함이 감동으로 다가오는 것이 이 작품의 가장 큰 매력이다. 화자는 채무자와 채권자 사이에 있지만, 그의 처지도 채무자와 크게 다르지 않다. 여기에서 공감이 온다. 이 시대에는 누구나 실직자가 될 수 있고, 거리로 내몰릴 수 있으며, 신용불량자가 될 수 있다.
우수작으로 박미애씨의 ‘파리에는 95번 버스가 있다’, 백이호씨의 ‘홍콩 트랩, 컨테이너터미널 공사’, 김은숙씨의 ‘남기고픈 캡슐 이야기’ 세 작품이 물망에 올랐다. ‘파리에는 95번 버스가 있다’는 세련된 문장과 감각을 유지하고 있지만 개인적 체험의 부족이, ‘홍콩 트랩…’은 기록의 충실성에는 공감이 가지만 내용 전개가 다소 늘어진다는 것이, 그리고 ‘남기고픈 캡슐 이야기’는 삶의 진실성은 인정되지만 다소 주관적이라는 것이, 각각 장점과 약점으로 지적됐다.
토론 끝에 박미애씨와 백이호씨의 작품을 우수작으로 결정했다. 박미애씨의 신선함에, 그리고 백이호씨의 기록의 충실성에 좀더 호감이 갔기 때문이다. 김은숙씨에게 위로의 말씀을 전한다. 그리고 김정강씨의 ‘4·19에서 6·29까지’도 6·3세대의 꼼꼼한 자기 기록이라는 점에서 애정이 가는 작품임을 밝힌다.
전반적으로 2006년의 작품은 보다 현재적이었다. 오늘 바로 여기에 사는 사람들의 생동감 있는 이야기가 휴머니즘을 바탕으로 전개되어 반가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