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분단과 평화의 공존 출판·예술의 대표도시로 거듭나다

경기도 파주시

분단과 평화의 공존 출판·예술의 대표도시로 거듭나다

1/3
  • 한반도의 중심부에 자리한 파주는 판문점과 임진각, DMZ가 말해주듯 격동의 한국 현대사와 떼려야 뗄 수 없는 역사의 현장이다. 생태적인 측면에서도 한강과 임진강이라는 큰 강을 두 개나 끼고 있고, 경기 5악의 하나인 감악산이 위치해 천혜의 자연환경을 자랑한다. 고려 도읍지 개성과 조선 도읍지 한양의 중간에 자리 잡아 유서 깊은 문화 유적도 곳곳에 남아있다. 예술과 출판의 메카로 부상한 헤이리 아트밸리와 출판도시는 파주의 미래가 살아 꿈틀대는 명소다.
분단과 평화의 공존 출판·예술의 대표도시로 거듭나다

임진각 전경.

서울 도심에서 자동차로 1시간 남짓이면 군사분계선을 경계로 남과 북이 대치하고 있는 현장에 닿을 수 있다. 수도권 서북부에 위치한 파주시는 분단국 대한민국의 현주소를 확인할 수 있는 곳이다. 그래서인지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 중 상당수가 파주를 찾는다.

그렇지만 우리 국민에게 임진각은 분단의 상징이라기보다 일상을 벗어나 여유를 즐기는 휴식공간으로 자리매김한 지 오래다. 높게 솟은 빌딩 숲과 답답한 사무실 공기에 질식하기 직전에 있는 이라면 임진각 평화누리로 한번 가보시라. 사방팔방 시원하게 펼쳐진 평화누리를 거닐다보면 가슴속까지 상쾌해짐을 느낄 수 있다. 주말이면 삼삼오오 임진각을 찾아온 가족과 친구, 연인들이 저마다 소망을 실어 연을 날리는 광경을 볼 수 있다.

휴식공간이자 축제마당, 임진각

임진각에서는 매년 네 차례 굵직한 축제가 개최된다. 2월에는 민속축제 한마당, 10월에는 개성인삼축제, 11월에는 장단콩축제, 12월에는 제야행사가 각각 열린다.

특히 11월 하순 열리는 파주장단콩축제에서는 파주의 청정 환경에서 자란 우수한 품질의 장단콩을 시중가격보다 저렴하게 팔아 수도권 주민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지난해에는 사흘간의 축제기간 동안 콩 9000가마(38억원어치)가 팔려나갔고, 기타 농산물과 음식을 포함 8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올해 11월26일부터 28일까지 임진각 광장에서 열리는 장단콩축제 역시 맛과 멋, 흥이 어우러진 다채로운 마당이 준비돼 있다. 장단콩과 파주지역 농특산물의 우수성을 알리는 전시공간 ‘알콩마당’, 장단콩과 관련된 다양한 체험과 참여프로그램으로 꾸며진 ‘놀콩마당’, 장단콩과 관련된 각종 음식을 직접 맛볼 수 있는 먹을거리 장터인 ‘달콩마당’이 각각 손님을 맞는다. 여기에다 난타공연과 미2사단 군악대공연, 금산농요공연 등 다채로운 볼거리로 찾는 이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해줄 예정이다. 파주시청 관계자는 “장단콩축제는 한 해 농사를 마치고 수확물을 이웃과 나누는 의미가 있는, 한국판 추수감사절 행사라고 보면 된다”고 했다.

파주에는 임진각 외에도 평화의 소중함과 생태를 함께 체험할 수 있는 관광지가 여럿 있다. 남한 최북단 역인 도라산역은 평양을 지나 중국과 시베리아, 나아가 유럽까지 뻗어가려는 한민족의 염원을 담고 있고, 고구려와 백제가 주도권 싸움을 치열하게 벌였던 군사적 요충지 오두산에는 통일전망대가 들어서 있다. 오두산 통일전망대에서는 임진강을 사이에 두고 남북이 대치하는 분단의 현실을 생생하게 목격할 수 있다.

문화예술혼 살아 숨 쉬는 ‘헤이리’

임진각과 도라산역, 통일전망대 등이 분단이라는 대한민국의 과거와 현재를 상징하고 있다면 문화예술특구로 지정된 헤이리는 한국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가 살아 꿈틀대는 공간이다. 박물관과 미술관, 서점과 갤러리, 공방 등이 밀집해 있는 헤이리 아트밸리는 건물 하나하나가 독특한 매력을 뿜어내 어느 곳에 들어서더라도 색다른 체험을 할 수 있다. 무엇보다 헤이리 아트밸리는 자연이 살아 숨쉬는 생태마을로 꾸며졌다. 산과 구릉, 늪과 개천 등 자연환경을 원형 그대로 두고 건물들이 자연에 안기듯 들어서 있다. 단지 전체는 녹지 네트워크가 신경망처럼 연결돼 있어 헤이리 어느 곳을 가더라도 숲과 나무를 가까이에서 접할 수 있다.

1/3
구자홍|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jhkoo@donga.com |
목록 닫기

분단과 평화의 공존 출판·예술의 대표도시로 거듭나다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