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랜 습관이다. 국도변을 달리다 낡고 오래된 휴게소가 있으면 차를 세운다. 안에 들러 담배 한 갑 사고, 밖에 나와 자판기 커피를 뽑는다. 날씨가 흐려 잿빛이 들판에 물들어 있으면 차를 그 방향으로 세워두고, 의자를 조금 뒤로 젖힌 후, 미지근한 믹스 커피가 완전히 식어버릴 때까지, 그 후로도 오랫동안, 잿빛 들판이 어둠으로 물들 때까지, 그렇게 하염없이 시간을 지켜본다. 그런 습관으로 춘천에서, 포항에서, 순천에서, 서산에서, 파주에서, 황량한 들판을 한참 응시하곤 했다.
지금은 지리산을 넘어 임실로, 다시 거기서 전주를 거쳤다가 서울로 올라가는 길. 지리산의 옛길을 넘어 달리다가 국도변 일대가 거의 쇠락해 이렇다 할 쉴 곳도 여의치 않은데, 간신히 낡은 휴게소 하나 발견해, 미지근한 커피 한 잔을 잠깐 입에 댔다가 녹슨 의자 위에 커피 종이컵 올려놓고 들판 저 먼 곳을 바라보는 중이다. 산야는 곧 어두워질 기세다.
왜 고양이가 늘었을까?
다시, 오래된 신문을 심드렁하게 훑어본다. 낡은 휴게소의 간이 벤치 위에 놓여 있던 것인데, 구독해 읽기보다는, 무슨 잡동사니를 싸기 위해 활용했다가 아무렇게나 던져놓은 듯한 것이었다.
‘고양이가 늘고 있다’는 기사, 다시 생각해 본다. ‘그래, 그렇기는 하지, 길고양이 천국이 된 지 오래인 듯, 내 사는 아파트 단지의 지하 기계실 입구는 한겨울 매서운 추위를 피하려는 고양이 식구들의 안식처였지’ 그런 생각을 해본다.
내친김에 기사를 마저 읽고 검색도 해보니, 과연 고양이가 많이 늘었다.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가 2012년 말 발표한 ‘동물 보호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다섯 가구 중 한 가구는 개, 고양이 등 반려동물을 키운다. 전국 17.9%, 약 359만 가구, 인구로 환산하면 1000만 명가량, 개체 수는 개가 440만 마리, 고양이는 115만 마리다. 최근 추세는 고양이 급증이다. 2013년 9월 6일, 농림수산식품부가 한국사회경제연구원에 조사 의뢰한 결과에 따르면, 집고양이의 수는 2006년 47만 마리, 2010년 62만 마리, 2012년에는 115만 마리로 급증했다.
관련 산업도 급신장 추세다. 인간 육아 관련 시장은 2012년 기준으로 2조6600억 원대. 의류가 1조6500억 원으로 60% 좀 넘고 기저귀 4600억 원, 분유 4000억 원, 유아스킨케어·수유용품 1500억 원 등이다. 이 중 인간의 생장 특성에 따라 구입하는 ‘의류’ 항목을 제하고 계산하면 1조 원 정도. 옷을 ‘거의’ 사 입히지 않는 반려동물의 시장 규모 역시 2012년 기준으로 약 9000억 원, 곧 1조 원이다. ‘의류’ 특성을 제하고 보면, 인간 육아와 반려동물 시장 규모가 비슷하다. 저출산과 반비례하는 반려동물 산업 성장에 따라 곧 뒤바뀔 수도 있다.
신문은, 젊은 ‘애묘인’이 늘었다고 쓴다. 2012년 말 통계청 발표 ‘한국의 사회동향 2012’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1인 가구 비율은 23.9%. 1990년 9%, 2000년 15.5%에 비해 크게 늘었다. 이에 반비례해 4인 가구 비율은 줄었다. 1990년 29.5%, 2010년 22.5%다. 이 1인 가구 집에 고양이가 들어간다. ‘G마켓’이 2013년 1월 1일부터 10월 21일까지 반려동물 용품 구매자를 분석한 결과 여성과 남성 비율이 각각 78%, 22%다. 가장 높은 비중(33%)을 차지하는 것은 30대 여성이다. ‘11번가’의 반려동물 용품 구매자 분석에선 같은 기간 30대가 45%로 나타났다.
왜 그럴까. 왜 고양이가 늘고 젊은 애묘인도 늘까. 짐작해 보니, 고양이는 개에 비해 외로움을 덜 타고 손이 많이 가지 않는다. 강아지에 비해 잔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는, 홀로 견디고 버티는 동물이다. 그래서 대도시 20~30대가 선호한다. 그들의 현재적 삶과 겹치는 상황이다. 핵가족화 및 1인 가구 급증, 반려동물 인구 증가, 집고양이 급증 등은 서로 맞물린 현상이 아닐까, 그런 생각을 하며 들판 저 너머를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