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0년 인도 누브라밸리에서 법회 후 외신기자들과 함께 한 달라이라마. 두번째 줄 오른쪽이 필자.
대학 시절, 어머니의 출가를 라디오 드라마로 제작하겠다며 순천행 무궁화호에 녹음 장비를 싣고 선암사로 향하던 나는 강인해 보이려고 부단히도 애쓰던 스무 살이었다. 자아와 마음의 본질을 찾는 데 도취한 열정 넘치는 청년으로 비치고 싶었던 게다. 어머니의 빈자리는 ‘나의 본질’에 관한 물음으로 이어졌고 단편영화 제작을 통해 답을 찾고 치유하려고 노력했다.
출가를 했음에도 전과 변함없이 자식을 챙기시던 어머니를 통해 접한 불교는 따뜻했고, 인자한 시각으로 인간을 직관하게 하며, 논리적으로 사유하는 힘을 키우는 자량(資糧)이 됐다. 그렇게 어머니는 나에게 지친 영혼의 쉼터이자 유일한 치유의 안식처였다.
철저히 ‘자아’의 관점으로 바라본 세상은 일상을 개인화했고, 결국 내가 바뀌어야 세상도 변화시킬 수 있다는, 내가 변하지 않으면 세상도 변하지 않는다는 관념을 고착시켰다. 그러나 굳어지고 싶지 않았다. 변화 속에서 유연해지고 싶었고 그렇게 나를 사랑하고 싶었다. 이렇게 스스로를 지극히 사랑한 탓에 정작 산문 안에 귀의하지 못했다.
이내 출가는 내 길이 아니라고 받아들이게 됐다. 그 계기가 된 때는 2009년 이른 봄. 영국 런던에서 열린 불교 국제영화제(Biff)를 참관하면서 또 다른 세상, 참된 인간에 대한 진정한 물음표를 접한 후부터다. 그렇게 나는 두 번째 인도 여행을 위한 배낭을 꾸렸다.
서른의 열병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을 위한 구상과 불교영화 수집을 위해 인도를 다시 찾는다는 명목이었으나 사실 나는 서른의 열병을 앓고 있었다. 한국에서의 조직생활에 염증을 느끼고 있었고, 가치를 잃어버릴까 염려되는 삶의 패턴에 젖어 점차 궁극의 열정이 도태되는 걸 방관하고 싶지 않았다.
델리에서 남쪽, 목적지는 카르나타카주였다. 9년 전 대학 초년 시절 배낭여행으로 왔던 인도와는 완전히 다른 별천지였다. 남인도 문곳에 재건된 티베트 불교사원 대붕과 간덴에서 일주일을 보냈다. 수천 명의 학승이 불교를 수학하는 사원마을은 14대 달라이라마(텐진가초)의 원력으로 인도 망명 이후 인도에 성공적으로 재건한 티베트불교 승가대학이다.
한국의 대학원에서 응용불교학을 수학하고 불교언론사 현장에서 접한 한국 불교의 실상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 현실로 펼쳐지고 있었다. ‘금강경’의 첫 구절, ‘가사의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오른쪽 무릎을 굽혀 법을 구한다’는 묘사가 눈앞에서 그대로 펼쳐지고 있었다. 해가 지자 선선해진 사원 마당에선 논쟁이 벌어졌다. 금을 연마하듯 불법의 진리 또한 의문과 의심을 내어 정수만을 체득해야 한다는 인명학 수업이었다.
그리고 인도의 수도 델리를 거쳐 북쪽으로, 달라이라마가 수립한 티베트 망명정부 소재지인 다람살라로 향했다. 고열과 설사병으로 온몸이 무기력했으나 다람살라를 포기하고 싶지 않았다. 물 한 모금 입에 대지 않고 다람살라행 야간 버스에 12시간을 의지했다. 히말라야 설산의 끝자락, 스며드는 한기에 어렴풋이 바라본 창밖은 한적한 산골마을이었다.
해발 1800m. 거의 한라산 정상 높이에 터를 마련한 티베트 망명정부는 1959년 3월 10일 중국의 티베트 침공에 항거하는 티베트 민중봉기 후 인도로 망명한 달라이라마가 세운 티베트 난민지구다. 인도 전역의 46개 티베트 난민마을을 총괄해 책임 관리하는 중앙정부가 이곳 다람살라에 있다. 12만여 명의 티베트인이 그들의 살길을 위해 잠시 머물거나 정착하는 곳. 영국의 인도 점령 당시 군인들의 휴양지였으며 인도가 독립한 뒤 버려졌으나 달라이라마와 티베트인들이 재건한 이후 전 세계 여행자들과 지식인들의 영적 안식처로 변모한 곳. 망명 이후 인도에 난민으로 살면서 곧 티베트가 독립해 그들의 고향으로 돌아갈 것이라며 기다린 것이 오늘로 55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