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누비 명장(名]匠) 김해자

한 땀씩 석 달을 매달리는 고행, ‘믿을 수 없는 예술’은 다시 기도가 되고…

누비 명장(名]匠) 김해자

2/6
자연의 온갖 향기를 보존하는 법, 자연의 빛깔을 뽑아내 섬유 속으로 옮기는 법을 그는 스스로 공부하고 궁리했다. 야생 식물의 뿌리와 잎과 껍질과 열매는 그에게 스승이고 교과서였다. 집 뒤란에는 염색용 가마솥이 대여섯 개 걸려 있는데, 거기는 말하자면 그의 실험실이고 연구실이다. 한창 일에 열중할 때 그는 하루 두세 시간만 잤다. 말도 거의 하지 않았다. 그래도 지치지도 외롭지도 않았다. 바느질감을 차고 앉으면 그는 곧잘 시공을 잊었다.

바늘에 실을 꿰어 맨 처음 한 땀부터 시작한다. 처음엔 땀도 거칠고 실도 꼬이고 하지만 마음이 조금씩 가라앉으면서 굳어 있던 손과 바늘이 친숙해진다. 바늘과 사람이 혼연일체가 되면서 바늘이 정확한 자리를 찾아 저절로 꽂히게 된다. 이렇게 되려면 자세도 반듯해야 하고, 바늘을 쥐고 있는 손과 손목 어깨 모두가 경직되지 말아야 하며, 호흡도 순일(純一)해야 한다. 혹 잘해야 되겠다는 생각이나 빨리 하려는 관념이 일어나도 그걸 다 버려야 한다. 바늘 끝의 움직임에 정신을 모으고 차분하게 한 땀씩 정확하게 하는 습관부터 익혀야 한다.

빨리 하겠다는 욕심이 일어나면 온몸에 힘이 들어가 바늘 끝에 기가 맺혀 천에 꿰어지지 않으며 일의 능률도 떨어지고 힘도 훨씬 많이 든다. 누비를 할 때 급한 마음을 내는 것은 절대 금물이다. 이 일은 차분함과 섬세함을 기본으로 해서 흔들리는 마음까지도 붙들어 매놓는 끝없는 인욕을 필요로 한다.

누비는 일은 육체노동인 동시에 정신노동이다. 바늘을 쥐고 있는 각도에 따라 겉땀이 비뚤어지기도 하고 뒤땀이 길어지기도 한다. 지나치게 일에 몰두하면 보면 호흡이 멎기도 하는데 호흡이 멈춘 상태에서 일을 계속하다보면 피로가 많이 온다. 그러니 수시로 호흡을 챙기는 습관도 가져야 한다.


그가 누비에 관해 쓴 글을 읽다보면 자꾸만 누비가 불교의 면벽수행과 흡사하게 여겨진다. 30년 누비를 해온 김해자 선생의 이력과 태도를 봐도 같은 생각이 든다. 그는 한자리에서 움직이지 않고 단정하게 앉아 누비를 한다. 바느질감 위로 숙인 고개 위로 해가 뜨고 다시 해가 졌다. 그는 오래전에 육식을 끊었다. 비린 것도 누린 것도 취하지 않는다. 약간의 곡기와 맑은 차만을 마신다.



“제자를 길러보면 확연히 알아요. 정신력이 있는 놈은 버티고, 아무리 똑똑해도 정서가 불안정하고 심지가 깊지 않으면 버텨내질 못해요. 누비는 우주의 에너지를 제 뱃속에 모으는 일입니다. 반듯하게 앉아 헝겊을 누비는 중에 절로 인간의 함량이 높아져요.

신비로운 일 아닙니까. 다른 일은 하는 중에 에너지가 소모되지만 누비는 일하면서 에너지를 모을 수 있는 일이에요. 세속적인 잡기운이 다 떨어져 나가는 걸 일하는 중에 느낄 수가 있어요. 맞습니다. 참선과 똑같아요. 그래서 나는 우리 전통문화 중에서 누비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예전에는 누구나 누비를 했거든요. 누비는 정신력을 키우는 가장 손쉬운 수단이에요. 들뜨고 흔들리기 쉬운 아이들의 심성을 강하게 단련하려면 성장기에 잠깐씩이라도 누비를 가르치는 것이 꼭 필요합니다.”

성성적적(惺惺寂寂)에 이르는 길

1996년 무형문화재로 지정될 때 침선장 아닌 누비장으로 새로운 명칭을 붙여달라고 문화재청에 따로 요청했다. 침선과 누비는 격이 다르다고 주장했다.

“비록 바느질이지만 누비는 사상적인 깊이가 달라요. 누비는 한국인 고유의 종교성과 인욕하는 정신세계를 가장 잘 드러내고 있거든요.”

정정완 선생 문하의 침선장이 되는 대신 그는 최초의 누비장 칭호를 얻게 된다. 한때 전국을 떠돌며 절집을 찾아다니던 시절, 그는 수덕사를 내려와 누비 승복 잘 짓기로 소문난 보살을 찾아 창녕으로 갔더랬다. 그 보살에게 3개월을 배웠다.

“나중에 알고보니 그 보살이 바느질을 배운 스승이 고종황제의 침방 나인이었대요. 승복뿐 아니라 궁중 누비도 배웠어요…. 한국 장인들은 오그리고 펼 줄 모르는 것이 탈이에요. 그게 한이 되어서 나는 내가 가진 모든 것을 제자들에게 깨끗하게 오픈하려고 해요.”

무형문화재로 지정되려면 계보가 뚜렷해야 하고, 장인정신이 투철해야 하며 솜씨가 뛰어나고, 공인으로서의 자세를 갖춰야 한다는데 그는 이 네 조건을 조화롭게 구비한 것 같다. 몇 해 전 일본에서 세계 퀼트 박람회가 개최될 때 거기 김해자의 누비가 한 코너를 차지한 적이 있다. 그 전시회에서 그는 누비의 의미와 가치를 다시 확인했다. 남의 것과 나란히 뒀을 때가 일쑤 내 것을 새롭게 볼 수 있는 기회가 된다.

2/6
김서령 칼럼니스트 psyche325@hanmail.net
연재

이사람의 삶

더보기
목록 닫기

누비 명장(名]匠) 김해자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