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대북지원 없는 드레스덴 선언 공허 구체성 없는 통일 대박론은 환상”

독일 유학서 돌아온 김두관 전 경남지사

“대북지원 없는 드레스덴 선언 공허 구체성 없는 통일 대박론은 환상”

1/4
  • ● 기초공천 논란, 옳고 그름 아닌 선택의 문제
  • ● 안철수 측과 50대 50 공천 배분은 비현실적
  • ● 제 살 도려내는 개혁공천에 지방선거 성패 달려
  • ● 독일 언론, 朴 대통령보다 시진핑 보도에 열 올려
  • ● 좋은 정책에 정파 안 따지는 독일 정치 부러워
“대북지원 없는 드레스덴 선언 공허 구체성 없는 통일 대박론은 환상”
영어 단어 ‘forget’은 우리말로 ‘잊다’라는 뜻이다. 그러나 단어를 분철해보면 새로운 속뜻이 있다. forget=for+get. 즉 ‘얻기 위해서’는 ‘잊어야 한다’는 뜻이다. 2년 전 ‘대통령후보’를 얻겠다며 ‘경남지사’를 내려놓았던 그가 돌아왔다. 1년 전 독일 유학길에 오르던 모습과는 외모가 사뭇 달라졌다. 몸은 호리호리해졌고 얼굴선도 갸름해졌다. 군살을 빼고 근육량을 늘리는 다이어트가 몸에 좋다고 했던가. 독일 유학에서 그는 무엇을 비우고 무엇을 채워 왔을까. 지난해 9월 독일 베를린에서 마주한 지 반 년 만인 4월 11일 서울 서대문구 한 음식점에서 김두관 전 경남지사와 다시 마주 앉았다.

독일 유학 1년 만에 한국에 돌아온 김 전 지사는 귀국한 지 열흘 만인 4월 11일 새정치민주연합 6·4 지방선거 공동선거대책위원장(선대위원장)에 지명됐다. 당 안팎 상황이 긴박하게 돌아간 탓에 시차에 적응할 겨를도 없이 정치무대 중심에 서게 된 것. 새정치민주연합 ‘무지개 선대위’에는 김한길·안철수 두 공동대표와 함께 김두관 문재인 손학규 정동영 정세균 등 대선주자급 다섯 명의 중진이 참여한다.

▼ 귀국 열흘 만에 선대위원장이란 중책을 맡게 됐습니다.

“현장에서 다시 시작하겠습니다.”

▼ 주로 어느 지역에서 도움을 요청합니까.



“창원과 양산, 거제 등 주로 경남 지역에서 와달라는 요청을 많이 받았습니다. 제 도움이 필요하다면 어디든 달려가 힘닿는 데까지 도와야죠.”

그는 4월 12일 대구시장에 도전하는 김부겸 후보 선거사무실 개소식 참석을 시작으로 선대위원장으로서 공식 행보를 시작했다. 노무현 정부에서 초대 행정자치부 장관을 지낸 그는 장관직에서 물러난 뒤 자치분권연구소를 설립해 10년 가까이 지방자치와 관련한 정책을 연구해왔다. 연구소를 거쳐간 이 가운데 상당수가 이번 지방선거 지방의회와 자치단체장 등에 도전장을 냈다. 경기지사에 출사표를 던진 원혜영 의원이 자치분권연구소 이사장을 맡고 있고, 김 전 지사는 고문으로 있다.

▼ 기초공천 문제가 어제(4월 10일) 비로소 일단락됐습니다. 기초공천을 하기로 한 결정은 잘됐다고 봅니까.

“옳고 그름의 문제라기보다 선택의 문제였죠. 기초공천 문제로 당내 분열이 컸는데, 매듭이 잘 지어져 다행입니다.”

졸속 공천은 두 번 죽는 일

▼ 박근혜 대통령에게 기초공천 폐지 공약 이행을 촉구한 안철수 대표만 머쓱하게 됐습니다.

“단 한 번의 실수도 없이 정치를 할 수 있다면 그것은 사람이 아니라 신이겠죠. 만약 기초공천 문제를 안 의원이 계속 고집했으면 자기는 살고 지방선거에 나선 우리 당의 수천 명의 기초의원과 기초단체장 후보를 사지(死地)로 몰아넣는 결과가 나왔을 수 있지요. 지휘관(안 의원)은 다소 상처를 입었지만, 수천 명의 지역 일꾼을 살려내게 된 것은 다행스러운 일입니다. 중국 고사에 보면 한고조 유방(劉邦)이 크고 작은 전투에서 수없이 졌어도 마지막 전쟁에서 승리를 거둬 한나라를 세우지 않았습니까. 기초공천 문제는 전쟁이라기보다는 하나의 전투와 같습니다.”

김두관 전 지사가 독일에 유학하는 사이 그가 몸담은 정당은 이름을 여러 번 바꿨다. 그가 독일로 떠날 당시 민주통합당이던 당명은 지난해 김한길 대표가 들어선 이후 민주당이 됐고, 지난 3월 말 안철수 의원의 새정치연합과 통합해 다시 새정치민주연합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 민주당이 안철수 의원과 통합한 것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합니까.

“기초공천 논란이 길어지면서 지지율이 떨어지긴 했습니다만, 안 의원과 통합한 이후 정당 지지율이 한때 30%대를 넘어서기도 했습니다. 민주당 지지율이 20%를 밑돌아 10%대에 머문 것을 생각하면 (안 의원과) 통합에 따른 시너지는 분명히 있습니다. 기초공천 논란을 딛고 선대위를 출범시킨 만큼 (지방선거까지) 남은 기간 열심히 노력하면 그 결과는 크게 달라질 수 있다고 봅니다.”

▼ 기호 2번은 살아났지만, 어떻게 공천하느냐가 중요할 텐데요.

“(기초공천) 논란이 길어진 탓에 (공천을 위한) 물리적 시간이 부족한 것이 사실입니다. 그렇다고 시간에 쫓겨 졸속으로 공천하면 우리 당은 두 번 죽게 됩니다. 지방선거의 성패는 개혁공천을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과거처럼 연줄과 계파에 이끌린 정실공천으로 흘러서는 우리 당에 미래가 없습니다. 공정한 경선과 심사를 통해 역량 있는 후보를 선출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1/4
구자홍 기자 │ jhkoo@donga.com
목록 닫기

“대북지원 없는 드레스덴 선언 공허 구체성 없는 통일 대박론은 환상”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