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호

[22대 국회 주목 초선 22人] 논산시장 3연임 황명선 충남 논산·계룡·금산 의원

조직력·행정 능력 검증된 ‘리틀 이재명’

  • reporterImage

    구자홍 기자

    jhkoo@donga.com

    입력2024-06-13 09:00:01

  • 글자크기 설정 닫기
    3선 논산시장 출신 황명선 의원은 자타가 공인하는 ‘찐명’(진짜 이재명계) 인사다. 2022년 충남지사 경선 도전 때 그는 ‘리틀 이재명’을 자임하며 “강한 추진력으로, 충남을 당당하게”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세웠다. 그러나 당내 경선에서 당시 현직 충남지사이던 양승조 후보에게 패해 본선 진출이 좌절됐다. 경선 패배로 충남지사 선거에는 나서지 못했지만, 그해 8월 이재명 대표 체제가 들어서자마자 당 대변인으로 발탁돼 일찌감치 22대 총선 출마가 예상됐다. 논산·계룡·금산에서 재선한 김종민 의원이 민주당 탈당 후 새로운미래 후보로 세종시갑으로 지역구를 옮겨 출마한 이유가 황명선 의원과 맞대결을 피하기 위함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을 정도로 황 의원은 지역 내 탄탄한 지지기반을 갖고 있다.

    실제 22대 총선에 황 의원은 금산에서는 1만3691표 득표에 그쳐 1만5218표를 얻은 박성규 국민의힘 후보에게 뒤졌다. 그러나 계룡시에서 1만3720표로 1만1902표에 그친 박 후보를 앞섰고, 논산에서는 3만3735표로 2만9586표에 그친 박 후보를 크게 따돌리고 당선됐다.

    황 의원은 민주당 서울시당 사무처장과 서울시의원을 지냈고, 논산시장을 3연속 역임한 지방자치 전문가다. 더욱이 그는 전국 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대표회장을 지냈을 만큼 리더십도 갖추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가 논산시장 재임 때 시행한 중고등학생 글로벌 해외연수와 24시간 아이돌봄센터 등 생활밀착형 정책은 타 자치단체에서 벤치마킹했을 정도로 주목을 받았다.

    그는 논산시장 시절 중앙 정치 무대에 적극 도전했다. 2018년과 2021년 두 차례 민주당 전당대회 때 최고위원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22대 총선에서 당선 직후 이재명 대표는 황 의원을 조직사무부총장에 임명했다. 이 대표가 황 의원의 조직력과 실무 능력을 높이 평가한 셈이다.

    지역 특성 감안한 발전 계획 제시

    황 의원은 총선 당선 직후 연합뉴스와 인터뷰하면서 이같이 지역 밀착형 의정 활동 계획을 밝혔다.



    “논산·계룡·금산 지역 특징이 각기 다르다. 논산은 공공기관·국가 국방 산단 기업 유치, 육군사관학교 유치, 탑정호·밀리터리파크 등 관광도시 기반 강화, 계룡은 노후 상수도관 개선 사업, 이케아 부지 활용책 마련, 군 유휴부지 국가정원 조성, 금산은 인삼 유네스코 무형문화재 지정, 인삼 종합쇼핑센터, 인삼 시민 공원 활용 제도적 장치 마련 등이 필요하다. 농산물 가격안정 법제화 등 농업인의 생활 안정을 돕고, 농업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국방산단, 관광산업을 종합적으로 연계해 지역 발전을 주도하겠다.”

    병 552기로 해병대에 입대해 제2사단에서 복무한 뒤 병장으로 만기 전역한 그는 ‘채 해병 특검 관철을 위한 민주당 초선의원 비상행동’ 천막 농성을 주도하는 등 해병대 채 상병 수사 외압 사건의 진상을 규명하는 데에도 앞장서고 있다.

    황 의원은 5월 13일 오마이뉴스와 한 인터뷰에서 “윤석열 대통령은 5월 9일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채 해병 특검법을 사실상 거부했다”며 “초선 의원들과 함께 특검법 통과를 강력하게 촉구하기 위해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도 열고 국회 본청 앞에서 농성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채 해병 사망과 외압 의혹을 법과 원칙에 따라 수사하고 책임자를 처벌해야 추후 이런 참사가 다시 반복되지 않는다”며 “만약 특검법에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다면 지금보다 더 강력하게 국민들과 투쟁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채 상병 특검법에 매달리는 이유와 향후 의정 활동 계획을 이렇게 밝혔다.

    “1986년, 귀신을 잡고 싶어 해병대에 입대했다. ‘불가능을 모르는 전천후 해병’이라는 말처럼 해병대의 강한 정신력에 끌렸다. 저는 그 영향으로 단단해지고 강해졌다. 이제는 국회의원으로서 대한민국 사회의 불공정을 잡겠다. 국민의 눈물을 닦아주고 억울한 사람이 없도록 하는 게 정치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채 해병 특검법으로 진실이 규명될 수 있게 하겠다. 여기에 더해 군 사망사건의 재발을 막을 수 있도록 법안을 발의하겠다.”



    구자홍 기자

    구자홍 기자

    ‘지금’ ‘여기’ ‘우리’에게 필요한 콘텐츠가 무엇인지, 여러분의 아이디어와 지혜를 나눠주세요. 제 이메일은 jhkoo@donga.com입니다. 세상이 필요로 하고, 세상에 도움 되는 콘텐츠로 보답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2대 국회 주목 초선 22人] 준비된 과학기술 전문가 황정아 대전 유성을 ...

    싸우지 않고 이겨야 ‘완전한 승리’다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