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호

[22대 국회 주목 초선 22人] 의원이 된 의사·미래학자 차지호 경기 오산시 의원

“尹 저출생대응기획부는 생색내기… 미래부 신설해야”

  • reporterImage

    고재석 기자

    jayko@donga.com

    입력2024-06-07 09:00:01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차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경기 오산시)의 이력은 독특하다. 1980년 부산 출생으로 동아대 의대를 졸업해 통일부 하나원에서 공중보건의로 일했다. 국경없는의사회에서는 난민 지원 활동을 했다. 옥스퍼드대에서 난민학(석사)을, 존스홉킨스대에서 글로벌 헬스(박사)를 전공했다. 이후 맨체스터대 인도주의·평화학 교수와 카이스트(한국과학기술원)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로 재직했다. 국회에 의사 출신은 여럿이지만 ‘미래학자가 된 의사’는 그가 유일하다.

    그는 당 혁신위원을 거쳐 영입인재 25호로 민주당에 합류했다. 4·10 총선에서는 전략공천을 통해 경기 오산시에 출마했다. 본선에서는 59.01%를 득표해 40.98%를 얻은 김효은 국민의힘 후보를 제쳤다. 양당 후보 간 득표율 격차(18.03%포인트)는 2020년 총선(15.65%포인트)에 비해 되레 늘었다. 차 의원이 첫 출마에도 확장성을 입증한 셈이다. 다음은 그와의 일문일답.

    경기 남부, 반도체 벨트? 미래 벨트!

    카이스트 교수로 커리어를 이어갈 수 있는데 왜 정치를 시작했나.

    “2년 전 겨울, 이태원 거리 한복판에서 159명이 명을 달리하는 대참사가 일어났지만 윤석열 정권은 유족과 피해자를 ‘목소리 없는 사람들’로 만들고 그들의 절규를 외면했다. 1년 전 여름에는 채수근 해병대 일병이 급류에 휩쓸려 세상을 떠났지만, 윤 정권은 이태원 참사와 마찬가지로 은폐에 급급했다. 특검까지 거부하고 있다. 국가의 미래가 걸린 과학기술 연구개발(R&D) 예산 5조 원가량을 삭감하고, 기업 법인세 인하와 부자 감세로 역대급 세수 펑크를 냈다. 국가채무는 1127조 원으로 사상 최대다. 2년간 국민 안전·외교·경제·민생·남북관계 등 어느 하나 무너지지 않은 것이 없다. 미래가 무너지는데 교단과 연구실에만 있을 수 없었다.”

    미래학자이기도 하다. 미래 위기 대응의 핵심은 무엇인가.

    “미래 의제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정치인이 많지 않다. 정치인이 미래 의제에 정책적으로 잘 준비하다가도 다음 선거에 낙선하면 그간 쌓아온 정책이 이어지지 않는 한계도 있다. 최소한 저출산, 지방소멸, 기후변화 등 우리가 10~20년 이내에 당면할 미래 위기 의제는 정치적 합의를 이뤄야 한다. 미래 의제를 다룰 국회 상임위, 특위를 신설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미래부(가칭) 등의 부처를 만들어 정권이 바뀌더라도 미래에 대응해 나가는 것이 핵심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부총리급 부처로 저출생대응기획부를 신설하겠다고 했는데.

    “윤석열 정부가 지금이라도 저출생대응기획부를 신설하는 건 다행이지만, 하나의 의제를 다루는 부처 신설은 생색내기에 불과하다. 저출산 고령화를 비롯해 기후위기, 팬데믹, AI(인공지능) 시대 전환 등 미래 위기 대응은 의제는 다르지만 사회구조 전체에 영향을 준다. 각 부처와 부서에 나뉘어 있는 역량을 모아 미래 위기 의제를 전반적으로 다룰 수 있는 부처를 신설해 예산과 정책 결정 권한을 줘야 한다.”



    의사이기도 한데, 의대 증원 문제에 관한 입장은.

    “의료 AI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의사들이 개별 진단부터 치료 가이드까지 AI와 함께 일한다면 실질적으로 의사 1명이 진료할 수 있는 폭 자체가 매우 넓어진다. 적은 의료 인력으로 많은 환자를 관리하는 시스템도 가능할 것이다. AI 기술 발전 속도를 계산하지 않고 의대 증원 2000명을 정해 놓고 추진하는 윤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은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 미래 의료 기술 발전과 인구 변화 등 다양한 변수를 감안해 의료 인력을 추계해야 한다.”

    지역구인 오산에 가장 시급한 과제는.

    “오산은 반도체, 미래 모빌리티, 바이오 등 첨단산업이 몰려 있는 경기 남부 한가운데 있다. 경기 남부를 흔히 반도체 벨트라 하지만, 나는 미래 벨트라 부르고 싶다. 딱 하나 AI가 부족하다. AI 없이 미래 산업을 논할 수 없다. 오산에 AI 공공의료 R&D 클러스터를 조성해 전 세계 AI 전문 연구진을 오산에 오게 하겠다. 클러스터를 기반으로 공공 AI 트레이닝 센터를 지어 오산에서 키운 글로벌 AI 인재가 세계 무대에서 활동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려고 한다.”



    고재석 기자

    고재석 기자

    1986년 제주 출생. 학부에서 역사학, 정치학을 공부했고 대학원에서 영상커뮤니케이션을 전공해 석사학위를 받았습니다. 2015년 하반기에 상아탑 바깥으로 나와 기자생활을 시작했습니다. 유통, 전자, 미디어업계와 재계를 취재하며 경제기자의 문법을 익혔습니다. 2018년 6월 동아일보에 입사해 신동아팀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원희룡, 親尹 없이 한동훈과 맞대결 쉽지 않다”

    종부세 폐지론, 민주당內 노선 투쟁 불붙었다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