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해경 초계기 도입사업

정치권 과도한 개입에 파행 조짐

  • 이정훈 동아일보 신동아 편집위원 hoon@donga.com

해경 초계기 도입사업

2/2
초계기는 속도가 빠를 필요가 없다. 현장에 신속히 달려가기 위해서는 속도가 빨라야겠지만, 현장에 당도한 이후에는 저속 비행을 해야, 현장을 살펴보고 구조 활동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초계기는 속도가 느린 터보프롭 항공기를 선택하고 있다. 저속 비행을 하는 데는 프로펠러가 돌아가는 터보프롭 항공기가 제트엔진기보다 훨씬 더 안전하다.

그런데 일부 국회의원은 ‘사고 현장에 신속히 날아가야 한다’ ‘과거 미국과 일본도 제트기를 해경용 초계기로 사용한 적이 있다’는 이유로 속도 빠른 항공기를 초계기 도입 대상으로 선정하라는 압력을 넣고 있다.

해치로는 구조물품 못 내려

문제는 이것만이 아니다. 사고 현장에 도착한 초계기는 세 가지 방법으로 구조물품을 투하한다. 첫째, 기체 밑바닥에 있는 ‘해치(hatch)’를 열고 투하하는 방법이다. 해치는 직경 50cm 정도로 도로에 설치된 맨홀뚜껑과 크기와 모양이 비슷하다. 항공기의 기체 밑바닥엔 이보다 큰 해치를 만들 수는 없다.

문제는 구명 고무보트가 해치보다 크다는 데 있다. 고무보트는 8~24명이 타도록 제작된 것이라 압착해도 직경이 1.4m 이하로는 줄어들지 않는다. 따라서 해치만 있는 초계기는 조난현장의 상황만 보고할 뿐 구조 작업을 할 수가 없다.



둘째, 기체 옆에 있는 슬라이딩 도어를 열고 투하하는 방법이다. 슬라이딩 도어는 해치보다 커서 좀더 큰 물체를 떨어뜨릴 수 있으나 슬라이딩 도어를 열면 강력한 풍압(風壓)이 발생한다. 이 풍압 때문에 ‘정확한 지점에 투하’하기가 어렵다. 구조물품이 먼 곳에 떨어진다면 조난자들은 오히려 좌절할 것이다.

슬라이딩 도어를 열고 투하한 물품이 난기류로 인해 치솟는 것도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치솟은 구조물품이 초계기의 꼬리를 친다면 저공비행을 하던 초계기는 중심을 잃어 바다로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미국과 일본은 ‘후방문(Rear Ramp)’을 갖춘 터보프롭기를 초계기로 선택하고 있다. 리어램프는 군용 수송기에서 보는 것처럼, 기체 뒤쪽 바닥이 내려가는 형태로 열리는 문을 말한다. 리어 램프는 큰 물체도 드나들 수 있을 정도로 넓게 열리고 기계를 이용해 투하하므로 정확한 투하가 가능하다. 난기류로 인해 떨어뜨린 물자가 치솟더라도 항공기를 칠 염려가 적다.

이것이 초계기의 세계적인 추세인데 한나라당의 A의원, 열린우리당의 K의원 등은 고익기일 필요가 없고 해치만 있으면 후방문은 반드시 갖추지 않아도 되며 저속 조항도 없애라고 해경을 압박하고 있다.

현재 해경은 ‘챌린저’라는 이름의 초계기를 한 대 보유하고 있다. 챌린저는 제트기이기 때문에 저공과 저속비행이 불가능하다. 저익기인데다 후방문이 없어 현장에 날아가도 구조활동을 전혀 하지 못한다. 챌린저의 이러한 한계 때문에 해경은 새로운 초계기를 도입하려는 것인데, A의원과 K의원 등은 챌린저 수준의 항공기를 초계기로 도입하라고 압박을 가하고 있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국회의원들이 압력을 가해야 할 사안은 다른 쪽이라고 지적한다. 해경 초계기가 해야 할 일 가운데 하나가 한국 수역을 침범하는 중국 어선과 독도 근처를 배회하는 일본 배에 대한 감시이다. 감시를 하려면 반드시 해상추적레이더가 있어야 한다. 초계기에 탑재된 레이더는 함정에 실린 레이더보다 훨씬 더 넓은 범위를 탐지할 수 있다.

누구를 위한 요구인가

해경은 새로 도입할 초계기에 반드시 레이더를 탑재해야 한다는 조건을 삽입하지 않았다. 이유는 예산 부족 때문. 같은 이유로 해경은 야간비행장치와 어둠 속에서도 조난자를 찾는 특수 장비를 탑재해야 한다는 조건도 추가하지 못했다.

해상사고는 심야에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살아 있는 사람의 몸에서는 열이 발생한다. 이 열을 탐지하는 장비가 있다면, 야간이라도 이 장비를 이용해 조난자가 있는 지점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대표적인 장비가 살아 있는 생명체에서 나오는 열을 적외선으로 감지하는 FLIR(Forward Looking Infra Red)이다.

양식 있는 국회의원이라면 해경에 해상레이더와 FLIR, 야간비행 장치, 후방문, 고익 구조를 갖춘 항공기를 초계기로 선정하라고 압박해야 한다. 그러나 의원들은 반대로 가고 있다. 이들은 누구를 위해 이런 주장을 내놓은 것일까. 전문가들은 이러한 주장을 펼치는 국회의원들을 수상한 눈초리로 바라보고 있다.

신동아 2006년 11월호

2/2
이정훈 동아일보 신동아 편집위원 hoon@donga.com
목록 닫기

해경 초계기 도입사업

댓글 창 닫기

2023/04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