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람의 기억은 불완전하게 마련이다. 장관, 수석들은 객관성을 담보하고자 구술 내용을 토론해 사안을 교차 검증했다. 박근혜 대통령과의 관계 등 정치 비화는 2~3년 후 따로 정리할 계획이라고 한다.
회고록의 백미는 남북관계와 관련한 서술이다. 알려진 사실과 그간 알려지지 않은 잔상이 버무려져 무용담처럼 읽힌다.
MB와 참모들의 집단기억
‘대통령의 시간’ 5장 ‘원칙 있는 대북정책’에는 남북 정상회담이 성사 9분 능선까지 갔으나 불발한 과정이 담겼다. 류경 북한 국가안전보위부 부부장이 연평도 포격(2010년 11월 23일) 직후 서울로 밀행했다(2010년 12월 5일) 평양으로 돌아간 후 처형된 영화 같은 얘기도 실렸다. MB는 ‘원칙을 지켰기에 정상회담을 안 한 것이 업적’이라고 주장한다.
5장과 관련한 토론에는 현인택 전 통일부 장관, 천영우 전 대통령외교안보수석비서관, 김태효 전 대통령대외전략기획관이 참여했다. 작가가 정리한 최종 원고를 김태효 전 기획관이 감수했다. MB, 현인택 전 장관, 천영우 전 수석, 김태효 전 기획관 등의 집단기억인 셈이다.
5장은 회고록의 하이라이트면서 거센 비판을 받는다. 자화자찬, 합리화, 왜곡이 적지 않다는 것. 남북관계는 ‘현재진행형의 생물(生物)’이다. 잘못된 기록이 악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 김영희 중앙일보 대기자는 2월 6일자 칼럼(‘품격 잃은 대통령의 회고록’)에 이렇게 썼다.
“‘해도 너무한다.’ 이명박 회고록 ‘대통령의 시간’에 대한 고위 정책당국자의 강도 높은 비판이다. 고위 관리의 이 말은 이명박 회고록에 대한 박근혜 정부의 경계심을 표현할 뿐 아니라 남북관계가 길고 어두운 터널에서 빠져나오기를 바라는 사람들의 걱정을 대변한다.
2009년 10월 임태희 노동부 장관과 북한 통일전선부 부장 김양건이 싱가포르에서 만나 비밀협상을 벌인 부분의 묘사는 특히 ‘사려 깊지 못한 이명박’의 면모를 보여주는 사례다. 회고록에는 북한이 정상회담의 조건으로 옥수수 10만t, 쌀 40만t, 비료 30만t과 국가개발은행 설립 자본금 100억 달러를 요구해 협상이 결렬됐다고 나와 있다. 앞뒤 맥락 없이 북한이 무리한 요구를 한 것처럼 썼다. 그러나 실상 북한의 그런 요구는 우리 측에서 바라던 납북자와 국군포로의 고향 방문 간의 교환조건으로 제시된 것이었다. 100억 달러도 정상회담이 성사되고 남북관계가 개선될 경우 한국이 북한의 개발은행 설립에 필요한 외자 유치를 돕겠다는 취지였다.”
통쾌하게 읽히지만…
‘대통령의 시간’ 몇 대목을 읽어보자.
나는 접견을 마치고 나가는 김 비서(김기남 북한 노동당 비서)의 어깨를 두드리며 말했다. ‘이제 앞으로 좀 잘하세요.’
통쾌하게 읽힌다. 김양건 북한 노동당 비서 겸 통일전선부장과 관련한 대목의 서술은 이렇다.
김양건이 그대로 가면 죽는다고 해서….
2012년 1월 10일 원자바오 당시 중국 총리와의 만찬 대화도 인상적이다. MB가 “김정은이 50~60년은 집권할 것이 걱정된다”고 말하자, 원자바오는 “역사의 이치가 그렇게 되겠습니까?”라고 답했다. 중국 총리가 김정은 체제가 오래가지 않으리라고 예견한 것을 고스란히 옮긴 것을 두고 외교 관례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많다.
전두환, 노태우 정부에서 남북 협상에 관여한 박철언 전 정무제1장관은 언론 인터뷰에서 “나도 내 회고록(‘바른 역사를 위한 증언’)을 쓰면서 당시 김일성 주석과 만난 일에 관해 얼마나 쓰고 싶은 말이 많았겠나. 그러나 그것을 백서로 만들어 보관했을 뿐 회고록에는 다 공개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김기남 비서의 어깨를 두드리면서 “이제 앞으로 좀 잘하세요”라고 말한 대목과 관련해서는 “말도 안 된다, 회사 부하도 아닌데, 부적절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