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춘추-외교의 승부사’ 박순교 지음/푸른역사/508쪽/1만5000원
이러한 때에는 시대와 운명을 같이했던 군웅이 역사의 무대에 나타났다가 사라지게 마련이다. 얼른 머릿속에 떠오르는 인물만 손꼽아도 고구려의 명장 을지문덕, 연개소문, 안시성주 양만춘, 비운의 백제 의자왕과 계백, 그리고 신라 삼국통일의 두 주역인 김춘추와 김유신을 빼놓을 수 없다.
따라서 역사 연구자라면 모름지기 이런 인물들의 면면을 생생하게 재현하고 싶은 욕심을 갖게 마련이다. 김춘추와 김유신은 특히 관심을 모으는 대상이다. 왜냐하면 다른 이들은 끝내 왕조의 멸망을 막지 못했지만, 이 두 사람은 가장 약소한 나라를 삼국통일의 주역으로 일으켜 세웠기 때문이다. 더욱이 한 왕조를 번영의 반석 위에 올려놓는 일은 결코 우연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
하지만 오늘날 이들 주인공에 대한 이미지는 오히려 반대인 듯하다. 연개소문 등은 민족적 자부심을 상징하는 존재로 조명되고 있지만, 김춘추와 김유신은 당과 손잡고 동족인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켰다는 이유로 신랄한 추궁을 당하곤 한다. 그러나 이런 식의 근대적 민족정서에 입각한 시각으로는 7세기라는 격동의 시대를 제대로 읽어낼 수 없다. 그런 의미에서 김춘추에 대한 우리 시대의 망각과 홀대가 지나치다고 반성하며, 많은 노력을 기울여 그의 생애를 오롯이 복원한 것만으로도 이 책의 가치는 충분하다.
딸의 죽음이 인생 전환점
김춘추, 즉 태종 무열왕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테지만, 그의 행적이 어떠했는지 구체적으로 관심을 가져본 독자는 거의 없으리라. 이 책은 일종의 김춘추 전기인 셈이니, 그의 이력이 책 전체를 꿰고 있다. 602년에 태어난 그의 할아버지는 25대 진지왕이고, 아버지는 이찬이란 최고위직을 지낸 용춘이다. 어머니는 진평왕의 둘째딸인 천명부인으로 선덕여왕의 동생이니, 어디 내놓아도 부러울 게 없는 출신을 자랑한다. 이런 화려한 혈통에도 불구하고 그가 왕위에 쉽게 오르지 못한 데에는 심상치 않은 정치적 배경이 깔려 있음을 눈치챌 수 있다. 사실 이 책의 저자도 많은 부분을 할아버지 진지왕의 몰락과 가문을 다시 일으키기 위한 김용춘의 고뇌에 찬 행적에 할애한다.
정치적으로 적잖은 제약을 지닌 김춘추는 당시 신라 정계에서 소외되어 있던 가야계 출신 김유신 가문과 손을 잡았다. 그는 김유신이 군사적 능력을 키워가게끔 후원하는 한편, 뛰어난 용모와 언변을 바탕으로 외교적 영역에서 자신의 능력을 십분 발휘한다.
저자는 이 책에서 김춘추의 발길을 따라 고구려의 평양성으로, 왜의 난파로, 당의 장안으로 동아시아를 누빈다. 아마도 저자가 심혈을 기울여 복원하고자 했던 김춘추의 행적일 것이다. 이런 대목에서는 저자의 필치도 절정에 오른 듯하다. 연개소문과 마주 앉아 천하의 득실을 논하는 장면, 왜의 중대형을 설득하는 대목, 당태종과 당당히 협상을 이끌어가는 장면은 단연 이 책의 압권이다. 이 시대를 읽어내는 저자의 안목이 김춘추의 입을 통해 빛을 발하는 대목이다.
결국 나당(羅唐) 군사동맹을 맺는 데 성공한 김춘추는 정치적 입지를 굳히고, 진덕여왕이 죽자 마침내 654년에 신하들의 추대를 받아 제29대 왕으로 즉위한다. ‘외교의 승부사’라는 책의 부제처럼 외교로 한 시대를 개척한 영웅적 풍모의 완성이었다. 게다가 660년 나당연합군이 백제를 멸망시킴으로써, 비로소 642년에 백제와의 대야성 전투에서 딸 고타소를 잃은 뒤 20년 가까이 가슴에 묻어둔 회한을 풀게 된다. 그리고 마치 그동안 딸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위해 삶을 지탱해온 양, 이듬해 속절없이 눈을 감는다. 그래서 저자 또한 김춘추의 새로운 인생의 전환점이 바로 딸의 죽음에서 비롯됐다고 보고, 이 전투로 책의 첫머리를 시작한다. 대야성 전투야말로 필연의 역사를 만들어간 우연의 시작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