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안 곳곳의 책장이며 방마다 있는 붙박이장에 식구 수만큼의 침대와 책상 밑, 다용도실과 보일러 뒤켠…. 숨을 곳은 천지다. 그중에서도 아이들이 즐겨 이용하는 장소는 서재 한쪽을 막아 마련한 옷방이다. 그곳에 옷만 있는 건 아니다. 여름에 쓰던 선풍기, 이불, 크고 작은 여행가방, 책장에서 밀려난 잡지, 강아지 때문에 깔아둘 수 없는 카펫, 손 탄 지 수년이 지난 재봉틀, 그 재봉일에 쓰인 천조각들, 금박 종처럼 때를 기다리는 크리스마스트리 장식품들, ‘또 누가 알아? 나도 폼 잡으면서 필드라는 곳에 나갈 날이 있을지…’ 싶어 얻어둔 골프채 등이 몸 하나 비틀 공간 없이 쌓여 있으니 그야말로 숨기에는 제격인 장소인 것. 말하자면 그 방은 예전 어느 집에나 있던 다락 같은 곳이다.
어릴 적 내가 살던 집을 생각한다. 할머니와 삼촌, 여섯 남매와 일손을 도와주던 일가붙이, 때 없이 들락거리던 고모들로 평소에도 잔칫집처럼 왁자했지만, 명절이나 제사 때의 분주함은 실로 대단했다. 인근의 친척들, 고향의 할배 할매들, 앞 다퉈 모인 제관의 수가 오십을 넘어서는 일이 다반사였다.
제사가 다가오면 가장 바빠지는 사람은 물론 어머니였다. 제물을 장만하고 기물들을 꺼내는, 그 일련의 과정에서 어머니가 애용하던 장소는 다락이었다. 부엌 쪽으로 난 작은 창이 있던 방, 그 맞은편 벽 한가운데 고리가 달린 문이 있고 그 문을 열고 두 칸의 계단을 오르면 ‘아니, 이런 공간이!’ 싶은 널찍한 방이 나타났다.
어머니는 거기에 건어물이나 곶감을 들여놓고 한지에 겹겹이 싼 놋그릇들을 올려놓았다. 다락은 사과상자, 얇게 저며 설탕에 절인 모과와 식혜, 호박범벅이 담긴 항아리가 갈무리되던 장소였으며, 앨범이 없던 시절 사진들이 담긴 종이 상자가 있던 곳이었고, 묵은 신문지가 누렇게 바래가던 곳이기도 했다.
제사 때와 상관없이, 어머니의 심부름이 아니어도 나는 학교에서 돌아오면 자주 다락에 올라가곤 했다. 나를 그곳으로 유혹한 것은 먹을거리가 아니었다. 까만 쥐똥이 굴러다니는 신문지와 그 옆에 높다랗게 쌓여 있던 책들…. 그것들은 거실 벽면을 장식한 책장에 꽂힌 책처럼 말끔하지 않았다. 여성지와 주간지, 언젯적 것인지 알 수 없는 잡지와 신문들을 뒤적거리면 이야기와 사진들이 툭 튀어나왔다. 나는 차가운 바닥에 주저앉아 야릇한 분위기의 삽화가 곁들여진 연재소설들을 읽었다. 아마도 강신재나 김수현이었을 그 작가들의 이야기, 남자와 여자가, 사랑과 눈물이, 이별과 해후가 엇갈리는 그 이야기들을 읽노라면 어쩐지 슬프고 허무한, 아이답지 않은 기분이 들었으며, 아버지가 읽으시던 사상계 속의 오래된 사진 속 인물들을 만나는 날이면 내 키가 한 뼘씩 자란 듯 우쭐한 기분이 들었다. 듬직한 체구의 아버지가 언제 저랬을까 싶게 야위고 어린 청년이었던 시절의 사진을 발견한 날 저녁, 엄숙해서 어렵기만 하던 아버지가 왠지 안쓰럽게 보이던 어쭙잖은 일도 있었다. 또 촌스럽기 그지없는 주간지의 맹랑한 기사들, 까만 테이프로 눈을 가린 얼굴들이 나오는 가십 기사를 읽고 가슴이 사정없이 방망이질 치던 날도 당연히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