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첫 키스는 왜 골목길에서만 이뤄졌을까

김현식 ‘골목길’

첫 키스는 왜 골목길에서만 이뤄졌을까

1/2
  • ‘골목길’은 1989년 김현식이 ‘신촌블루스’ 2집에 객원 보컬로 참여하며 대중에게 선보인 노래다. 유난히 음악과 술을 사랑했던 김현식, 그는 1990년 11월 서른셋의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1980년대 언더그라운드 음악을 개척했던 그가 세상을 떠난 지 23년이 흘렀지만, 그의 노래는 지금도 꾸준히 전파를 탄다. 갈라지고 탁한, 거칠게 토해내는 듯한 특유의 음색이 돋보이는 ‘골목길’은 포크, 팝, 솔, 록, 블루스, 발라드, 펑크에 이르는 다채로운 사운드를 구사한 싱어 송 라이터 김현식이 레전드리 피겨(전설적 인물)로 인정받는 계기가 됐다.
첫 키스는 왜 골목길에서만 이뤄졌을까
세월은 사람과 함께 간다. 1990년 11월 1일 나는 김현식이 떠났다는 소식을 들으며 또 한 시대가 간다는 생각을 했다. 내 젊음의 빛이 스러지는 것을 느꼈고 얼마 뒤 나는 나의 젊은 시절이 단 한 조각도 남아 있지 않음을 깨달았다. 20대만 가질 수 있는 설렘과 뜨거움, 무모함 등과 함께 김현식은 이 땅의 기성세대, 특히 386세대에게 그런 존재다.

1958년생이니 안타깝게도 고작 서른을 조금 더 살다 갔다. 김광석과 마찬가지로 일찍 세상을 떠난, 이 거칠고 삐딱한 젊은 가객을 우리는 정녕 잊지 못한다. 그래서 김장훈, 김정민, JK김동욱, 김범수, 임재범, 싸이(Psy), 라디(Ra.D), 박효신, 바비킴, 김조한, 윤종신, 이은미 등 수많은 후배 가수가 그의 노래를 불렀고, 지금도 부른다. 삶을 마감하기 직전까지 병실에서 음악을 놓지 않고 끝까지 노래한 그다. 김.현.식. 그래서 사람들은 말한다. “땅 위에 가왕 조용필이 있다면 땅 밑에는 가객 김현식이 있다”라고. 이 경우 땅 밑은 ‘언더그라운드 가수’라는 의미가 된다.

김현식이 활동한 1980년대는 민주화가 완성된 시기다. 386세대가 시대의 주류로 진입했고 예전의 순수했던 운동이 언제부터인가 국회의원 배지를 다는 수단이 되기도 했다. 1980년대 교정엔 늘 운동권의 북소리, 꽹과리 소리가 울려 퍼졌고 김현식의 노래를 듣는 것 자체가 죄악시되곤 했다. 대중가요를 듣는 것이 사치로 치부되던 그런 시대, 상처 입은 짐승의 목소리로 세상의 모든 고독과 울분을 저 혼자 짊어진 것 같은 노래들이 그로부터 터져 나왔다. 저항적이고 불온한 그의 노래는 민주화 과정에서 상처가 많았던 386들을 위무했다. 김광석, 들국화와 더불어 김현식의 음악은 그런 의미를 지닌다.

‘땅 밑의 가객’ 김현식

첫 키스는 왜 골목길에서만 이뤄졌을까
알려진 대로 김현식은 서울에서 태어났다. 밴드부 활동을 하며 명지고등학교를 다녔으나 1975년 자퇴한 뒤 검정고시로 고졸 학력을 얻게 된다. 1982년에 결혼, 동부이촌동 공무원아파트에 신접살림을 차린 그는 인근에 피자 가게를 열어 직접 배달도 하는 등 결혼이 가져다준 행복에 빠져 있었다. 그러나 음악은 그를 평범한 일상에 놔두지 않았다. 아내 몰래 밤무대 활동을 시작해 우여곡절 끝에 전성기를 누렸지만 1987년 11월 대마초 사건으로 구속된다. 1988년 2월 삭발을 한 채 오른 재기 콘서트에서 용기를 얻고, 이후 ‘신촌블루스’ 멤버들과 음악적 교류를 하며 라이브 무대의 황제쯤으로 인정받았다.



‘골목길’은 1989년 ‘신촌블루스’ 2집에 객원 보컬로 참여하며 대중에게 선보인 노래다. 그러나 유난히 음악과 술을 사랑했던 그는 1990년 11월 서른셋의 나이에 신혼의 둥지를 틀었던 동부이촌동 자택에서 간경화로 세상을 떠났다. 또 하나의 명곡이 된 ‘내 사랑 내 곁에’는 사후 발표된 노래다.

이런저런 이유로 김현식은 1980년대 한국의 언더그라운드 음악을 개척한 인물이자 종결자쯤으로 자리매김된다. 그 시절 그는 텔레비전에 나오지 않았어도 이미 언더그라운드의 황제였다. 그래서 세상을 떠난 지 23년이 흘렀지만 그의 노래는 꾸준히 전파를 탄다. ‘사랑했어요’ ‘비처럼 음악처럼’ 등은 자타가 공인하는 발라드 음악의 보석이다.

그런 가운데 등장한 노래가 바로 ‘골목길’이다. ‘골목길 접어들 때에/ 내 가슴은 뛰고 있었지’로 시작되는 노래는 묘한 상상과 함께 사내들의 술자리에서, 대학생들의 동아리 모임에서, 직장 동료들과의 회식 자리를 끝내고 쓸쓸하게 돌아오는 밤늦은 귀가길에서 가만히 터져 나온다.

“골목길 접어들 때에 내 가슴은 뛰고 있었지 / 커튼이 드리워진 너의 창문을 말없이 바라보았지 / 수줍은 너의 얼굴이 창을 열고 볼 것만 같아 / 마음을 조이면서 너의 창문을 말없이 바라보았지 / 만나면 아무 말 못하고서 헤어지면 아쉬워 가슴 태우네 / 바보처럼 한마디 못하고서 뒤돌아가면서 후회를 하네 / (하략)”(신촌블루스 ‘골목길’, 1989, 서판석 작사, 엄인호 작곡)

고즈넉한 골목길 풍경을 오히려 역설적으로 포효하듯 묘사했던 가객 김현식의 존재를 세상에 알린 노래다. 갈라지고 탁한, 거칠게 토해내는 듯한 특유의 음색이 돋보이는 ‘골목길’은 포크, 팝, 솔, 록, 블루스, 발라드, 펑크에 이르는 다채로운 사운드를 구사한 싱어 송 라이터 김현식이 이른바 레전드리 피겨(전설적 인물)로 인정받는 계기가 된다.

그런데 왜 골목길이 노래의 배경이 되었을까. 왜 그럴까. 사랑에 빠진 남녀가 만남 후 헤어지는 공간적인 무대는 도회의 경우 대개 골목길이 된다. 남자는 기회를 포착해 한번 포옹해본다든지 아니면 입술을 훔쳐볼 수 있는 절호의 공간인 셈이다. 물론 그러다가 여자친구의 부모에게 들켜 혼나기도 하겠지만, 골목길은 그런 장소다. 어쨌든 남자들에게 골목길은 이 같은 욕망의 공간이 된다. 묘한 상상을 하며 여자친구의 방 창밖을 서성이거나, 아니면 여자 뒤꽁무니를 따라가는 공간인 것이다. 그래서 골목길을 배경으로 한 노래가 끊임없이 등장하지 않았을까.

첫 키스는 왜 골목길에서만 이뤄졌을까

신촌 명물골목에 위치한 미네르바 다방. 대학로의 학림다방과 함께 1975년 개업 이래 오랜 세월을 간신히 견뎌오고 있다.



1/2
글·김동률 | 서강대 MOT대학원 교수 yule@empas.com 사진·권태균 | 사진작가·신구대 교수 photocivic@naver.com

관련기사

목록 닫기

첫 키스는 왜 골목길에서만 이뤄졌을까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