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건평씨가 김해시 봉하마을 노무현 대통령 사저 옆 소류지 아래 잔디밭에서 골프 연습을 하고 있다(위). 소류지 상류에 설치된 간이 골프연습장.(사진제공·조선일보 위클리조선)
사저 앞으로는 노 대통령의 생가(生家)가 있다. MBC는 2007년 9월10일 “생가와 바로 앞 2개 필지는 지난 2월 대통령의 고교 동문인 강모씨가 주변 시세보다 4~5배나 비싸게 사들인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사저 뒤로는 노 대통령의 후원자로 통하는 박연차 (주)태광실업 회장의 측근인 정모씨 소유 임야가 ‘ㄱ’자 형태로 자리 잡고 있다. 사저를 정면에서 볼 때 사저 우측으로는 노 대통령 친형인 건평씨의 부인 민모씨 소유 잔디밭이 널찍하게 펼쳐져 있다. 잔디밭 뒤로는 소류지가 있다. 소류지 상류엔 골프공 자동 배급기와 골프공 박스, 골프채가 비치된 가건물이 있는데, 노건평씨는 이곳과 잔디밭에서 소류지를 향해 스윙연습을 한다.
사저에서 30여m 떨어진 1157㎡의 터엔 경호시설이 건축 중이고 사저에서 좌측으로 걸어서 2, 3분 거리엔 연립주택 공사가 진행 중이다. 89~323㎡ 연립주택 14채가 들어서는데 주로 노 대통령의 비서관이나 측근들이 입주할 것으로 알려져 있다. MBC 보도에 따르면 노 대통령의 친인척과 측근들은 사저를 둘러싼 주변 땅 3만6000㎡를 매입했다.
노 대통령 사저에는 국비 지원으로 지열방식 냉·난방설비(에너지관리공단, 6538만원)가 설치될 예정이고 대통령 사저까지 도시가스(경남에너지)가 들어온다. 사저 신축을 계기로 국·시비 8억여 원으로 봉하마을에 하수관이 연결되고, 김해시 예산으로 대통령 사저까지 상수도관이 연장될 예정이다.
여기에 더해 김해시는 노무현 대통령 생가를 복원하고 일대를 공원화하는 관광지 개발 계획을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시는 1억1400만원의 용역을 맡겼다. ‘동아일보’에 따르면 김종간 김해시장은 “봉하마을에 노사모박물관을 세울 경우 관광객 유치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면 건립을 검토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그런데 김해시는 2006년 중앙정부로부터 64억5000만원의 특별교부세를 받아 전국 234개 지방자치단체 중 가장 많은 혜택을 입은 것으로 드러났다. 지자체 평균 14억원의 4.6배이며 2007년에도 41억 6800만원을 지원받았다.
“그것도 정도의 문제이지…”
대통령 친인척과 측근들의 땅 사들이기, 김해시의 대가성 지원 의혹 등으로 ‘노무현 타운’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땅의 소유주가 어떻든 대통령의 퇴임 후 용도와 관련된 만큼 노무현 마을이니 노무현 타운이니 하는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MBC 9월10일)
“전직 대통령이 보통 국민과 같을 수야 없겠지만 그것도 정도의 문제일 것이다. 노 대통령측이 퇴임 후의 보금자리에 너무 욕심을 내면 ‘국민을 위해 뭘 그리 잘했다고?’ 하는 소리가 커질지 모른다.” (동아일보 10월10일)
“김해시는 노 대통령의 고향이 아니었어도 전국 최대의 수혜지역이 될 수밖에 없을 만큼 재정수요가 특별했다고 누가 믿을 것인가. 그런 김해시가 벌이는 ‘봉하 관광’ 사업 또한 의구심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다.”(문화일보 10월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