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4년 미국의 외교사학자 테일러 데넷(Taylor Dennet)은 미 국회도서관에서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1901∼09 집권)에 관한 사적(私的) 비망록과 외교서류 등을 조사하던 중, 1905년 7월27일 당시 미 육군성 장관이던 윌리엄 태프트와 일본 수상 가쓰라 다로 사이의 비공식 회담에 관한 ‘합의된 비망록(Agreed Memorandum)’을 우연히 발견했다.
데넷은 당시까지 전혀 알려지지 않은 일급의 중요 비밀사실을 알아냈다고 확신하고, 국무장관인 찰스 휴스에게 그 공문서를 공개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휴스는 즉시 태프트에게 의견을 물었고, 태프트는 공개를 반대하지 않았다.
데넷은 같은해 8월 매사추세츠주 윌리엄스타운에서 열린 미국 정치학회에서 이 문서 내용을 발표했고, 이는 미 ‘현대사(Current History)’지(誌)에 ‘루스벨트 대통령과 일본 간 비밀협약(President Roosevelt’s Secret Pact with Japan)’이란 제목의 논문으로 실렸다.
이것이 오늘날 전세계 역사기록은 물론 한국의 관련 정치·외교·역사 서적과 교과서에서 통례적인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가쓰라-태프트 밀약’의 근거이자 연원의 전부다.
에스더스의 반론
일본은 데넷이 발표한 당시에는 이 사실에 대해 시인도 부인도 하지 않다가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 ‘일한 병합소사’(日韓 倂合小史, 岩波書店, 216쪽)에 데넷의 논문을 그대로 수록했다. 그리고 1968년, 일본 외무성이 공식 간행한 ‘일본외교연표 병 주요문서’(日本外交年表 竝 主要文書, 1840∼1945) 편에서는 “본 각서 관계 서류는 소실되어 참고로 미 국무성 문서를 수록한다”는 주(註)를 달고 데넷의 논문에 실린 주요 3개 항을 실었을 뿐이다.
이 같은 사실은 당시의 국제정세, 그리고 루스벨트 개인의 사회적 다위니즘 (다윈이 제창한 진화의 학설)적인 제국주의 문명관에 근거를 둔, 조선에 대한 그의 선입관으로 미뤄볼 때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다. 그러나 과연 일본의 조선 병합의 주요 근거가 되는 가쓰라-태프트 밀약은 추론의 여지가 없는 역사적 진실일까.
1959년 미국 역사학자 레이먼드 에스더스(Raymond A. Esthus)는 ‘현대사 저널(The journal of modern history)’에 ‘가쓰라-태프트 협약, 진실인가 신화인가’라는 논문을 발표해 가쓰라와 태프트 간의 메모는 루스벨트가 펼친 극동정책의 핵심부분이 아니었고 태프트는 외교적 흥정(quid pro quo)을 관철할 목적으로 파견된 밀사도 아니었다”고 데넷 이래 정설로 받아들여져온 이 밀약에 최초의 반론을 제기했다.
우선 에스더스는 데넷이 ‘합의된 비망록(Agreed memorandum)’이라는 글귀에서 ‘agreed’라는 어휘를 ‘협정(agreement)’으로 확대해석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태프트의 일본 방문은 전임 필리핀 총독으로서, 그리고 육군성 장관으로서 마닐라를 방문하는 길에 도쿄에 들른 것일 뿐, 일본과 구체적 외교협약을 맺기 위한 것은 아니었다. 당시의 어떤 기록에도 루스벨트가 태프트에게 일본을 방문해 극동문제를 토론하거나 타결하라고 한 훈령은 발견되지 않는다.
태프트와 가쓰라 두 사람의 만남은 러일전쟁 이후의 극동정세와 관련해 벌어질 수 있는 일말의 사태에 대한 예방 차원이었고, 가쓰라는 조선 문제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이야기하고 태프트의 의견을 물었던 것이다. 또한 태프트는 그의 관심사이던 필리핀 통치 및 방위 문제에 관한 자신의 생각을 피력하고 가쓰라와 견해를 교환했다. 이는 자연스러운 일이었고, 어떤 구체적 정책을 실천하기 위한 것은 아니었다.
또한 에스더스는 미일 쌍방의 그 누구도 서명하지 않았고 양 당사국의 의무적 구속조항도 없는 이 비망록이 단순한 ‘대화(conversation)’의 기록이었다고 주장한다. 태프트는 당시 미 국무장관이던 엘리후 루트에게 보낸 보고서에 이를 ‘대화의 합의된 비망록(agreed memorandom of conversation)’이라고 표현했다. 이는 이 사실이 ‘협정(agreement)’이 아니라는 점을 시사한다. 비망록 본문에도 ‘다음과 같은 시각이 교환됐다(the following views were exchanged)’라고 씌어 있다.
루스벨트는 이날의 만남과 대화에 대한 태프트의 전문 보고를 즉시 추인했는데, 이는 1년 전인 1904년 6월 뉴욕주 오이스터만의 자택에서 열린 다카히라 주미 일본공사와의 오찬에서 러일전쟁 종결시 일본의 편을 들겠다고 약속한 사실을 재확인한 것이라 볼 수 있다.
가쓰라는 회동 말미에 이 비밀협약의 내용이 주일 미국대사인 그리스콤에게 전해지는 것을 삼가라고 태프트에게 부탁했다. 당시 조선에 호의적이던 그리스콤이 조선 당국에 이 사실을 알리면 일본이 이미 예정하고 있던 이토 히로부미의 을사특약 조인(1905년 11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을 염려한 것이다.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