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추적

베일 속 500억대 삼성 채권의 ‘꼬리’

대선 후 베트남 잠적한 채권 매입자, 여권 인사 측근설 제기

  • 허만섭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mshue@donga.com

베일 속 500억대 삼성 채권의 ‘꼬리’

1/3
  • 삼성이 사들인 800억원대 채권 중 2002년 대선 당시 여야 정치권에 뿌려진 자금을 뺀 나머지 500억원대 채권의 행방이 오리무중이다. 이런 가운데 최근 검찰은 30대 최모씨가 삼성 채권 일부를 매입한 사실을 확인했다. 그는 베트남으로 출국한 뒤 검찰의 귀국 요청에 응하지 않고 있다. 최씨가 여권 모 인사의 측근이라는 설도 나오고 있다. 1년8개월째 계속되고 있는 삼성 채권 정치권 추가 유입 논란의 최근착 정보를 추적했다.
베일 속 500억대 삼성 채권의 ‘꼬리’

2003년 12월15일 오전 이회창 전 한나라당 대통령후보가 대검찰청에 자진 출두해 불법 대선자금 조사를 받은 뒤 이날 저녁, 귀가하고 있다.

삼성채권은 실체가 거의 공개되지 않은 ‘휴화산’이다. 그러나 엄청난 폭발력을 갖고 있을지 모른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그렇게 볼 만한 정황이 몇 가지 있다.

삼성 고위 관계자들이 2004년 3월 대검 중수부에서 한 진술을 종합해보면, 2002년 대통령선거 직전 이건희 삼성 회장은 ‘개인 재산’으로 1000만원권, 500만원권 1종(만기5년) 국민주택채권 900억~1000여 억원어치를 사들였다. 만기 20년인 2종 채권도 섞여 있었다. 액수는 정확하지 않다. 검찰 관계자는 “검찰에서 자체 파악해 삼성으로부터 확인받은 규모가 그 정도라는 것이지, 대선(大選) 전 삼성측이 실제 매입해 사용한 채권이 전부 얼마인지는 삼성만이 안다”고 말했다.

삼성의 컨트롤타워인 구조조정본부 간부들의 주도로, 삼성 직원 최모씨, 김모씨 2명은 대선 전 명동 채권시장에서 국민주택채권을 매입했다. 삼성은 이 채권을 대선자금으로 활용했다. 검찰 조사 결과, 100억~200억원의 채권은 대선자금과는 무관하게 증권예탁결재원에 예치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나머지 800억원대 채권이 문제가 된 것이다.

2002년 대선 때 삼성은 한나라당 이회창 대통령후보 측근인 서정우 변호사에게 300억원의 채권을 줬다. 2002년 5~6월경 만기 5년짜리 국민주택채권 40억원, 같은 해 7~8월경 만기 5년짜리 국민주택채권 10억원, 같은 해 11월 만기 5년짜리 국민주택채권 250억원 등이다.

“쓰고 남은 건데 가져가세요”



이회창 후보는 “나도 이 사실을 알고 있다. 내 책임이다”고 밝힌 바 있다. 삼성은 40억원의 현금은 별도로 건넸다. 서 변호사는 쓰고 남은 채권 138억원어치는 대선 후 삼성에 돌려줬다. 검찰이 대선자금 수사에 착수한 뒤였다. 돌려준 과정을 삼성 간부는 검찰에서 이렇게 진술했다.

“2003년 11월 초순경 검찰에서 대선자금 수사를 본격화하겠다고 선언한 직후 서정우 변호사로부터 연락이 와서 용건은 말하지 않고 그냥 한번 만나자고 했습니다. 서 변호사 사무실에 찾아갔더니 ‘대선 때 쓰고 남은 것인데 가져가세요. 진작에 드렸어야 했는데 미안하게 됐습니다’고 하였습니다. 그래서 아마 대선 때 저희가 준 채권을 쓰고 남은 모양이라고 생각하고 받아가지고 와서 열어보니 쇼핑백 안에 채권이 138억원어치 들어 있었습니다.”

삼성은 2002년 7월경 안희정씨를 통해 노무현 후보 진영에도 15억원어치의 채권을 줬다. 한나라당에는 5년 만기 국민주택채권을 줬지만, 안희정씨에겐 20년 만기 국민주택채권을 줬다. 검찰 수사 결과 안희정씨는 노무현 대통령의 지인인 강금원 창신섬유 회장을 통해 이를 현금화해 노무현 대통령 채무 변제에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삼성은 이와는 별도로 15억원의 현금을 노무현 후보측에 제공했다. 민주당 후원회를 통해 10억원의 현금을 내기도 했다. 김종필 당시 자민련 총재에게도 15억원 상당의 삼성 채권이 전달됐다.

검사, “삼성이 쩨쩨하게 30억?”

현금은 빼고 채권만 놓고 본다면 삼성이 매입한 800억원대 채권에서 300억원(이회창 후보 진영에 전달), 15억원(노무현 후보 진영에 전달), 15억원(김종필 총재에 전달)만 용처가 나온 셈이다. 남은 470억원대(액수가 딱 떨어지지도 않으므로 언론에선 편의상 ‘500억원대’로 보도) 삼성 채권의 행방에 관심이 쏠리지 않을 수 없게 됐다. 800억원 중 330억원이 불법 대선자금으로 쓰인 사실이 확인된 만큼 나머지 채권의 용처에 대해 의문이 드는 것은 당연하다.

1/3
허만섭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mshue@donga.com
목록 닫기

베일 속 500억대 삼성 채권의 ‘꼬리’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