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농부 김광화의 사람 공부, 이웃 이야기 11

치매 어머니를 ‘존엄’케 하는 자연의 힘, 똥조차 꽃으로 보이는 깨달음의 삶

  • 김광화 농부 flowingsky@naver.com

치매 어머니를 ‘존엄’케 하는 자연의 힘, 똥조차 꽃으로 보이는 깨달음의 삶

1/6
  • 전북 장수 장계 덕유산 자락에는 치매에 걸린 노모와 함께 사는 농부가 있다. 노동운동가, 민중정치인을 거쳐 이제 농부와 명상가, 대안교육가로 안착한 목암 전희식씨. 어머니가 싸놓은 똥을 보고 ‘똥꽃’이라는 시를 지은 그는 또 다른 진보를 어머니와 생명에서 발견한다. 자연과 ‘일’은 어머니의 마음 병을 기적적으로 치유해 나갔고, 그는 어머니에게 노년의 존엄과 권리를 스스로 찾게 했다.
치매 어머니를 ‘존엄’케 하는 자연의 힘, 똥조차 꽃으로 보이는 깨달음의 삶

어머니가 아들을 보살피던 손이 이제는 아들에게서 어머니에게로 이어진다. 그 자체로 아름답고 존엄하다.

나는 낯을 심하게 가리는 편이다. 낯선 사람과 잘 사귀지 못하고, 말 건네기도 쑥스러워해 친구가 많지 않다. 그나마 시골 내려와 살면서 얼굴이 조금씩 두꺼워져 아는 사람이 하나둘 늘어나는 편이다. 아직도 사람을 사귀려면 가슴부터 두근두근한다. 이번에 그렇게 새로 사귄 이웃이 있다. 전북 장수 장계 덕유산 자락에 사는 전희식(全喜植·50)씨가 그이다. 전씨는 그전부터 지면으로 알고 지내던 사이이고, 그가 사는 장계는 우리 집에서 멀지 않은 곳이지만 직접 만난 적이 없었다.

내가 전씨를 처음 만난 건 한 달 전쯤인가, 그가 잔치를 열면서 사람들을 초대했을 때다. 마침 내가 잘 아는 이가 거기 참여하려고 가는 길인데 나보고 같이 가자고 했다. 전씨가 여는 잔치는 어머니를 위한 잔치라는데 환갑이니 칠순이니 하는 그런 잔치가 아니란다. 잔치 이름이 ‘어머니의 건강과 존엄을 위한 기도잔치’란다. 잔치라면 즐겁게 어울리고 맛난 음식을 나누는 자리일 텐데 ‘존엄’이라니…. 생각할 거리가 많을 듯해 길을 나섰다.

전씨가 어머니를 모시고 사는 곳은 우리 집에서 승용차로 30분 거리. 전씨 집 들머리에는 승용차가 줄줄이 서 있고, 집으로 들어서니 마루와 마당에 사람들이 북적인다. 한창 식이 진행 중이어서 전씨와는 우선 목례만 주고받았다.

노모의 존엄을 위한 잔치

천천히 분위기부터 살폈다. 20여 명의 사람 가운데 아는 사람도 몇 보인다. 아이도 여럿 있고, 전씨 어머니는 방안에서 쉬고 계셨다. 잔치 의식 가운데 대금 연주도 있고, 명상 춤도 춘다. 마당 한 귀퉁이에는 어머니 사진도 전시해놓았다. 조금씩 분위기에 익숙해지자 여러 가지 생각을 떠올리며 사진을 몇 장 찍었다.



식이 끝나고 마당에 둘러앉아 음식을 나누었다. 잔칫집이라지만 음식이 풍성하지는 않았다. 떡메로 쳐서 만든 인절미와 김치, 그리고 과일과 술 몇 병이 전부다. 사람들은 음식보다 이야기를 나누고 영적인 기운을 주고받고자 한다.

이날은 전씨와 얼굴 익히는 정도로 하고 헤어졌다. 나누고 싶은 이야기는 많았지만 다음을 기약했다. 그러곤 우리 마을 이웃들과 어울렸다. 그런데 이야기가 흘러가다 보니 부모 모시는 문제가 생각보다 절실한 걸 알았다. 연세가 칠순 팔순이 된 부모님을 모시는 이웃이 적지 않다. 나 또한 어머니는 칠순, 장인어른과 장모님은 팔순이 넘는다. 우리 사회가 고령화 사회로 넘어간다는 걸 피부로 느낄 수 있었다. 한 사람이 안고 있는 고민은 곧 사회가 안고 있는 고민과 크게 다르지 않은 세상이다. 그런 점에서 전씨가 보여주는 삶의 해법은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을 듯하다.

이후 추석 무렵에 그를 다시 만났다. 이번에는 장계가 아닌 완주 소양에서. 전씨의 집은 두 곳에 있다. 본디 귀농해 완주에 집을 짓고 살았는데, 올봄 어머니를 모시기 위해 장계에 따로 집을 마련했다. 소양에는 아내와 자식들이 머무른다. 추석을 지낸다고 식구가 모두 소양 집에 모인 거다.

전씨는 시골에 내려온 뒤 8년 만에 전북 완주 소양에 24평 집을 손수 지었다. 이 집에 와서 직접 보니 아주 잘 지은 집이다. 흙과 나무로 지은 집에 지붕은 흙 기와를 올릴 만큼 돈도 들였다. 담장 또한 튼튼하면서도 예쁘게 쌓았다. 흙과 돌과 나무토막으로 멋을 내고, 빗물에 허물어지지 않게 담장 지붕도 씌웠다.

1/6
김광화 농부 flowingsky@naver.com
목록 닫기

치매 어머니를 ‘존엄’케 하는 자연의 힘, 똥조차 꽃으로 보이는 깨달음의 삶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