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집중 분석

‘강정구 파문’의 발원지, 통일연대의 실체

노동계·시민단체 간판 내걸고 퇴로 차단한 ‘좌경모험주의’

  • 홍진표 자유주의연대 집행위원장 jpho@chol.com

‘강정구 파문’의 발원지, 통일연대의 실체

1/4
  • 강정구 동국대 교수의 발언을 계기로 우리 사회의 이념 갈등이 극에 달했다. 이와 함께 강 교수가 소속된 ‘통일연대’에 대한 궁금증이 커졌다. 민노당과 민노총, 전교조, 민족문제연구소, 민변, 범민련 등 국내 40여 시민사회단체가 연대해 만든 통일연대는 과연 어떤 조직일까.
‘강정구 파문’의 발원지, 통일연대의 실체
“55년전 우리 선배들이 피흘려 싸웠던 전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지난 5월말 전북 순창군 회문산 일대에서 열린 ‘남녘 통일애국열사 추모제’라는 ‘빨치산’ 추모행사에서 통일연대의 모 간부가 한 발언이다. 300여 명이 참석한 이 행사에는 통일연대 한상렬 상임대표의장을 비롯해 전국연합, 범민련남측본부 간부들이 연사로 나섰다.

한 빨치산 출신자는 ‘사령부를 목숨으로 끝까지 수호하자’ ‘제국주의 양키군대를 한 놈도 남김없이 섬멸하자’ ‘미국과 이승만 괴뢰정부를 타도하자’는 등 빨치산 시절의 구호를 제창했고, ‘해방 60돌, 당 창건 60돌, 6·15 5돌을 맞아 통일을 달성하자’는 등 북한의 조선노동당 창건 60년 기념구호도 외쳤다. 미국의 개입으로 북한 주도의 통일이 좌절된 것이 역사의 불행이라고 한탄해 우리 사회를 충격 속으로 몰아넣은 강정구 교수는 이들에 비하면 차라리 온건한 편이다.

‘통일’이라는 주제를 내걸고 북한 주도의 통일을 공공연하게 염원하는 통일연대는 ‘6·15남북공동선언 실현과 한반도 평화를 위한 통일연대’라는 긴 명칭으로 2001년 3월 결성됐다. 통일연대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이 단체의 성격을 한눈에 알 수 있다. 시작화면에 “부시 체포하러 11월18일 부산으로 모입시다”라는 구호가 보이고, ‘아펙반대국민행동’ ‘이라크파병반대국민행동’ ‘평택미군기지확장저지범국민대책위’ 등 각종 반미(反美) 투쟁기구의 홈페이지가 링크돼 있다.

통일연대는 친북운동권단체들의 총본산인 민주주의민족통일전국연합(이하 전국연합)에 민노당, 전국공무원노동조합, 민주노총 등의 노동계와 친일(親日)인사 명단발표를 주도한 민족문제연구소,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민변), 조국통일범민주연합(범민련) 등 40여 개 단체가 가세해 만든 연대기구다. 전주고백교회의 한상렬 목사가 상임대표의장을 맡고 있으며, 전국연합의 오종렬 상임의장, 민노당 김혜경 전 대표, 민주노총 이수호 전 대표 등이 상임대표다. 상임집행위원장은 한충목 전국연합 집행위원장이 겸임하고 있다.



통일연대는 다른 진보적인 시민단체나 연대기구들과 어떤 차이가 있을까. 극명한 차이가 드러나는 사안이 바로 북한 인권 문제다. 진보를 자처하는 상당수 시민단체가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통일연대는 오히려 북한 인권 문제를 거론하는 세력을 향해 신랄한 공격을 퍼붓는다.

“북한에 인권 문제 없다”

지난해 6월 한상렬 대표를 비롯한 통일연대 소속회원 30여 명은 탈북자들이 운영하는 인터넷라디오방송국 ‘자유북한방송국(FNK)’을 찾아가 방송 중단을 요구하면서 방송 운영자들과 격렬한 몸싸움을 벌였다. 당시 통일연대측은 FNK의 탈북자들을 향해 ‘나라를 배반한 반역자’라며 “통일조국이 눈앞에 펼쳐지는 현실에서 북측을 비방하는 따위의 방송은 설 자리가 없다”고 비난했다.

또 올 2월에는 북한인권시민연합이 주최한 ‘북한인권 난민국제회의’에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열었고, 7월에는 미국 인권단체 프리덤하우스가 미국 워싱턴에서 주최한 ‘북한인권국제회의’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미 대사관 근처에서 했다.

최근에는 유럽연합(EU)이 대북인권결의안을 유엔에 상정하자 이를 비판하는 성명을 내놓았다. 이 성명에 따르면 통일연대는 “‘영아살해’ ‘강제유산’ ‘고문’ ‘정치범 수용소’ 등 북한 인권침해의 근거들은 이른바 기획탈북자의 과장된 증언과 확인되지 않은 선정적 사실들”이라고 주장하면서 북한 정권의 인권침해 사실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다.

이 단체는 7000여 명에 달하는 한국 내 탈북자와 수만명으로 추산되는 중국 내 탈북자의 일관되고 구체적인 증언과 영상 등 북한 내 인권 상황을 보여주는 명백한 증거 앞에서도 ‘믿을 수 없는 왜곡’이라고 반박한다. 결국 세 차례에 걸친 유엔인권위의 북한인권결의를 주도한 EU가 사실을 왜곡하고 있다는 얘기다.

2003년 대구 유니버시아드 경기 때 북한에서 온 여성 응원단이 남북정상회담 사진이 담긴 현수막이 비에 젖는 것을 보고는 눈물을 흘리며 차에서 뛰어내려 현수막을 걷어 행진하는 소동을 벌인 적이 있다. 이 여성의 행동이 진심에서든 아니든, 모든 인민이 수령 한 사람을 위해 존재하는 사회에서 최소한의 인권이 보장된다고 볼 수 있을까.

1/4
홍진표 자유주의연대 집행위원장 jpho@chol.com
목록 닫기

‘강정구 파문’의 발원지, 통일연대의 실체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