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일정형외과병원 의료진의 손목 디스크 미세관절내시경 수술 광경.
수건 짜는 일은 엄두도 못 냈다. 땅을 짚고 일어나기도 힘들고 새끼손가락 쪽에서 손목 쪽까지 시큰거리더니 손목의 통증이 점점 심해져 밤엔 잠을 못 잘 정도까지 됐다.
병원을 찾아 검사한 결과, 손목 염좌라는 진단이 나와 물리치료를 받고 깁스로 고정했지만, 일하기 힘들고 깁스를 풀면 다시 통증이 생겼다. 이에 전문병원을 찾아 자기공명영상(MRI) 촬영 등 정밀 검진을 받은 뒤 손목의 디스크인 삼각섬유연골이 찢어진 손목충돌증후군이란 진단을 받았다. 김씨는 초소형 미세관절내시경을 이용한 간단한 수술을 20~30분 받고 퇴원해 아무런 이상 없이 일한다.
잦은 컴퓨터 사용도 한 원인
일상생활에서 손목에 통증이 생기면 파스를 붙이거나, 쉬면 낫겠지 하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통증이 장기간 지속되고 병마개를 돌려 따거나 문 손잡이를 돌릴 때 심한 통증이 온다면 손목 디스크의 손상을 의심해봐야 한다.
손목 디스크는 새끼손가락 방향에서부터 손목을 이루는 큰 뼈인 척골, 작은 뼈인 수근골들 사이에 낀 삼각형의 섬유연골로 손목에 가해지는 충돌을 완화하고, 손목을 돌리거나 뒤로 젖힐 때 쿠션 구실을 하는 조직이다.
허리 디스크와 같이 이곳도 외부 충격으로 손상을 받거나, 반복적인 사용 또는 퇴행성 변화로 연골이 찢어지거나 파열된다. 이에 대한 의학적 진단명은 손목충돌증후군 또는 삼각섬유성연골복합체 손상이지만, 통상 환자가 이해하기 쉽게 손목 디스크 손상이라고도 한다.
제일정형외과병원이 2011년부터 최근까지 손목 질환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 1891명을 분석한 결과 남녀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전체 환자의 73.5%가 활동이 많은 20~40대 회사원이었고, 이 중 60%가량이 컴퓨터를 자주 사용하는 사무원, 디자이너 등의 직종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대부분은 1~2주 치료 후 증상이 호전됐지만 1개월 이상 증상이 지속돼 손목 디스크 손상 진단을 받은 경우도 있다. 이런 결과는 손목 질환이 발생하는 원인에서 찾을 수 있다.
손목 디스크 손상은 주로 손목을 편 채 땅을 심하게 짚은 경우 외상성 손상이 나타나고, 드릴 작업을 많이 하는 직업인 목수, 테니스와 탁구 같이 손목을 많이 사용하는 운동선수, 피아니스트 등 특수 직업군에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여겼다. 하지만 요즘은 컴퓨터 사용이 잦은 직장인과 학생, 집안일을 많이 하는 주부 등에서 의외로 많은 환자가 발생한다.
손목 디스크가 손상되면 보통 손목 바깥쪽을 따라 통증이 생기는데, 넓고 둔하게 느껴지는 통증이 팔목 전체로 퍼져 어느 쪽에 통증이 있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팔을 돌리거나 손목을 바깥쪽으로 틀 때 통증이 더 심하다. 이 때문에 문 손잡이를 돌리거나 병마개를 딸 때, 한 손으로 다소 무거운 프라이팬이나 병을 들 때 특히 심해진다.
때때로 손목이 붓거나 소리가 나기도 하고 팔에 힘이 빠지는 증상도 나타난다. 가장 쉽게 알 수 있는 것은 손목을 바깥쪽으로 틀거나 세게 돌릴 때 통증을 느끼거나 손으로 눌렀을 때 통증이 생기면 이 질환을 의심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