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버지 故 황태문 선생이 생전에 부인과 함께 찍은 사진.
사명당이 점괘를 짚어보니 뱀 사(巳)자가 나왔다. 그래서 사명당은 점괘대로 국수가 나올 것 같다고 대답하였다. 그러나 서산대사는 빙긋이 웃으며 국수가 아니고 밀개떡이 나올 것이라고 했다. 잠시 후 주인이 상을 내왔는데 보니 정말로 밀개떡이었다. 사명당이 깜짝 놀라서 스승에게 뱀 사자를 어떻게 밀개떡으로 풀었냐고 물었다. 그러자 서산대사는 ‘뱀이 평상시에는 국수처럼 가늘고 긴 모양이지만 지금 같은 한밤중에는 기어다니지 않고 똬리를 틀고 있을 터이니 밀개떡 모양이 아니겠냐’고 했다고 한다.
이 얘기는 내가 50년대에 아버지로부터 들은 야담 중의 하나다. 저녁 식사 후에 사랑방에 가면 아버지는 혼자 읽고 있던 신문이나 책을 덮고 이런저런 얘기를 해주셨는데 이따금 이런 신기한 야담도 들려주셨다. 이 야담은 필시 사실이 아닐 것이다. 그러나 뱀 사자를 보면 누구나 길고 가는 것을 연상하게 마련인데 뱀의 형상을 시각까지 고려해서 판단해야 한다는 내용은, 사실의 진위야 어떻든 다른 인생사도 이처럼 여러 가지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판단해야 한다는 지혜를 담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아버지가 들려주신 말씀은 은연중에 나의 몸 속에 스며서 일생 동안 엄청난 도움을 주었다.
결혼한 지 21년 만의 아들
1973년 황씨 중앙종친회에서 펴낸 ‘황씨명현록(黃氏名賢錄)’을 보면 두 페이지에 걸쳐 아버지의 약력과 사진이 실려 있다. ‘황씨 중앙종친회장 황태문(黃泰汶) 선생’에 대한 소개는 ‘1903~1972년, 사업가, 본관 우주(紆州), 고려 중윤(中尹) 민보(旻甫)의 후손으로 전라북도 옥구군에서 출생하였다’는 글귀로 시작된다. 아버지는 어려서 한문공부를 했고, 보통학교를 졸업한 뒤에 독학으로 교원 시험에도 합격했지만, 막상 사회에서는 실업가로 일관한 분이다. 처음에 군산에서 정미소를 시작하여 사업이 꽤 번창했다고 하는데, 이것에 만족하지 않고 평택에서 개간사업, 영월에서 금광사업 등을 벌여 사업의 폭을 넓혀가면서 성공과 실패를 거듭했다고 한다.
나는 아버지가 서른네 살 되던 해에 서울 종로구 가회동에서 3대독자로 태어났다. 아버지가 열세 살, 어머니가 열일곱 살에 혼인한 지 21년 만에, 그리고 하나뿐인 나의 누나가 열일곱 살 되던 해에 내가 태어난 것이다. 내가 태어날 무렵, 아버지는 감초의 재배, 가공, 판매를 전문으로 하는 선만무역공사를 설립하고 만주의 북표에 약초 농장, 장가구에 감초정액 공장, 청도에 아교 공장을 경영하는 등 사업 범위를 크게 넓히고 있었다.
1945년에 해방이 되면서 아버지는 만주 여러 곳의 재산을 잃었지만, 여전히 사업을 하면서 주식회사 광덕상회, 태흥광업주식회사, 태흥화학공업주식회사 등을 창설했다. 정치에도 관심이 많았지만 표면에는 절대로 나서지 않았고 막후에서 정치자금을 댔다고 한다. 그러나 아버지는 언제나 야당 편이었기 때문에 정치적으로는 막대한 피해를 본 실업인 중의 한 사람이었다.
송진우, 김성수, 조병옥 같은 한민당 지도자들과 각별한 사이였는데, 야당 인사 여럿을 암암리에 후원했기 때문에 이승만 정권을 지나 박정희 정권에 이르러서까지도 경제적으로 치명적인 타격을 받았다. 아버지가 1963년에 전국 황씨 중앙종친회 초대 회장으로 추대된 것은 그 인품과 지도력 때문이었겠지만, 전혀 정치 일선에 나서지 않는 황씨 종친의 불편부당한 어른으로 평가받았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아버지는 매일같이 아침에 나가 저녁에 돌아왔다. 당신의 일생을 통해 집에서 쉰 날은 하루도 없었던 듯하다. 일요일이나 공휴일에도, 일이 있건 없건, 아침을 드시고 나면 반드시 밖으로 나갔지 집에 계시지는 않았다. 저녁에는 어쩌다가 늦는다고 미리 전화를 하신 날이 아니면 틀림없이 집에서 저녁을 드셨다. 술을 드시고 늦게 오는 날이라도 술주정 비슷한 것조차 한 일이 없다. 집에 오면 바로 손발을 씻고 식구들과 함께 안방에서 저녁 식사를 했다. 식성이 놀라울 정도로 좋아서 밥이 질건 되건 탔건 설었건 아무 상관이 없었고, 반찬은 소금만 있으면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군것질은 전혀 하지 않았고, 주스, 청량음료, 커피, 차도 거의 즐기지 않으셨다. 그저 찬물이나 숭늉, 보리차면 충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