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혀끝에서 맴도는 이름’ ‘아오이가든’

혀끝에서 맴도는 이야기, 신화, 소설

‘혀끝에서 맴도는 이름’ ‘아오이가든’

1/2


세상을 둘러보면 현실이 소설가의 상상력을 앞지르는 일이 다반사로 일어난다. 탈(脫)현대성의 세계에서 참조할 만한 이성의 거울은 깨졌다. 깨진 거울에 비치는 현실의 상은 수천 개로 파편화되고 일그러져 있다. 소설이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반영하기란 불가능해졌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말이란 살아가는 데 없어도 그만인 사치품”이라고 했다. 소설도 마찬가지다. 그런데도 새로운 소설은 계속해서 씌어지고 새로운 소설책들이 쏟아져 나온다. 우리가 소설에서 읽을 것은 세상의 이야기들이 아니다. 진정한 이야기는 신화와 함께 죽었다.

요즘도 이야기를 끄집어내는 근대적 의미의 작가가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들은 혀끝에서 맴도는 어휘들을 늘 헛짚어내고, 그들이 지어내는 이야기는 의식의 표면으로 미끄러져간다. 오늘의 소설가가 보여줘야 할 것은 징후로서 사유하는 방법, 혹은 사유의 열반(涅槃)이다. 이제 이야기가 아니라 징후, “언어 이전의 실체에 대한 노스탤지어를 가리키는 징후, 불이 활활 타오르는 화덕, 즉 격렬한 장면, 현실에 앞선 실재, 즉 교합”(파스칼 키냐르)이다. 독자도 소설에서 이야기가 아니라 사유하는 방법을, 아니 사유 그 자체를 탐식할 줄 알아야 한다.

피어나지 못한 꽃봉오리



키냐르는 이렇게 쓴다. “글을 쓰는 손은 차라리 결여된 언어를 발굴하는 손이며, 살아남은 언어를 찾아 더듬다가, 주먹을 쥐었다 폈다가, 손가락을 앞으로 내밀어 언어를 구걸하는 손”이다. 소설은 사유의 나무에 움트는 꽃망울이다. 사유의 동반자로 파스칼 키냐르와 편혜영이라는 작가를 천거한다.

소설가는 현실을 탐문한다. 소설은 그 탐문한 것을 시대의 징후로 풀어내는 것이다. 사실을 말하자면 언어로 불러내지 못하는 것 때문에 언어화된 것은 의미를 얻는다. 매혹적인 소설가 파스칼 키냐르는 “혀의 ‘끝’에서 맴돌고 있다는 것은 무엇이 움은 텄으나 꽃을 피우지는 못한 상태를 의미한다. 그 무엇은 자라지만 말없이 애타게 기다리는 자의 입술 위에 다다르진 못했다. 그것은 먹는 행위 너머로, 입 위에 ‘선’ 채로 맴도는 언어의 보이지 않는 개화의 ‘봉오리’이다”라고 쓴다.

혀끝에서 맴도는 이름은 피어나지 못한 꽃의 봉오리다. 혀는 사실적인 것과 사실적이지 않은 것 사이의 한계점에서 얼어붙는다. 얼어붙은 혀, 발음하지 못하는 혀, 이름의 망각으로 타오르는 혀. 그것이 되찾아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굳은 혀에서 주술이 풀릴 때 흘러나올 것은 이름이다. 그 불가사의한 이름은 무엇인가? 키냐르는 다음과 같이 쓴다.

“시, 되찾은 단어, 그것은 이 세상을 다시 바라보게 하며, 어떤 이미지 뒤에나 숨어 있게 마련인 전달 불가능한 이미지를 다시 나타나게 하며, 꼭 들어맞는 단어를 떠올려 빈칸을 채우고, 언어가 메워버려 늘 지나치게 등한시된 화덕에 대한 그리움을 되살리고, 은유의 내부에서 실행 중인 단락(短絡)을 재현하는 언어이다.”

‘혀끝에서 맴도는 이름’의 줄거리는 단순하다. 콜브륀은 재봉사 죈느에게 사랑을 고백한다. 죈느는 콜브륀에게 하나의 숙제를 낸다. 제 허리에 졸라맸던 장식 벨트를 풀어주며 그것과 똑같은 장식 벨트를 만들어 달라고 한다. 콜브륀은 몇 날 며칠 밤을 새워 자수를 놓지만 끝내 벨트를 완성하지 못한다.

어느 날 밤 길 잃은 영주(領主)가 콜브륀의 집 문을 두드린다. 식사 대접을 받고 휴식을 취한 영주는 콜브륀이 장식 벨트를 만들려는 사정을 듣고는 콜브륀에게 자기가 갖고 있던 장식 벨트를 준다. 그러면서 콜브린에게 자신의 이름을 잊지 않겠다는 약조를 하라고 한다. 콜브륀은 ‘아이드비크’라는 간단한 이름을 어떻게 잊을 수 있겠느냐며 선뜻 약조를 하고, 장식 벨트를 받는다. 영주는 이렇게 말한다.

“콜브륀, 그대를 놀리는 게 아닐세. 그렇게 크게 웃지 말게. 만일 1년 후 같은 날, 같은 시각, 한밤중에 내 이름을 기억하지 못한다면 그대는 내 사람이 되는 거니까.”

죈느와 콜브륀은 결혼한다. 결혼 후 아홉 달쯤 지났을 때 콜브륀은 영주와 했던 약속이 떠올랐다. 그래서 영주의 이름을 막 떠올리려는 찰나 별안간 이름이 기억에서 사라졌다.

“이름이 혀끝에서 맴돌고 있었으나 도저히 기억해낼 수 없었다. 이름은 그녀의 입술 주변에서 떠다니고 있었다. 아주 가까운 데 있었고, 느껴지는데도, 그녀는 이름을 붙잡아서, 다시 입속에 밀어넣고, 발음할 수가 없었다.”

1/2
장석주 시인·문학평론가 kafkajs@hanmail.net
목록 닫기

‘혀끝에서 맴도는 이름’ ‘아오이가든’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