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국내 최초로 ‘코엔자임Q10’ 출시한 영진약품 김창섭 사장

“원료·제품 양수겸장으로 글로벌 바이오 기업 지향”

국내 최초로 ‘코엔자임Q10’ 출시한 영진약품 김창섭 사장

1/4
  • 영진약품은 KT&G 바이오 사업 생산기지이자 플랫폼
  • 원료 생산기술 보유, 코엔자임Q10 선도기업 자리 굳혀
  • ‘점령군’ 이미지 벗었더니 직원들 기(氣) 살아나
  • 바이오벤처, 학계, 제약사 공생(共生) 방안 모색할 때
국내 최초로 ‘코엔자임Q10’ 출시한 영진약품 김창섭 사장

● 1955년 경북 영주 출생<BR>● 동국대 산업공학과·동 대학 경영대학원 졸업<BR>● 총무처 교육훈련과 근무<BR>● 한국담배인삼공사 경영기획국장, KT&G 경영관리본부 상무 <BR>● 現 영진약품공업 사장

바람이 분다. 그냥 바람이 아니라 열풍이다. 웰빙시대를 맞아 헬스테크 열풍이 전세계를 강타하고 있다. ‘건강한 노후’를 위한 투자가 다양한 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의 명멸을 불러오면서, 노령화 사회로 진입한 한국은 그야말로 춘추전국시대를 방불케 한다.

이런 상황에서 주목받는 기업이 영진약품공업(주)이다. 자양강장제 ‘구론산바몬드’로 동아제약 ‘박카스’의 아성에 도전하며 한때 국내 3대 제약사로 꼽히던 영진약품은 1997년 부도를 낸 뒤 화의 절차를 밟는 수모를 겪었다.

그러나 2004년 3월 KT&G에 경영권이 넘어간 지 불과 1년여 만인 지난 7월, 국내 최초의 코엔자임(Coenzyme)Q10 함유 드링크 ‘영진큐텐’과 화장품 ‘코엔자임Q10 에센스 마스크’를 선보였고, 8월엔 코엔자임Q10 성분의 항산화 영양제 ‘진셀몬큐텐’을 잇따라 내놓으며 부활을 알렸다. 최근엔 코엔자임Q10 함유 입술 보호제 ‘벨마르 립케어 세트’를 출시, 국내 업체 가운데 가장 다양한 코엔자임Q10 제품군(群)을 보유했다.

현재 국내에선 대웅제약 계열사 대웅화학이 코엔자임Q10 원료를 생산하고 있고, 제품으론 대웅제약과 유한양행이 코엔자임Q10 함유 영양제를 시판 중이지만, 발빠르게 ‘국내 최초’라는 꼬리표를 단 영진약품은 코엔자임Q10 신(新)시장 개척의 선도기업으로 나섰다.

이런 덕분일까. 올해 1082억원 매출을 목표로 한 영진약품은 올 상반기 매출이 지난해보다 11% 성장한 450억원에 순이익 7억원의 흑자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영진약품 구하기’의 주역은 김창섭(金昌燮·50) 사장. 김 사장은 영진약품 회생을 위해 모기업인 KT&G가 2004년 4월 긴급 투입한 ‘소방수’다. 사장 취임 당시 영진약품을 글로벌 바이오 제약사로 키우겠다고 공언한 그가 꺼내든 ‘비장의 카드’가 코엔자임Q10이다.

코엔자임Q10은 인체 세포에 존재하는 조효소(助酵素) 중 하나. 세포의 에너지 산출을 돕는 구실을 하는데, 여러 기관과 혈관을 손상시키고 노화를 촉진하는 활성산소 제거(항산화) 효과가 탁월해 심혈관 질환 예방, 면역력 강화, 노화방지 등을 위해 선진국에선 널리 사용되는 물질이다. 1957년 미국 위스콘신대 크레인 교수가 소의 심장에서 처음 발견했는데, 세포 내에서의 코엔자임Q10 작용원리를 입증한 영국 과학자 피터 미셸은 1978년 노벨상을 받았다.

인체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코엔자임Q10은 20대에 가장 많이 우리 몸 안에 존재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그 양이 점점 줄어든다. 따라서 고령자는 코엔자임Q10을 외부에서 섭취할 필요가 있다. 이미 미국·일본 등지에선 노화방지, 에너지 합성, 고지혈증 보조치료 등에 사용돼왔다.

코엔자임Q10 시장은 확산일로에 있다. 2004년 기준으로 코엔자임Q10의 세계 총생산량은 225t(2005년 현재 250t 추정). 이중 80%가량인 180t을 일본 기업이 생산한다. 시장은 세계 소비량의 60%를 점하는 미국이 중심이다.

활용범위 넓은 코엔자임Q10

올 상반기 공시 매출액 기준으로 영진약품은 국내 제약사 중 16위. 하지만 코엔자임Q10 사업이 본격화하는 2006년 이후엔 옛 영광의 재현과 함께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바이오 제약사로 도약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코엔자임Q10의 응용영역은 어디까지 확대될 수 있습니까.

“선도국인 일본의 예를 들죠. 2001년에는 피로회복, 심장기능 강화 등을 타깃으로 한 제품이 주를 이뤘습니다. 2003년 들어서는 화장품, 미용수, 다이어트 제품으로 확대됐어요. 2004년 말엔 노화방지 쪽으로 옮겨갔죠. 최근엔 고지혈증 치료제인 스타틴계 약물이 인체에서 코엔자임Q10 합성을 저해한다고 알려져 스타틴계 약물을 투여할 경우 코엔자임Q10을 섭취할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전문의약품으로도 활용범위를 넓혀가고 있죠. 한국에선 의약품 및 화장품 원료로만 고시됐을 뿐, 아직 건강기능식품 원료로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처럼 응용영역이 넓기 때문에 건강기능식품 원료로 고시되면 관련 시장이 매우 커질 겁니다.”

1/4
김진수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jockey@donga.com
목록 닫기

국내 최초로 ‘코엔자임Q10’ 출시한 영진약품 김창섭 사장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