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재·보선 참패 그후, 표류하는 여권

청와대는 ‘대안 없음’, 여당 마지막 카드는 ‘찢어지기’?

재·보선 참패 그후, 표류하는 여권

1/4
  • 청와대와 열린우리당의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재·보선 전패, 연일 추락하는 당과 대통령의 지지도 등 현 상황을 바라보는 시각 자체가 다르기 때문이다. 당의 위기의식은 최고조인 데 반해 청와대는 여유만만이다. 동상이몽이 따로 없다. 결국 당과 청와대는 서로 다른 타개책을 찾고 있는데….
재·보선 참패 그후, 표류하는 여권

노무현 대통령(가운데)이 11월14일 청와대 만찬에 초대한 정세균 당 의장(맨 왼쪽) 등 열린우리당 임시지도부를 만찬장으로 안내하면서 환담을 나누고 있다.

“전투에서져도 전쟁에서는 이긴다고? 전투에서 계속 지면 전쟁에서도 지는 거다.”

10·26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참패의 책임을 지고 지도부가 총사퇴한 충격파가 채 가라앉지 않은 11월초 열린우리당의 한 중진 의원은 격한 감정을 억누르지 못했다.

“지금 열린우리당 지지도가 12%다. 서울에서는 한 자릿수라고 하는데, 이러다간 전국적으로 지지도가 한 자릿수로 떨어질지도 모른다. 김영삼 정부 시절 대통령 아들이 구속되고 외환위기가 터졌을 때에도 신한국당 지지도가 20%였다. 외환위기라도 터졌다면 모를까, 가랑비에 옷 젖는 것처럼 야금야금 떨어지다 여기까지 왔는데 이게 더 위험한 것 아닌가.”

1997년과 2002년 대선(大選)에서 김대중, 노무현 2명의 ‘대통령 만들기’에 핵심 역할을 했던 그는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그런데 아직도 정신을 못 차리고 초선 의원 중에는 ‘우리는 대선 전문당’이라고 말하는 자들이 있다. 내년 지방선거에서 다 져도 ‘우리는 대선 전문이라서 대선에서는 이긴다’고 할 거다. 대선을 한 번이라도 치러본 자들이 그런 이야기를 하면 또 모르겠다. 지난번 대선은 거저먹은 줄 아는 모양이다.”



열린우리당 지지도는 그의 어두운 전망과는 달리 11월 중순 들어 20%대로 다소 상승했다. 하지만 이는 위기감이 확산되면서 지지층 결집 현상이 나타났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문제는 청와대가 느끼는 위기 체감온도가 열린우리당 내부에서만큼 그리 심각하진 않다는 것이다. 취임 이후 2년여 동안 탄핵 사태를 비롯, 온갖 수난을 겪은 탓인지 오히려 낙관론까지 나오는 분위기다. 청와대 한 핵심 관계자의 설명이다.

“내부적으로 여론조사를 해보면 노 대통령의 지지도는 29~33%다. 선호도 조사결과를 들여다보면 재미있는 현상이 읽힌다. 현 정부를 싫어하는 이유에 대해 ‘노무현이 싫어서’라고 한 응답율은 8%에 불과하다. 거의 모든 여론조사에서 비슷한 수치가 나온다. ‘경제가 나빠서’가 50% 정도로 압도적이다. 결국 대통령이 무슨 일을 하든 ‘노무현이 싫어서’라고 답하는 ‘무조건 반대파’는 8%에 그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경제만 살아나면 큰 문제는 해소된다는 얘기다. 지금 여론조사에서는 차기 대통령의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경제문제 해결 능력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오지만, 경기가 어느 정도 회복되고 나면 2007년에 치러질 차기 대선에선 경제문제가 큰 변수로 작용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이다. 여권의 후보가 누가 됐든 ‘노무현의 덫’에 걸려 대선에서 궁지에 몰리는 일은 없을 것이라는 의미기도 하다.

청와대 시각은 여당과 딴판

재·보선 패배 직후 열린우리당 일부 의원들이 노 대통령과 청와대를 정면공격하면서 언론은 일제히 ‘조기 레임덕 조짐’이라는 해석을 내놨지만, 이에 대해서도 청와대의 시각은 딴판이다.

노 대통령은 10월30일 청와대 출입기자들과 북악산에 오르면서 “정치하면서 겪어온 풍파에 비하면 아무 일도 아니다. 훨씬 더 험악한 일을 다 넘겼다. 요새는 이런 일을 자주 안 보니까 큰일났다고 하는데, 10년 전만 해도 자나깨나 있는 일이었다”고 여당 의원들의 공격에 초연한 태도를 보였다.

한걸음 더 나아가 노 대통령은 캐나다의 멀로니 총리가 부가가치세 전면 확대를 추진하다가 총선에서 몰락한 예를 들면서 “나라를 위한 일이라면 당(黨)이 망해도 좋다”고도 말했다. 열린우리당의 지지도를 10% 이상 떨어뜨린 원인으로 지목받는 한나라당과의 대연정(大聯政) 제안을 당쪽에서 비난하고 나선 데 대한 서운함이 밴 말이었다.

실제로 노 대통령은 2003년말 열린우리당 창당(創黨) 직후 사석에서 비슷한 얘기를 한 적이 있다. 당시 노 대통령의 측근인 염동연 의원이 청와대를 찾아가 노 대통령에게 의석수 45석, 지지도 7%에 불과한 열린우리당에 대한 전폭적 지원을 요청한 자리에서였다. 당시 열리우리당 내에서는 몇 달 뒤로 다가온 2004년 4월 총선에 대한 불안감이 엄청났다.

1/4
김정훈 동아일보 정치부 기자 jnghn@donga.com
목록 닫기

재·보선 참패 그후, 표류하는 여권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