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서울아산병원-동아일보, 파키스탄 지진참사 의료봉사

‘공격목표’ 각오, 탈레반 은신처까지 찾아가 진료

서울아산병원-동아일보, 파키스탄 지진참사 의료봉사

1/4
  • 서울아산병원 - 동아일보 의료봉사단은 10월21일부터 11월1일까지 11일 동안 파키스탄 지진참사 피해 현장에서 3000명이 넘는 환자들을 치료했다. 이번 봉사활동은 대한의사협회가 동남아 쓰나미 참사지역 의료봉사에 이어 두 번째로 추진한 것. 봉사단은 파키스탄에서 ‘코리아의 인류애’를 깊이 각인했다.


네살배기 파키스탄 소년 굴 칸은 10월8일 파키스탄 북서부를 강타한 지진으로 형 둘과 동생 하나를 잃었다. 칸 또한 머리에 심한 부상을 당해 중태였으나 한국에서 온 의사들 덕에 생명을 건질 수 있었다. 칸의 치료는 일반외과 전문의 송태효 박사가 맡았다. 송 박사는 대한의사협회가 주관하고 서울아산병원과 동아일보가 공동으로 참여한 ‘파키스탄 대지진 긴급 의료지원단’의 2진으로 참여해 지진 피해 환자를 돌봤다.

“칸의 머리에 두른 붕대를 푸는 순간 놀라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겨우 응급 치료만 받은 상태였습니다. 두개골이 훤히 들여다보이는 데도 대충 봉합만 한 데다 상처관리도 미흡해 진물이 흐르고 균 감염이 우려되는 상황이었어요. 2∼3일 안에 패혈증으로 사망에 이를 것 같았습니다.”

송 박사는 1시간에 걸쳐 칸의 후두부에 열십자로 난 상처를 하나하나 봉합했다. 마취제 없이 봉합술을 시행했기에 응급 텐트 안은 칸이 지르는 비명으로 가득 찼다. 칸이 수술을 받는 동안 아버지 엘리는 땀을 흘리며 칸을 붙잡았고 그 뒤에서 어머니 룩사나는 멍하니 서 있었다. 아이 셋을 지진에 잃은 어머니는 겨우 목숨을 건진 칸마저 잘못될까봐 겁에 질린 표정이었다. 수술 후 칸은 한국 의료진이 베이스캠프를 차린 아보타바드시(市)의 아유브 대학병원에서 후속치료를 받았다.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중상 아들 안고 18시간 걸어와



칸의 고향은 아보타바드시에서 100km 정도 떨어진 바그. 칸의 부모는 지진 때문에 길이 끊어지자 칸을 안고 18시간 동안 산길을 걸어 아유브 대학병원의 한국 의료진 텐트에 닿았다. 아들을 살려내기 위한 필사의 노력이었다.

칸의 부모가 아들의 생명을 한국 의사들에게 맡긴 것은 파키스탄에 1진으로 온 인천 길병원 의료진의 명성이 파키스탄인들에게 빠르게 퍼졌기 때문이다. 한국 의사들의 진찰, 처방, 응급처치 기술은 현지 의료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선진적이어서 불과 며칠 만에 파키스탄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

10월22일 오전 11시, 서울아산병원 의료진은 아보타바드시 아유브 대학병원에 도착했다. 대한의사협회가 지진 피해를 당한 파키스탄에 긴급 의료진을 보내기로 한 뒤 그 두 번째 팀으로 서울아산병원 의사들과 간호사들이 파키스탄 땅을 밟은 것. 이들이 베이스캠프를 친 아보타바드시는 파키스탄 북서부 인구 20만의 중소 도시이자 이번에 지진 피해를 가장 심하게 본 카슈미르 지역의 관문에 해당하는 곳이다.

카슈미르는 한국과 위도가 비슷해 마치 강원도 어느 곳 같은 풍광이 펼쳐졌는데 북쪽으로 올라갈수록 히말라야의 냄새가 났다. 파키스탄으로부터의 독립 움직임, 인도와의 국경분쟁, 아프가니스탄 탈레반의 근거지로 지목돼 국제 뉴스에 심심치 않게 등장하는 곳이다.

10월8일 리히터 규모 7.8의 강진이 카슈미르를 강타했다. 공식 사망자만 6만명. 당초 서울아산병원팀은 지진 피해가 가장 심각한 파키스탄 서북부의 무자파라바드시(市)에서 진료할 계획이었으나 파키스탄 정부의 요청으로 아유브 대학병원에 베이스캠프를 차리게 됐다. 아유브 대학병원은 파키스탄에서 랭킹 5위의 큰 병원이다. 그러나 1200개 병상은 지진 이후 병원 뜰에 400개 병상을 운영하는 규모로 대폭 축소됐다. 의사의 3분의 2가 계속된 여진을 피해 병원을 떠나면서 병원의 기능이 마비되는 차였다. 때마침 급파된 한국 의료진은 이 병원이 다시 활성화되는 데 크게 기여했다.

1/4
글·사진 이종승 동아일보 사진부 기자 urisesang@donga.com
목록 닫기

서울아산병원-동아일보, 파키스탄 지진참사 의료봉사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