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칼의 노래’ 속 여진은 상상의 인물?

‘이순신의 여자’ 미스터리

‘칼의 노래’ 속 여진은 상상의 인물?

1/3
  • 김훈의 소설 ‘칼의 노래’에는 노비 여진의 이야기가 여러 번 나온다. 이순신이 품에 안은 여자. ‘여진과 세 번 관계했다. 여진이 아파 울었다’ 같은 대목이 눈길을 끈다.
  • 난중일기 속 ‘여진’은 처음엔 번역이 되지 않았다. 그러다 누구는 여자 노비로, 누구는 여진족으로 해석하기 시작했다. 여진이 여자 노비라는 증거는 여전히 명확지 않다. 이순신, 그도 여자를 탐했을까.
‘칼의 노래’ 속 여진은  상상의 인물?
영화 ‘명량’이 히트한 이후 ‘인간 이순신’을 궁금해하는 사람이 많았다. 특히 ‘이순신의 여자’에 많은 이가 관심을 보였다. 인터넷엔 한때 ‘이순신이 동침한 여자’라는 주제의 글이 떠돌기도 했다. 대부분 난중일기 번역본의 일부 문장을 가감한 글이었다. 주요 내용은 이렇다.

1596년 9월 14일. 하루 더 묵었다. 여진(女眞)과 두 번 관계했다.

1596년 9월 15일. 여진과 세 번 관계했다. 여진이 아파 울었다.

1596년 9월 19일. 최철견의 딸 최귀지(崔貴之)와 잤다.

어떤 사람은 “이순신이 이렇게 난잡한 생활을 했나요?”라고 묻는다. 또 어떤 사람은 “이순신 장군도 관기나 종들과 ㅅㅅ(섹스)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음”이라는 글을 인터넷에 올렸다. 그러나 당시 이순신의 상황을 생각하면 다른 해석이 가능한 부분이 많다. 웃고 넘어갈 일은 아니라고 판단된다.



선비의 번뇌, 색욕

이순신과 동시대 인물로 그 시기 전후의 각종 야담을 모아 정리한 유몽인(柳夢寅· 1559~1623)의 ‘어우야담(於于野談)’에는 재미있는 얘기가 나온다. 조선 최고의 성리학자 퇴계 이황과 남명 조식이 나눈 여색(女色) 이야기다. 퇴계가 물었다. “술과 여자를 좋아하지 않는 사람은 없습니다. 술은 그래도 참을 수 있으나 여자 욕망(色)은 참기가 어렵습니다. 선생은 어떠십니까.” 남명이 웃으면서 대답했다. “여자에 대한 욕망에 대해선 (저는) 이미 패배한 장수입니다. 말도 꺼내지 마십시오.” 물론 이 이야기는 사실이 아니다. 성욕을 극복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주려고 만든 픽션 중 하나다.

이순신보다는 한 세대 앞의 인물이고, 퇴계나 남명과는 거의 동시대 인물인 묵재 이문건이나 미암 유희춘이 남긴 기록에도 여색을 탐하는 대목이 있다. 여자 문제로 아내와 갈등하는 선비 이야기가 적나라하게 쓰여 있다. 이문건은 심지어 유배생활을 하면서도 기생들과 바람을 피워 아내의 극심한 투기(妬忌)를 일으켰다.

투기는 조선시대에 양반 남성이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7가지 이유(칠거지악) 중 하나였다. 그러나 이문건의 아내는 남편에게 “당신이 바람을 피우지 않았다면 어찌 투기를 하겠습니까”라고 소리치며 남편의 베개를 칼로 찢었다. 유희춘의 아내도 복직한 남편이 한양에서 몇 달간 독수공방한 것을 자랑하자 이렇게 면박을 줬다.

“나는 시어머니 삼년상도 홀로 치렀는데, 그게 뭐 힘든 일이라고….”

또한 유희춘이 전라도 관찰사에 임명됐을 때는 지방관의 관행인 방기(房妓)·방직기(房直妓) 문제로 걱정했다. 방기·방직기가 지방관들의 생활을 돕는 것은 물론 성적 서비스까지 제공했기 때문이다. 유희춘의 경우에는 옥경아, 응로화, 숙지, 막개, 자운선, 나을진 등의 수청기(守廳妓)가 있었다.

무인들도 마찬가지였다. 조선 중기의 무관이자 시인인 박계숙(朴繼叔·1569~1646)과 그의 아들 박취문(朴就文·1617~1690)이 쓴 일기 모음집 ‘부북일기’에는 무인의 삶이 가감 없이 기록돼 있다. 이순신의 난중일기와도 유사한 부분이 많다. 사흘에 한 번꼴로 활을 쏘는 것, 빈번하게 술을 마시는 것 등이 그렇다.

하지만 차이도 크다. 특히 여성(기생)과의 관계가 그렇다. 난중일기는 7년 동안의 일기인데도 극소수의 왜곡된 악의적 사례까지 인정해도 불과 대여섯 개 외에는 여자나 기생과의 성관계를 상상할 수 있는 장면이 없다. 이순신이 비교적 여자를 멀리했기 때문이었을까.

적보다 무서운 유혹

그 질문에 대한 해답은 ‘부북일기’와 이순신의 삶에서 엿볼 수 있다. 아버지 박계숙은 중년에 가까운 37세 때인 1605년 10월 15일부터 1607년 1월 1일까지, 아들 박취문은 혈기방장한 28세 때인 1644년 12월 9일부터 1646년 4월 4일까지 40년의 시차를 두고 함경도에 근무하면서 일기를 썼다. 이 부자(父子)는 둘 다 기생 혹은 여자 노비를 방직(房直, 관아에 속한 심부름꾼)으로 뒀고 자주 어울리며 동침했다. 아버지 박계숙은 그 자신 혹은 동료가 동침한 기생을 ‘녹의(綠衣)’ ‘홍안(紅顔)’으로 에둘러 표현했고, 절제하려는 마음 자세까지 상세하게 기록했다.

1605년 12월 8일. 함께 가는 사람들과 각각 홍안(紅顔, 기생)을 안고 여행자의 회포를 풀었다. 내 여인은 18세의 은씨였다. 예쁘기가 중국 춘추시대 월나라 미인 서시(西施) 이상이다. 그럼에도 돌과 같이 굳게 초심을 지켜 끝까지 가까이하지 않았다(初心以石終不相近).



박계숙이 새 근무지인 함경도 경성에 도착한 다음 날에 전날 우연히 만난 20세의 애춘이 16세의 금춘을 박계숙에게 데려왔다. 박계숙은 “월나라의 미인 서시가 놀라고, 한나라의 왕소군을 넘는 미인”이라며 금춘의 미모에 감탄한다. 그러면서도 “남녀 사이의 욕정이 어찌 일어나지 않았을까. 그러나 돌과 같이 초심을 지켜 끝까지 가까이하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 결심은 하루를 넘기지 못했다. 다음 날 박계숙은 금춘의 유혹에 무너졌다. 아들 박취문의 일행으로 함께 북방 근무길에 오른 박이명도 마찬가지였다.

1644년 12월 26일. 박이명은 ‘인색대장군(忍色大將軍, 여색을 참을 수 있는 대장군)’이라고 자칭했었다. 그런데 이날 밤 주탕(酒湯, 관가의 계집종) 도선(道仙)에게 무릎을 꿇고는 날이 새기도 전에 급히 떠났다.

1/3
박종평 | 이순신 연구가
목록 닫기

‘칼의 노래’ 속 여진은 상상의 인물?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