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고통 감내한다고 행복해지지 않아

인고의 착각

고통 감내한다고 행복해지지 않아

1/4
  • 한국의 많은 부모가 미래의 행복을 위해 지금의 즐거움을 포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 자식의 성공을 위해 기꺼이 고통을 감수한다. 많은 돈을 교육비에 쏟아 부으며 허리띠를 조인다. 그런데 고통과 성공은 어떤 인과관계가 있을까.
고통 감내한다고 행복해지지 않아

대입수능시험을 앞두고 학부모들이 두 손 모아 절을 하며 수험생 자녀의 고득점을 바라는 불공을 드린다.

교수인 필자가 1년 중에 가장 좋아하는 시간은 바로 7월 초다. 교수에게 보통 1학기는 2학기보다 훨씬 힘들다. 2학기는 추석 연휴도 있고 연말도 있어서 강의 일수도 상대적으로 적고 수업이나 연구 등 여러 면에서 노동 강도가 다소 떨어진다. 하지만 1학기는 새로운 1년의 시작이기에 행정 업무도 많고, 연구나 교육 측면에서 기대가 커 훨씬 지치고 힘이 든다.

게으른 교수의 전형인 필자는 1학기 내내 여름방학을 기다린다. 6월 말에 기말고사가 끝나고 성적 처리까지 마치고 나면, 그 시기가 바로 7월 초다. 이때는 학교도 가기 싫고 아무것도 하기 싫어지고, 편안하게 쉬면서 놀러 다니고 싶다. 그래서 약속도 잡지 않고 아내에게 놀아달라고 조른다. 영화도 보고, 맛있는 것도 사 먹고, 쇼핑도 다니자고.

하지만 바로 이때가 고등학생과 중학생인 두 아들의 기말고사 기간이다. 두 아들이 시험을 보러 학교에 가고 나면 놀아 달라고 조르는 나를 아내는 철저하게 거부한다. 영화도 안 보러 갈 거고, 맛있는 것을 먹는 것도 싫다고 한다. “도대체 왜”그러느냐고 묻는 나에게 아내는 “애들이 시험 본다”고 답한다.

그래서 나는 되묻는다. “당신이 시험 보냐? 학교에서 시험 보는 애들이랑 집에 있는 우리가 무슨 상관있는데?”라고. 아내는 대답한다. “애들이 오늘 시험 보고 와도 내일 시험을 위해 오늘도 밤새고 계속 공부해야 하는데, 엄마 아빠가 놀러다니고 자기들끼리 맛있는 거 먹으러 다닌다고 생각하면 공부할 기분이 나겠어? 공부가 잘되겠어?”라고. 이 대답은 매우 논리적이고 말이 된다. 그래서 나는 이렇게 대꾸한다. “그거 말이 된다. 일리가 있다. 그러니까 몰래 놀자. 재미있게 놀고 아이들이 학교에서 돌아오기 전에 집에 와서 안 논 척하자.” 그래도 내 아내는 나랑 안 놀아준다. 내가 왜 몰래 노는 것도 안 되느냐고 조르면, 내 아내는 왠지 그러면 안 될 것 같다고 얘기한다.

부모도 수험생?



이게 한국의 부모, 특히 엄마의 마음이다. 나의 어머니도 그러셨고, 현재를 사는 어머니 대부분의 마음이 그렇다. 논리적이고 객관적으로만 보면 내 아내의 행동은 전혀 이해가 되질 않는다. 두 아들이 모르기만 한다면, 아들들이 학교에서 시험을 보는 동안 부모가 집에서 무엇을 하건 아무 상관이 없다. 집에서 기도를 하건, 절을 하건, 굿을 하건, 노래방을 가건, 등산을 가건, 낮잠을 자건 상관없이 시험을 잘 볼 아들은 잘 볼 것이고, 못 볼 아들은 못 볼 것이다.

물론 종교건 미신이건 뭔가 초자연적인 존재가 자신의 소원을 들어줄 것이라는 믿음을 가진 사람은 자신의 행동이 실제로 자녀의 시험 성적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믿을지 모른다. 하지만 지금까지 수많은 연구를 통해 특정 종교나 믿음을 가진 사람들이 어떤 시험에서 더 나은 결과를 얻을 리가 없다는 것은 이미 밝혀졌다. 실제 기독교적 믿음이 사회를 지배하는 미국에서도 명문대학에 진학하는 학생과 그들 부모의 종교를 조사한 연구 결과 명문대 진학과 종교 사이에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는 것이 과학적인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대학 진학뿐 아니라 사회적인 성공과도 아무런 관련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아무 소용없는 짓이라는 것이다. 

내 아내의 비합리적인 행동이 아무 소용이 없는 것에 시간과 노력, 자원을 낭비하는 데 그치지 않고, 오히려 두 아들과 우리 가족 전체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더 문제다. 두 아들이 학교에서 시험을 보는 내내, 내 아내는 초조하게 마음속으로 빌고 또 빈다. 사실 믿는 종교가 없으니 누구한테 비는지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마음속으로 매우 간절하고 처절하게 빈다. 결코 한순간도 즐겁거나 행복하려 하지 않는다. 오히려 괴로워지려 노력하는 사람처럼 보인다.

그리고 두 아들이 학교에서 돌아오는 순간 득달같이 달려가 물어본다. 시험은 어떻게 봤느냐고. 10번 중 9번은 실망스러운 대답이다. 나의 두 아들뿐 아니라 대한민국 아들의 성적은 항상 부모에게 만족스럽지 않다. 10등을 한 아들에게는 왜 5등을 못 했느냐고, 5등을 한 아들에게는 왜 1등을 못 했느냐고, 1등을 한 아들에게는 왜 100점을 못 받았느냐고 아쉬워하는 것이 한국의 엄마다. 아들의 실망스러운 대답에 내 아내는 억장이 무너지고 다리가 풀린다. 그 순간부터 나와 아들들은 심기가 불편해진 아내의 눈치를 보며 하루를 보낸다.

나는 내 아내에게 전혀 다른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아들들이 시험 보는 동안 나와 함께 영화도 보고 맛있는 음식도 사 먹고 너무나도 즐거운 시간을 보내며 기분 전환을 하고, 어차피 기대에 못 미치는 시험을 볼 아들을 기분 좋게 맞이하자고. 그래서 기분 좋게 웃으면서 맛있는 음식을 해주며 내일의 시험을 더 잘 준비하게 도와주자고. 아들이 시험 보는 동안 우리가 즐거운 시간을 보내도 어차피 아들의 시험 성적은 이미 정해져 있다고. 이렇게 합리적이며 건설적인 제안을 하는 기특한 나에게 내 아내는 오히려 화를 낸다. 부정 타게 이상한 소리 한다고. 내 아내뿐 아니라 한국의 부모 중에 그렇게 합리적으로 사는 부모가 얼마나 될까. 이런 한국 부모의 비합리성의 중심에는 바로 인고의 착각이 있다.

1/4
허태균 │고려대 심리학과 교수
목록 닫기

고통 감내한다고 행복해지지 않아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