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11월호

가정법의 매직 파워(Magic Power)

  • 저자 이윤재 / 편집기획·진행 구미화 || 일러스트 이우정

    입력2006-11-16 10:46: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부탁하거나 양해를 구할 때 상대방 기분을 up!

    가정법의 매직 파워(Magic Power)
    영어에는 높임말이 없다. 하지만 영어권 사람들은 상대의 옷깃만 스쳐도 “Excuse me”라고 한다. 영어로 정중하고 부드럽게 말하는 방법이 수없이 많고, 섬세한 표현법도 아주 다양하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가정법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영어의 서법(敍法·mood)에는 직설법·명령법·가정법이 있다. 사실을 그대로 표현하는 방식을 직설법(Indicative Mood)이라고 하고, 어떤 일에 대한 가정·소망 등 머릿속의 상념을 표현하는 방식을 가정법(Subjunctive Mood)이라 한다. 그리고 명령조로 표현하는 방식을 명령법(Imperative Mood)이라고 한다.

    그런데 서법을 영어로 law가 아닌 mood라 하는 이유는 뭘까? mood는 두 가지 의미를 지닌다. 하나는 ‘기분·분위기’로 더 정확하게 말하면 ‘일시적인 마음의 상태나 사람의 언동을 좌우하는 감정’을 뜻한다. 다른 하나는 ‘mode(방법·양식·형식·형태)의 변형’이다. 이 두 가지 의미를 합치면 직설법· 명령법·가정법에서의 ‘법’이란 ‘말을 하거나 글을 쓸 때 마음의 태도를 표현하는 술어동사의 어형 변화방식’을 말한다.

    명령법보다는 직설법이, 직설법보다는 가정법이 듣는 사람에게 Good Mood(좋은 기분)를 준다. ‘물 좀 가져다 달라’고 할 경우 Give me water보다는 Will you give me some water?가 듣기에 좋은 것처럼. 여기서 직설법 조동사 Will을 가정법 조동사 Would로 바꾸어 Would you give me some water?로 하면 더 공손한 느낌을 준다. 사실 이 문장은 If I were bold to ask you to give me some water, would you (please) give me some water?(만일 제가 외람스럽게도 물을 좀 달라고 부탁한다면 주시겠습니까?)에서 If절을 생략한 표현이다.



    구색을 맞춰서 말하면 오히려 어색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길을 물을 때 주절과 종속절을 모두 동원하여 “만일 제가 외람스럽게도 정거장으로 가는 길을 묻는다면, 가르쳐 주시겠습니까? (If I were bold to ask you the way, would you (please) show me the way to the station?)”라고 물으면 우습지 않겠는가. 이럴 때는 Would you (please) show me the way to the station? 정도가 적당하다.

    우리말에서도 ‘유리창 열어(Open the door)’보다는 ‘유리창을 열면 좋을 텐데(It might help if you open the door)’라고 하면 듣는 사람이 기분 좋을 게 당연하다. 마찬가지로 Why didn’t you work harder? (왜 더 열심히 하지 않았는가?)보다는 You could have worked harder (좀더 열심히 할 수도 있었을 텐데)가 상대방을 배려한 표현이다.

    ‘담배 피워도 될까요’를 표현할 때 Do you mind if I smoke?보다 Would you mind if I smoke?가 더 정중한 표현이다.

    ※Will you mind~란 표현은 쓰지 않는다.

    ‘선반에 제 가방을 얹어주시겠습니까?’도 마찬가지다. Do you mind putting my suitcase up on the rack?보다 Would you mind putting my suitcase up on the rack?가 정중한 표현이다. ‘저녁식사나 한번 하시죠’ 또한 Do you mind if I ask you out for dinner? 보다 Would you mind if I ask you out for dinner?가 공손한 표현이다.

    그러나 Do 대신 Would를 썼다고 해서 무조건 더 예의를 갖춘 표현이 되는 건 아니다. Would you tell me the news?보다 May I have the news가 상대를 훨씬 배려한 표현이다. 또한 ‘커피를 드시겠습니까?’를 영어로 말할 때는 Would you like coffee?라고 해야지 Do you like coffee?라고 해서는 안 된다. ‘Do you like+음료(음식)?’은 ‘평소에 ~을 드십니까?’ 하고 식성을 묻는 표현이기 때문이다.

    가정법은 꼭 가정적인 일에만 쓰이는 것이 아니라 ‘정중한 표현법’으로도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이제는 이 Would가 가정법 과거(현재사실의 반대상황을 서술하는 문장 형태)에 사용되는 조동사라는 국한된 영역에서 벗어나 ‘정중한 표현의 Would’의 입지를 단단히 하고 있다. Should·Could·Might도 ‘겸손한 어법’으로 확실하게 자리잡은 지 이미 오래다.

    want 대신 I’d like를 쓰면 겸손해진다

    ‘Salem 한 갑 주세요’를 영어로 표현해보자.

    (1) I want a pack of Salem.

    (2) Give me a pack of Salem, please.

    (3) Do you keep(carry) Salem.

    (4) I’d like a pack of Salem?

    (1)은 반말어투다. (2)는 please를 붙였다고는 하나 Give me가 ‘맡긴 것을 달라’는 투의 무례한 표현이다. 아마 주인이 “Give me what?” 하고 퉁명스럽게 반응할 것이다. 물론 가까운 친구 사이에선 별 무리 없는 대화다. (3) ‘Salem 있습니까?’라는 의미이다. (4) I’d like는 I would [should] like를 줄인 것으로 이 역시 가정법에서 발달한 공손한 표현이다.

    I’d like∼를 쓴 예문을 보자. I’d like to have a word with you (한두 마디 나누고 싶습니다). I’d like my steak well-done (고기를 완전히 익혀주세요). I’d like you to be my friend (당신이 제 친구가 되어주면 좋겠어요). We’d like you to do this (이것 좀 해주시기 바랍니다).

    ‘프랑스요리를 먹어보고 싶은데요’를 영어로 표현해보자.

    I want to try some French food. (직언으로 단정하는 표현)

    I’d like to try some French food. (겸손하고 정중한 말씨)

    I’d love to try some French food. (여성적이고 섬세한 표현)

    ‘내일 아침에 와주시면 좋겠습니다만’을 영어로 표현할 경우 I prefer you to come tomorrow morning보다는 would를 추가하여 I would prefer you to come tomorrow morning으로 하는 것이 좋으며, I would rather you came tomorrow morning을 쓰면 더욱 좋다. 다만 주의할 것은 come을 써서는 안 되고 시제일치 원칙에 따라서 과거형 came을 써야 한다는 점이다. 예문을 하나 더 보자.

    A : Would you mind if I ordered steak for two? (둘 다 스테이크를 주문해도 되겠습니까?)

    B : Actually, I’d rather you didn’t. (솔직히 말씀드리면, 그러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You might want~ 는 가장 순화된 명령

    커피를 마시고 싶을 때 Would you bring me a coffee 외에 매우 좋은 표현이 있다. You might bring me a coffee다. 이 문장은 본래 뒤에 있어야 할 if you were minded to do so(그렇게 할 의향이 있다면)이라는 조건절을 생략한 것이다.

    ‘거기에 가지 그래요’라고 권하는 표현들을 비교해보자.

    (1) You’d better go there.

    (2) Why don’t you go there?

    (3) You should go there.

    (4) You might want to go there.

    (1)은 다 안다는 듯이 권하는 말투가 다소 건방지게 들릴 수 있다. (2)는 다그치는 듯한 말투로 친한 사이에 쓰며, 손윗사람에게는 쓰지 않는다. (3)의 should는 ought to, must보다는 강제성이 약하고, 의무보다 권고에 가깝다. (4)의 ‘might want to ~’는 ‘~하는 것도 좋을 듯하다’라는 의미다. 가정법 might를 원용한 부드럽고 겸손한 어조다.

    가정법의 매직 파워(Magic Power)
    You 다음의 want는 need나 must의 의미다. You want to see a doctor at once는 ‘너는 즉시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겠다’란 의미다.

    커피 한 잔을 부탁할 때도 가정법을 원용한 다음과 같은 겸양의 표현이 좋다.

    I’d like a coffee.

    I wonder if(=whether) you could give me a coffee.

    You might bring me a coffee.

    기분 나쁘지 않게 잘못을 지적하려면 could를 써라

    could는 직설법 과거로 쓰이는 경우가 극히 제한적이며 대부분 가정법 과거로 사용된다. 가정법으로 사용된 예를 보자. I could do it if I tried. (하려고 마음먹으면 할 수 있을 텐데.) I could have done it if I had wanted to. (하려고 마음먹었으면 할 수 있었을 텐데.)

    수프에 소금이 너무 많이 들어가 거의 먹을 수 없게 되자 남편이 아내에게 ‘수프가 너무 짜서 못 먹겠다’라고 직접적으로 말하지 않고, 가정법으로 부드럽게 그러나 정곡을 찔러 의사를 전달하는 대화를 보자.

    Hubby : You know, you could have cooked more soup.

    Wife : Oh, isn’t it that good?

    Hubby : There was enough salt in it for 15 servings!

    남편 : 수프를 좀더 많이 만들지 그랬어.

    아내 : 이런! 그 정도로 충분한 것 아니에요?

    남편 : 열다섯 사람 몫의 소금이 들어갔으니 하는 말이오.

    극히 제한적으로 다음 세 가지 경우에는 could가 과거에 실제로 일어난 일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

    (1) feel, hear 등의 지각동사와 함께 쓰이는 경우

    I listened closely but could not hear a(any) sound. (귀를 기울였지만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았다.)

    (2) 부정문에 쓰이는 경우

    I could not speak English. (나는 영어를 말할 수 없었다.)

    (3) 습관에 사용되는 경우

    When I lived by the station I could (always) reach the office on time. (내가 역 가까이 살고 있을 때는 (언제나) 시간에 맞춰 회사에 도착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과거에 실제로 일어난 ‘일회 동작’을 표현할 땐 어떤 방법을 쓸까? could 대신에 was(were) able to, managed to, succeeded in ∼ing를 사용한다. ‘존은 그 경기에서 이길 수 있었다’를 영어로 옮겨보자.

    John could win the game. (x)

    John was able to win the game. (o)

    John managed to win the game. (o)

    John succeeded in wining the game. (o)

    이번엔 다음 두 문장을 비교해보자.

    I could (always) reach the office on time when I lived by the station. (내가 역 가까이 살고 있을 때는 (언제나) 시간에 맞춰 회사에 도착할 수 있었다.)

    I was able to reach the office on time this morning. (나는 오늘아침 시간에 맞춰 회사에 도착할 수 있었다.)

    전자는 ‘습관적 과거의 사실’을 서술하고 있고, 후자는 특정한 ‘일회성 동작’을 표현하고 있다.

    Yes, I could는 ‘할 수 없다’는 의미

    could는 can보다 공손한 표현으로 사용된다. 이는 가정법을 원용한 것이다. Could I borrow your pen? (펜 좀 빌려도 되겠습니까?) Could you come and see me tomorrow? (내일 나를 만나러 와주시겠습니까?)

    Could you help me now?에 대한 답변을 Yes, I could로 한다면 ‘그래, 도와주고는 싶으나 사정상 그럴 수 없어’라는 의미가 돼버려 Yes와 I could가 호응(呼應)하지 않는다. Yes, I can이나 No, I can’t라고 답해야 한다. 아니면 우리말의 ‘물론이지’에 해당하는 Sure·Of course·No problem이나 As you wish(원하는 대로)라고 하거나 Yes, I should think so(그래, 그렇게 하려고 생각하네)라고 해야 한다.

    could와 use가 만나면 use는 ‘쓰다’ ‘사용하다’가 아니라 ‘얻다’ ‘필요하다’라는 뜻이 된다. ‘맛있는 음식을 먹어보고 싶습니다’를 영어로 표현해보자.

    (1) I want to have a good meal.

    (2) I could use a good meal.

    (2)가 희망사항을 더욱 부드럽게 표현한 문장이다.

    다음 대화에서도 use가 비슷한 의미로 쓰였다.

    A : Should I get you something to drink? (뭐 마실 거라도 가져다 드릴까요?)

    B : I could use some cold beer. (시원한 맥주나 마시면 좋겠습니다.)

    상대방에게 말할 때도 마찬가지다. ‘옷을 새로 사면 좋을 것 같습니다’를 영어로 표현했을 때, You have to buy a new suit보다 You could use a new suit가 바라는 바를 훨씬 부드럽게 표현한 것이다.

    조심스럽게 의견을 피력할 땐 I should say∼

    우리말에서 ‘소인이 죽기를 각오하고 감히 아뢰옵니다’라고 할 때의 ‘감히’는 ‘두려움(송구함)을 무릅쓰고’라는 의미다. ‘뉘 앞이라고 감히 거짓말을 하느냐?’라고 할 때의 ‘감히’는 ‘분수도 모르게’라는 의미이다. 이에 해당하는 영어는 가정법에서 원용된 ‘I should~’이다. I should hardly tell him generous (그가 관대하다고는 (감히) 말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처럼. I should say so (그럴 것이라고 감히 말합니다)는 I think so(그렇게 생각한다)보다 훨씬 조심스럽고 겸손한 어조를 띤다. I should say로 말하는 이의 의견이나 감정을 완곡하게 표현한 셈이다. ‘만일 제가 말하게 되면’ 또는 ‘만일 제가 이에 대한 의견을 말할 것을 권고받는다면’ 등의 조건을 언외(言外)에 품고 있는 표현이다.

    희망과 소망이 담긴 가정법 과거

    영국 시인 존 클레어(John Clare)는 어느 서간(書簡)에서 이런 말을 했다. If life had a second edition, how I would correct the proofs. (만일 인생에 제2판이 있다면 나는 그 교정쇄(校正刷)를 교정하고 싶다.) 인생에 제2판이 있을 수 없으므로 그 교정쇄 또한 있을 리 없다. 이처럼 현재 사실의 반대되는 이야기를 할 때 흔히 가정법 과거를 쓴다.

    I could help you의 원래의 의미는 I have no possibility that I’ll help you이다. 그런데 오늘날에는 가정법과거형이 ‘현재 혹은 미래에 대한 소망’을 나타낼 때 많이 쓰인다. I wish he could help me라고 말하면 ‘그가 나를 도울 수가 없어 유감이다(I am sorry that he cannot help me)’라는 의미보다 ‘그가 나를 도와주면 좋겠다(I hope you will be able to help me)’라는 의미로 더 많이 사용된다. 가정법 과거가 소망을 나타내는 예를 좀더 살펴보자.

    If we worked all night, we would finish in time. (밤샘하면 때맞추어 끝낼 수 있을 것이다.)

    If you could give me a call tomorrow, that would be great. (내일 전화를 주실 수 있다면, 고맙겠습니다.)

    Because of new competition, we are anxious to get our products into the market as soon as possible. Would it be convenient if I called you next Monday and we arranged a time to talk over lunch? (새로운 경쟁으로 인해 우리는 가능한 한 빨리 우리 제품을 시장에 내놓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습니다, 다음주 월요일에 전화 드리고 점심 약속을 잡아도 괜찮겠습니까?)

    If you ever went to the United States to study in a university, one of the first things you would have to do is open a checking account. You would find it safer and more convenient to put your money in a bank and write out checks to pay for your large purchases. (대학에서 공부하기 위해 미국에 간다면 가장 먼저 은행 계좌를 개설해야 한다. 현금은 은행에 넣어두고, 고가의 물품을 구입할 때 수표를 쓰는 게 안전하다.)

    문법 오류 같지만 실생활에 널리 쓰이는 실용문장

    영어에는 문법적으로 오류인 듯 보이지만 실생활에 널리 사용되는 실용문이 많다. 다음의 대화를 보자.

    A : If we take highway 1 and B line straight for San Francisco, we could be there by dawn. (1번 고속도로 B라인으로 똑바로 가면 새벽에는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할 수 있을 거야.)

    B : That means we’d have to leave this afternoon and drive all night. I’d rather leave in the morning, take the scenic route and arrive in time for dinner. (오늘 오후 출발하여 밤중 내내 운전해야 한다는 얘긴데. 차라리 아침에 출발해서 시닉루트를 타고 저녁시간에 맞춰 도착하는 게 낫겠다.)

    take를 보면 종속절은 직설법 현재 문장이다. 그렇다면 주절도 직설법 현재가 되어야 하지만 can의 과거형인 could를 쓰고 있다. 아니면 주절에 could가 쓰였으니 종속절의 동사가 take가 아니라 took여야 마땅하다. 결국 가정법 과거가 직설법 현재에 침투했거나 아니면 직설법 현재가 가정법 과거에 침투한 것이다.

    문법적 오류로 보이지만 원어민들은 이 같은 문장을 서슴없이 구사한다. 더 나아가 현지의 방송이나 신문 등 대중 매체에서도 이러한 문법 파괴 현상을 수없이 접할 수 있다.

    UC 버클리대(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언어학자 지오프리 넌버그(Geoffrey Nunberg)는 미국의 시사 교양 잡지 ‘The Atlantic Monthly’ 1983년 12월호에 기고한 ‘Correct American. The Decline of Grammar. Language Diplomacy (정확한 미국말. 문법의 쇠퇴. 언어의 절충)’ 제하의 글에서 “The eighteenth-century grammarians accepted the doctrine that usage was the final arbiter of correctness (18세기 문법학자들은 습관적 사용이 정확성의 최종 결정권자라는 원칙을 받아들였다)”라고 언급한 바 있다.

    일반적으로 학교문법(學校文法·school grammar)은 언어의 올바른 사용이라는 목적을 전제로 하여 설정된 규칙대로 언어를 사용하라고 강요하는 규범문법(規範文法·normative[prescriptive] grammar)의 성격이 강하다. 이에 반해 기술문법(記述[實用]文法·descriptive grammar)은 특정한 시기의 언어·문법 현상을 있는 그대로 기술하는 문법이다. 결과적으로 기술문법은 규범문법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미국의 ‘Merriam-Webster’s Dictionary’의 저자인 노아 웹스터(Noah Webster)도 Grammar is formed on language, and not language on grammar (문법이 말을 기초로 하여 형성됐지, 문법을 기초로 하여 말이 형성된 것이 아니다)라는 원칙에 따라 사전을 편찬했으며 지금도 그 원칙은 지켜지고 있다. 언어에서는 Usage(관용(慣用))가 규칙(rule) 못지않게 중요하다.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