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의 노래’ 김훈 지음 / 생각의나무 296쪽 / 9500원
“우륵은 금을 무릎에 안았다. 우륵이 오른손으로 맨 윗줄을 튕겼다. 소리는 아득히 깊었고, 더 깊고 더 먼 곳으로 사라져갔다. 우륵의 왼손이 사라져가는 소리를 들어올렸다. 소리는 흔들리면서 돌아섰고, 돌아서면서 휘어졌다. 우륵의 오른손이 다음 줄을 튕겼다. 소리는 넓고 둥글었다. 우륵의 왼손이 둥근 파문으로 벌어져가는 소리를 눌렀다. 소리는 잔무늬로 번지면서 내려앉았고, 내려앉는 소리의 끝이 감겼다. 다시 우륵이 세 번째 줄을 튕겼다. 소리는 방울지면서 솟았다. 솟는 소리를 우륵의 왼손이 다시 들어올렸다가 내려놓았다. 내려놓고 더욱 눌렀다. 소리의 방울이 부서지면서 수많은 잔 방울들이 반짝이며 흘러갔다. 다시 우륵의 오른손이 맨 윗줄을 튕겼다. 깊고 아득한 소리가 솟았다. 솟아서 내려앉는 소리를 우륵의 왼손이 지웠다.”
이 대목을 읽을 때 그 절제된 아름다움에 문득 숨이 멎는다. 금의 소리가 발화되는 그 대목의 묘사에 작가는 오래 공을 들이는데, 주인이 따로 없고 “본래 스스로 흘러가”며, 본래는 있되 눈앞에는 “없는 세상을 열어내는 것”이란 소리의 운명에 순응하며 가야에서 신라로 흘러온 일흔 노인의 복잡한 감회를 그 묘사에 실어나른다.
악기에 담긴 인간의 열망
이미 칼에 의탁해 사는 자의 고단함과 슬픔을 쓴 바 있는 김훈이 이번에는 악기에 의지해 제 삶을 견인하는 자의 비통함과 적요에 대해 쓴다. ‘현의 노래’가 그것이다.
하지만 악기와 그것에서 울려나오는 소리로써 생계를 세우고 제 생의 불우함이 지닌 무게를 덜어내며 한 시대를 건너가는 악사의 이야기는 뒷전으로 물러나고, 서사의 전면에는 전장에서 도끼와 칼에 으깨지고 베어지며 죽은 자들의 몸에서 떨어져 나온 살점과 유혈의 비릿한 내음이 자욱하다. 악기가 꿈꾸는 세상이나 병장기가 꿈꾸는 세상이 하나라는 뜻일까?
작중인물이 이순신에서 우륵으로 바뀌고, 시대 배경도 다르고 이야기도 다르지만, 두 소설은 아름다운 것은 필경 소멸하며 소멸의 운명 속에서 산 자들의 삶은 덧없다는 한 주제에 맞닿아 있다.
악기(樂器)는 몸이 내는 소리의 한계를 넘어서려는 열망이 낳은 도구다. 사람들은 악기로써 제 한 몸이 빚어내는 희로애락을 표현하고 그것을 위로하려고 한다. 악기는 사람의 손과 입의 도움을 받아 소리를 울려내되 소리의 영역과 경계를 넓고 깊게 만들어 사람에게 되돌려준다.
우륵이 적막의 끝 쪽을 향해 귀를 기울이다가 “몸속의 소리가 이리도 아득하니……. 멀어서 들리지 않는 소리가 몸속을 흘러가는구나. 아, 나는 살아 있구나”라고 독백할 때 소리는 악기 이전의 것으로 몸에 부속된 것임을 분명히 한다. 몸속의 소리를 받기 위해 악기가 뒤따른다. 소리는 악기에게 와서 비로소 울림으로써 그 존재를 드러내며 산 자의 생을 현재화하고 실감으로 살려낸다. 사람의 나고 죽음이 그러하듯 소리는 사라지면 가뭇없는 것이다. 소리의 발생과 사라짐 사이의 인과관계는 비교적 명료하지만 그 근원은 사람의 생의 근원이 그러하듯 아득하고 모호하다.
늙은 악사의 지혜에 의하면, 몸으로 된 생과 소리는 하나로 겹쳐지며 그 영고성쇠의 운명을 함께한다. “몸은 소리에 실려, 없었던 새로운 시간 속으로 흘러나갔고, 흘러나간 몸이 다시 돌아와 줄을 당겼다.” 이런 구절들은 불가피하게 소리의 발생과 그 덧없는 사라짐을 통해 산 것들의 생을 무한 중력으로 끌어당기는 허무를 각인하려는 소설가의 조급증을 드러낸다.
‘현의 노래’는 소리의 발생의 내력과 그 순환의 궤도를 따라가지 않는다. 비록 ‘현의 노래’가 소리의 현존과 그 울림이 지어내는 마음의 가역반응을 그리는 데 많은 공을 들이지만 그것은 사람과 사람 사이에 펼쳐진 넓고 두터운 관계망 위에서 홀연 솟아났다가 사라지는 개별자의 운명의 덧없음에 대한 소설가의 편애 때문에 뒷전으로 밀려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