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igital Globe
이번에 새로 공개하는 사진(북위 40.8。, 동경 129.6。)은 인공위성 ‘퀵버드’를 운용하고 있는 미국의 ‘디지털글로브’사 관계자로부터 입수한 것으로, 2002년 2월15일부터 2004년 5월16일까지 총 여섯 차례에 걸쳐 촬영되어 폭발사고 전과 직후, 복구기간, 최근에 이르기까지 대포동 기지의 변화하는 모습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신동아’는 이 6장의 사진, 특히 지난 5월16일 촬영된 위성사진을 로켓공학 및 발사체계 전문가들과 함께 정밀 분석했다. 그 결과 최근 ‘중앙일보’ 등 일부 언론이 보도한 ‘5월초 연소시험’의 흔적을 찾을 수 있었으나, 시험장소 등 몇 가지 내용이 사실과 다른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5월16일 사진에서는 발사대 주변에 이전 촬영분에서 볼 수 없는 특이징후가 발견되기도 했다. 이제부터 정밀 판독을 통해 그 구체적인 내용을 하나하나 확인해보기로 하자.
발사대와 떨어져 있는 엔진시험장
위성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대포동 기지의 외양은 생각보다 초라하다. 사진에서 우선 눈에 띄는 것은 좌측에 삼각형을 이루고 있는 세 개의 시설(앞페이지 큰 사진 참조). 오른쪽 하단에는 높이 30m 이상으로 추정되는 발사대(사진②)가 보이고, 왼편 하단에는 미사일 조립장(사진③)으로 추정되는 길이 50m, 너비 20m 가량의 대형 건물이 자리하고 있다. 위꼭지점에 해당하는 건물은 발사 및 실험 통제시설(사진④)로 보인다.
이와는 조금 떨어져서 발사대 우측 하단으로 800m 가량 떨어진 지점에 엔진시험장(앞페이지 작은 사진)이 위치해 있다. 미사일 조립장과 발사통제시설, 엔진시험장 앞의 소형건물 등은 지붕이 모두 같은 파란색 재질로 되어있어 비슷한 시기에 한 묶음의 시설로 건설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우선 발사대부터 살펴보자. 수직에 가깝게 촬영하는 위성사진의 특성상 발사대 전면을 완전히 볼 수는 없지만 지면에 길게 드리운 그림자를 통해 구체적인 모습을 파악할 수 있다. 주변에 레일이 없는 것으로 미루어 기본적인 형태의 고정형 철골구조물로 보이는 이 발사대의 꼭대기에는 미사일을 발사대에 장착할 수 있는 크레인이 길게 뻗어 있다.

Digital Globe

Digital Globe